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Jindo-gun, Jeonnam

전남 진도군 관매도 해안 방풍림의 식생과 관리방안

  • Kim, Ha-Soug (Dept. of Herbal Medicine Resources Development, Naju College)
  • 김하송 (나주대학 한약자원개발과)
  • Published : 2008.02.27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that forms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located in Jodo-myeon, Jindo-gun, Jeollanamdo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areas of Korea from December 2005 to April 2007 and to suggeste the ecological management methods of coastal windbreak areas. P. thunbergii community, a coastal windbreak forest of Gwanmaedo, was classified into disturbance, growth, mixture, stability, and back mountain vegetation according to major companions species and vegetation types. P. thunbergii community of disturbance and growth vegetation needs active management through tree thinning, mowing, weeding out, use of rest space, and felling sick pine trees. P. thunbergii community of mixture, stability, and back mountain vegetation needs active preservation of a coastal windbreak to restore natural vegetation by making a windbreak walk and a forest buffer zone and inducing vegetation success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ecological management method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actual state of distribution by habitat characteristics of coastal windbreak areas such as management of beaches and surrounding area of idle lands, restoration of back wetlands, inhibition of foreign plants, maintenance of diversity of species and habitats, and prevention of aging and spread of damage from insects.

본 조사는 2005년 12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총 4회에 걸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해안 방풍림을 지역을 중심으로 곰솔군락의 특성을 조사하고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관매도 해안 방풍림인 곰솔군락을 주요 구성종과 식생유형에 따라 교란형, 성장형, 혼합형, 안정형, 배후산지형 식생 등으로 구분하였다. 교란형 식생과 성장형 식생의 곰솔군락에서는 간벌, 풀베기, 솔아내기, 휴식공간 활용, 병든 소나무 벌목 등을 통하여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며, 혼합형 식생, 안정형 식생 그리고 배후산지형의 곰솔군락에서는 방풍림 산책로, 삼림완충지대 조성, 식생천이를 유도함으로서 자연식생을 복원할 수 있는 적극적인 해안 방풍림 보전이 필요하다. 조사지역에서는 해안 방풍림의 서식지 특성과 분포실태에 따라 해수욕장과 공한지 주변지역 관리, 배후습지 복원 관리, 외래식물 분포 억제 관리, 생물종의 다양성과 서식지의 다양성 유지 관리, 곰솔림의 고령화와 병충해 확산 예방 관리 등 생태학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 2003. 자연환경조사는 왜 하는가?. pp. 1-150
  2. 경상남도. 1994. 방풍림 관리실태 및 보전대책 -방풍림 조성의 역사적 배경과 기능분석-. pp. 9-94
  3. 김준민, 김철수, 박봉규. 1987. 식생조사법(식물사회학적 연구법). 일신사. pp. 170
  4. 김하송, 명현호, 이점숙, 임병선. 2004. 고군산군도 식생과 자연보호. 자연실태기초학술조사. 자연보호중앙협의회. 16: 31-57
  5. 문창국, 김삼식. 1977. 남해도의 천연기념수림과 그 수종. 한국조경학회지 5(2): 45-50
  6. 민병미. 2004. 우리나라 해안사구 식생의 특성. 자연보존 128: 17-28
  7. 박석곤. 2002. 난대 기후대 상록활엽수림 복원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16
  8. 박재순. 2002. 전라남도의 도서개발현황과 추진전략. 한국도서연구 14(1): 1-16
  9. 서종철. 2000. 해안사구지형의 보고"신두리"자연환경정책 전문가 심포지움. 환경부 pp. 147-164
  10. 서종철. 2001. 서해안 신두리 해안사구의 지형변화와 퇴적물의 수지.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pp. 96
  11. 신현철. 2004. 지역의 생태문화자원과 주민 참여 관광 개발의 문제점 -진도 관매도의 풍란 복원지 사례를 중심으로- 보고자료 pp. 1-25
  12. 안양수. 1985. 우리나라 보안림의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원광대 석사학위논문 pp. 3-66
  13. 오현경. 2003. 방풍림의 식생구조와 보호관리방안 -남해안의 주요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영남대 대학원 pp. 1-113
  14. 이우철, 전상근. 1983. 한국 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서해안 사구식물군락의 종조성과 현존량-. 한국생태학회지 6: 177-186
  15. 이정환, 손영모, 김점수, 이광수, 정원옥, 김삼식. 1998.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구조와 식물상.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부속연습림 연구보고 8: 29-48
  16. 이창복. 198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17. 이천용. 2001. 환경을 지키는 숲 보안림. 임업연구원 pp. 119-124
  18. 정용규.김종원. 1998. 경북의 해안사구식생. 한국생태학회지 21: 257-262
  19. 정용규, 김원. 2000. 한반도 해안임연군락의 분포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3(3): 193-199
  20. 정태현. 1965. 한국식물도감(목 .초본류). 삼화출판사, 서울 pp. 1824
  21. 진도군. 2003. 진도군 통계연보
  22. 최두문.박원규. 1985. 한국의 느티나무림에 대하여. 공주사대 과학교육연구 17: 93-102
  23. 환경부. 2001. 우리나라 해안사구 실태파악과 보전, 관리방안에 대하여. 환경부조사보고서 pp. 263
  24. 환경부. 2002. 해안사구 보전, 관리지침 pp. 50
  25. 牧野富太郞. 1979. 新日本植物圖鑑. 北陸館, 東京. pp. 1137
  26. 寺崎留吉. 1977. 寺崎日本植物圖譜. 平凡社. 日本, 東京. pp. 1181
  27.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28.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pp. 865
  29. Ellenberg, H. 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Stuttgart. pp. 136
  30. Kim H. S. 2003. Change of the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embankment in Anmado. Korean J. Ecol. 26(3): 103-108 https://doi.org/10.5141/JEFB.2003.26.3.103
  31. Klijin, J.A. 1990. Dune forming factors in a geographical context. In: Bakker, T.H., W. Jungerius, P.D. and Klijin, J.A. (Eds), Dunes of the European Coasts; Geomorphology-Hyd. rology-Soils Catena (supplient) 18: 1-13
  32. Ohwi Jisaburo. 1984. Flora of Japan. pp. 1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