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ourt Dresses Shown in Scene of the Royal Banquet Given by the King at Gyeong-hyeon-dang of Gisagyecheop

"기사계첩(耆社契帖)"의 "경현당석연도(景賢堂錫宴圖)"에 보이는 인물들의 복식 고찰

  • Lee, Eun-Joo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이은주 (안동대학교 생물과학대학 의류학과)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This study reports a court dress culture in 1719 shown in the Scene of a Royal Banquet given by the King at Gyeong-hyeon-dang(景賢堂) of Gisagyecheop(耆社契帖).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ng Suk-jong(肅宗) attending a Royal Banquet for members of the Hall of Elder Statement wore the Ikseonkwan decorated with flowers, red Gollyongpo, Okdae, and Heukpiwha. The Crown Prince(王世子) also wore the Ikseonkwan decorated with flowers, black Goliyongpo, Okdae, and Heukpiwha. Second, senior statesmen(耆老臣) over the age 70 wore Sarno, Heukdallyeong with a crane rank tablet, belt, and black boots. Royal family members and officers also wore Samo, Heukdallyeong with a crane or silver pheasant rank tablet, belt, and black boots. Third, Sakum(司禁) of King's body guards wore Yungbok and Muyaebyulgam(武藝別監) wore Ja-geon and the green Jikryeong. Ui-jang-gun(儀仗軍) wore Pirip and Hongui, Haengjeon, and Unhae. Saboksikwan(司僕侍官) wore Samo, Heukdallyeong, belt, black boots, and a sword. Fourth, boy dancers(舞童) wore Buyongkwan, Kwanbok, skirt, belt, and black boots. Cheoyong-dancers(處容舞童) wore outfits in fine colors, wide pants, skirt, mask with an earring, gold colored belt, and white colored sandal. Hyeopryulrang(協律郞) wore Sarno and Heukdallyeong. Jipbak(執拍) wore Morabokdu and Noksaui, and Ak-kong(樂工) wore Whawhabokdu, Hongju-ui, Ojungdae, and Heukpiwha. Singer(歌童) wore Jajeok-dugeon, nokju-ui, and jajeokdae.

Keywords

References

  1. 심승구 (2007). 조선시대 기로연(耆老宴)의 설행과 정치.사회적 의미. 조선시대 기로연 학술세미나.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p. 1-2
  2. 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 (1976). 特別展 耆社契帖
  3. 金元龍 외 (1993). 韓國의 美 20: 人物畵. 中央日報社, 圖 26-27
  4. 湖巖美術館 (1996). 湖巖美術館名品圖錄 II, pp. 74-75
  5.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99).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명품, pp. 114-117
  6. 肅宗實錄 卷63 45年 1月 癸未 이후 다수
  7. 宋芳松.朴貞蓮 외 (2001). 國譯 肅宗朝 己亥進宴儀軌. 민속원
  8. 柳喜卿 (1980) 耆社契帖에 나타난 服飾에 關하여, 梨花女子大學校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pp. 99-128
  9. 肅宗實錄. 卷63 45年 1月 癸未
  10. 肅宗實錄. 卷63 45年 2月 甲寅
  11. 肅宗實錄. 卷63 45年 4月 庚申
  12. 김문식 (2007). 1719년 기로연 행사와 의주.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p. 23-25
  13. 박정혜 (2000).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 一志社, p. 176
  14. 박정혜 (2000).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 一志社, p. 180
  15. 호암미술관 (1996).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 一志社, p. 74
  16. 사진실 (2000). 耆老宴의 무대와 객석. 문헌과 해석 10, p. 113
  17. 김문식 (2007). 왕세자 경종의 대리청정. 문헌과 해석 38, p. 44
  18. 肅宗實錄. 卷63 45年 3月 辛丑
  19. 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 (1976). 特別展 耆社契帖, pp. 58-59
  20. 박정혜 (2000).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 一志社, p. 187
  21. 오혜경 (2006). 조선시대 舞童服飾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5
  22. 사진실 (2000). 耆老宴의 무대와 객석. 문헌과 해석 10, p. 118
  23. 國朝續五禮儀. 卷2 嘉禮 親臨耆老宴儀 12
  24. 肅宗實錄. 卷63 45年 4月 庚申
  25. 金元龍 외 (1993). 韓國의 美 20: 人物畵. 中央日報社, 圖 26-27, p. 91
  26. 金元龍 외 (1993). 韓國의 美 20: 人物畵. 中央日報社, 圖 26-27, p. 118
  27. 國朝續五禮儀補序例. 卷2 嘉禮 殿下視事服圖說, 1b
  28. 肅宗實錄. 卷63 45年 4月 庚申
  29. 國朝續五禮儀補序例. 卷2 嘉禮 殿下視事服圖說, 2a
  30. 肅宗實錄. 卷24 18年 4月 丁亥
  31. 김미자 (2001). 의원군 묘의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경기도박물관 편,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pp. 212-214
  32. 장현주.고순희 (2006), 조선시대 복식에 사용된 금장식 기법의 유형과 특성. 服飾, 56(4), p. 84
  33. 喪禮補編. 圖說, p. 3
  34. 尙方定例. 天, 大殿 節日進上 正朝, 3
  35. 國朝續五禮儀. 卷2 嘉禮 親臨耆老宴儀, 11
  36. 景宗實錄. 附錄 景宗大王行狀
  37. 國朝續五禮儀補序例. 권2 嘉禮 王世子書筵服制度, 5-6
  38. 光海君日記. 卷146 11年 11月 乙巳
  39. 梨花女子大學校 博物館 (1976). 特別展 耆社契帖, p. 30
  40. 經國大典. 卷3 儀章, 9
  41. 國朝續五禮儀. 卷2 嘉禮 親臨耆老宴儀 11
  42. 續大典. 卷3 禮典 儀章 17
  43. 이은주.조효숙.하명은 (2005).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민속원, p. 126
  44. 燃藜室記述. 別集 卷13 政敎典故
  45. 肅宗實錄. 卷24 18年 12月 癸未
  46. 하명은.이은주 (2007). 날짐승흉배 감정(鑑定)을 위한 기준 설정. 韓服文化, 10(3), p. 165
  47. 續大典. 卷3 禮典 儀章 17
  48. 박성실 (2004). 全州李氏 密昌君 ?(1677-1746)墓 出土服飾 特別展. 韓國服飾, 22, 檀國大學校 石宙善紀念博物館, p.123
  49. 小田幾五郞 (2005). 象胥紀聞. 栗田英二(譯註), 이회, p. 151
  50. 尙方定例. 卷2 別例 上 60
  51. 국립제주박물관 (2005). 조선중기 역사의 진실. 이익태 牧使가 남긴 기록, p. 12
  52.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2000). 韓國의 刺繡 어제와 오늘, p. 15
  53. 경기도박물관 (1997). 경기국보, p. 29
  54. 續大典. 卷之3 17b
  55. 丁若鏞 (1810). 與猶堂全書. 第1集 文 卷9, p. 30a
  56. 김미자 (2001). 의원군 묘의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경기도박물관 편,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p. 220
  57. 김미자 (2001). 의원군 묘의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경기도박물관 편,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pp. 216-217
  58. 박성실 (2004). 全州李氏 密昌君 ?(1677-1746)墓 出土服飾 特別展. 韓國服飾, 22, 檀國大學校 石宙善紀念博物館, pp. 134-135
  59. 김미자 (2001). 의원군 묘의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경기도박물관 편,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p. 216
  60. 김미자 (2001). 의원군 묘의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경기도박물관 편,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p. 217
  61. 續大典. 卷3 17b
  62. 文化公報部.文化財管理局 (1981). 朝鮮時代. 宮中服飾, p. 17
  63. 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 下(1759), p. 235
  64. 冊禮都監儀軌 (1694), p. 95
  65. 肅宗仁顯后嘉禮都監儀軌 (1681), p. 328
  66. 이은주.박가영 (2007). 英祖代 大射禮儀 참여자의 복식 유형 고증. 服飾, 57(2), p. 109
  67. 王世子嘉禮都監儀軌 (1671), p. 175
  68. 正祖國葬都監儀軌. 二房儀軌 儀仗軍
  69. 昭顯世子嘉禮都監儀軌, 70a
  70. 國朝五禮儀. 卷2 嘉禮 鹵簿
  71. 宋芳松.朴貞蓮 외 (2001). 國譯 肅宗朝 己亥進宴儀軌. 민속원, p. 128, p. 227
  72. 宋芳松.朴貞蓮 외 (2001). 國譯 肅宗朝 己亥進宴儀軌. 민속원, p. 203
  73. 박정혜 (2000).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 一志社, p. 209
  74. 戊子進爵儀軌. 卷2 工令, 34
  75. 宋芳松.朴貞蓮 외 (2001). 國譯 肅宗朝 己亥進宴儀軌. 민속원 , p. 202
  76. 곽동해 (2002).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p. 316
  77. 이은주 (1994). 한국전통복색에서의 청색과 흑색. 한국의류학회지, 18(1), pp. 121-129
  78. 李裕元. 林下筆記 卷38 海東樂府 響鈸
  79. 樂學軌範. 卷8 12a
  80. 宋芳松.朴貞蓮 외 (2001). 國譯 肅宗朝 己亥進宴儀軌. 민속원 , p. 212, p. 227
  81. 오혜경 (2006). 조선시대 舞童服飾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82. 宋芳松.朴貞蓮 외 (2001). 國譯 肅宗朝 己亥進宴儀軌. 민속원, pp. 184-185
  83. 樂學軌範. 卷9 12
  84. 국역승정원일기, 고종 4년 정묘(1867, 동치 6) 3월 6일(경신)
  85. 樂學軌範. 卷2, 11a
  86. 國譯 肅宗朝 己亥進宴儀軌. 민속원 , p. 130. p. 131
  87. 國譯 肅宗朝 己亥進宴儀軌. 민속원, pp. 480-481
  88. 李在淑 (1998).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 서울대학교 출판부, 圖10
  89. 宗廟儀軌. 圖說 藍紬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