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 To investigate the discriminative ability of pediatric index of mortality 2 (PIM2) and pediatric risk of mortality III (PRISM III) in predicting mortality in children admitted in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variables of PIM2 and PRISM III based on medical records with children cared for in a single hospital ICU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7. Exclusions were children who died within 2 h of admission into ICU or hopeless discharge. We used Students t test and ANOVA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or correlation between survivors and non-survivors for variables of PIM2 and PRISM III. In addition, we perform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Hosmer-Lemeshow goodness-of-fi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for discrimination, and calculated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SMR) for estimation of prediction. Results : We collected 193 medical records but analyzed 190 events because three children died within 2 h of ICU admission. The variables of PIM2 correlated with survival, except for the presence of post-procedure and low risk. In PRISM III,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for cardiovascular/neurologic signs, arterial blood gas analysis but not for biochemical and hematologic data. Discriminatory performance by ROC showed an area under the curve 0.858 (95% confidence interval; 0.779-0.938) for PIM2, 0.798 (95% CI; 0.686-0.891) for PRISM III, respectively. Further, SMR was calculated approximately as 1 for the 2 system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chi}^2(13)=14.986$, P=0.308 for PIM2, ${\chi}^2(13)=12.899$, P=0.456 for PRISM III in Hosmer-Lemeshow goodness-of-fit. However, PIM2 was significant for PRISM III in the likelihood ratio test (${\chi}^2(4)=55.3$, P<0.01). Conclusion : We identified two acceptable scoring systems (PRISM III, PIM2) for the prediction of mortality in children admitted into the ICU. PIM2 was more accurate and had a better fit than PRISM III on the model tested.
목 적: 저자들은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아들에 대한 소아사망률지표 2 (pediatric index of mortality 2, PIM2)와 소아사망위험도 III (pediatric risk of mortality III, PRISM III)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단일 기관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치료받았던 환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2시간 이내에 사망하거나 절망적인 상태의 퇴원인 경우는 제외하였다. 환아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서 Student's t-test와 ANOVA를, PIM2와 PRISM III 항목에 대해서 생존한 환아와 사망한 환아 사이에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사망률 예측의 정도에 대한 정확성을 위해서 Hosmer-Lemeshow 적합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과 수용자 작업특성곡선을 사용하였으며 예측사망율의 과대 또는 과소 평가는 표준화된 사망비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 과: 193 증례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으나 3예가 중환자실에 입실한 2시간이내에 사망하여 190예에 대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PIM2의 항목들은 수술이나 술기 후에 입원한 경우와 저위험군의 항목을 제외하고 생존과 연관성이 있었다. PRISM III에서는 심혈관/신경계 징후, 동맥혈가스분석의 항목이 관련성이 있었으나 생화학과 혈액학적 검사소견은 연관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수용자 작업특성곡선으로 확인한 예측도는 모두 의의가 있었으며 PIM2의 곡선하면적이 0.858 (95% 신뢰도: 0.779-0.938), PRISM III가 0.798 (95%신뢰도: 0.686-0.891)이었다. 또한, 표준화된 사망비는 두 가지 지표 모두 1에 가까웠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Hosmer-Lemeshow 적합도에서 PRISM III가 ${\chi}^2(13)=12.899$, P=0.456이었으며, PIM2는 ${\chi}^2(13)=14.986$, P=0.308이었다. 그러나 PIM2가 가능도비검정에서 PRISM III보다 유의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chi}^2(4)=55.3$, P<0.01). 결 론: 저자들은 중환자실에 입실하는 소아 환자에서 사망률을 예측하는 두 가지 지표(PIM2, PRISM III)가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PIM2가 PRISM III보다 보다 정확하고 적절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