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Port for Log Import

원목 수입의 주요 항구별 특성

  • 김철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영부 임업경제과) ;
  • 김기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영부 임업경제과)
  • Received : 2008.04.18
  • Accepted : 2008.07.02
  • Published : 2008.09.29

Abstract

Republic of Korea (ROK) log import companies have clustered around In-cheon, Jeon-buk and Busan. This reason related to port for log import. This study analyzed the quantity of Whole imported log transported by port. As the result of analysis, In-cheon port accounted for 56.9% log import, which is the maximum log import port in ROK. Next Bu-san port 20.9%, Gun-san port 17.9%. However, these port have declined the quantity of imported log transported since 2000. Gun-san port and Dong-hae port increased narrow range. The reason of why In-cheon and Bu-san port declined log import and Gun-san and Dong-hae port increased is that a sudden rise in the price of log in 2003, and import of using a container ship increased. In the addition, log import from Far eastern Russia, Germany and America increased through a container ship, however, declined log import through a bulk ship. Most of imported log at In-cheon port are from New zealand and Russia, imported logs at Bu-san port are almost from US and New zealand.

국내 원목 수입업체는 인천, 전북, 그리고 부산지역에 밀집되어 있으며 이는 원목 수입항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지금까지 국내 원목 수입은 인천항과 부산항이 독보적인 위치의 항구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따라 항구 주변의 각종 원목 가공 산업, 즉 소량의 원목 도 소매상들을 비롯하여 제재업체, 합판, 파티클보드 및 섬유판 생산업체 등이 항구 주변에 밀집되었다. 2007년 우리나라 전체 원목 수입물동량을 항구별로 분석하면 인천항을 통한 수입이 전체 원목 수입의 56.9%를 차지하여 인천항이 국내 최대 원목 수입항이며, 다음으로 부산항이 20.9%, 그리고 군산항 17.9%로 원목을 수입하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인천항과 부산항은 물동량이 감소한 반면 군산항과 동해항은 소폭이나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주로 벌크선에 의해 대량으로 수입하던 원목 수입업체들이 2003년 수입 원목가격의 급등으로 줄어든 반면 컨테이너를 이용한 소량을 수입하는 업체가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는 극동 러시아, 독일 및 미주지역에서 소량으로 컨테이너를 이용한 원목 수입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항구별 주요 수입국별 원목 수입량은 2007년 기준 인천항의 경우 뉴질랜드(1,685Mt), 러시아(574Mt)의 순으로 수입되었으며, 부산항은 미국(438Mt), 뉴질랜드(258Mt) 순으로 수입되었고 군산항은 뉴질랜드(950Mt)에서 대부분이 수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7. 임업경제동향.
  2. 김철상. 2007. 2006년도 원목수입 및 수입가격 분석. 산림경제연구 제15권. pp41-52.
  3. 정봉민 등. 2004. 해운.항만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4. 정찬영 등. 2003, 항만개발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5. 조계석 등. 2000. 항만투자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6. 주린원 등. 2007. 산림부문의 추세 및 장기 전망.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7-19.
  7. 산림청. 2006. 2007. 임업통계연보.
  8. 해양수산부. 2006. 전국 무역항 기본계획.
  9. 해양수산부. 2005. 해양수산백서.
  10. Alan E. Branch, 1986. Element of port operation and management, champman and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