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유림의 기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평가단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능평가 단위로써 대유역, 중유역 그리고 소유역 단위의 평가방법을 고려하였다. 공유림의 경우 소유주체가 일원화 되지 않고 각 시 군의 행정권이 분산화 되어있으며, 산림의 규모가 영세한 특징이 있어 지번 단위의 평가방법은 공유림의 기능평가 단위로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공유림 기능평가에 적합한 평가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집수량 기준에 따라 소 중 대유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산림기능평가를 수행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각 평가단위에 따른 기능평가 결과에서는 유역단위 기능 구분 시 공유림의 소규모 산지들을 일정 규모 이상의 산지로 집단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각 평단단위 별로는 소유역 단위에서 중 대유역 단위로 갈수록 산림의 기능이 지나치게 단순화 되는 경향이 나타나 소유역 단위의 기능구분이 공유림의 산림기능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 land units of communal forests for evaluating forest functions using GIS. As the candidates of the effective land units, we chosen the administrative units of parcels and 3 different scales of watersheds; small, medium and large. However, the administrative units of parcels were discarded because of the extreme complexity of ownerships and the highly petty scales of parcels. Instead, the 3 different levels of watershed units were applied to evaluating forest func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resultant functional maps were compared each other in terms of the appropriateness or adequacy for field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ggregated area by watersheds provides the appropriate scales of land area for forest functions and the small watershed is the most adequate one as the effective land units for forest functions in communal for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