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pplication of Project Based Learning to Enable Students to Improve Creative Skills at Technology of Industrial Area

공업 기술적 창의력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법 적용

  • Received : 2008.07.20
  • Accepted : 2008.09.08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study has 4 purposes which are as the followings. First, it is to lay out the project based learning method which enables students to improve their creative skills. Second, it explains the appropriate way to apply the project based learning method to real learning situations. Third, it identifies how the students recogniz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fter the learning method has been applied. Finally, it discusses how learners recognized the effectiveness of project based learning method and how it enhanced their creative skills. During this study, research was conducted on students at J Industrial technical high school in a real learning situation. The study included 60 participants from 2 classes selected from 9 classes in third grade at the high school. Data was collected using surveys. Results indicated participants recognized the project based learning method allowed them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It enabled them to improve their creative skills and apply them to learning situation. Also, they recognized that this method provided them with varying creative thinking opportunities.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to improve their creative skills was the brainstorming(42%), followed by creative problem solving(17%), and then the checklist method(15%). The content creation(32%), topic selection(32%), and project implementation(18%) for presentations best illustrated student originality.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 기술적 창의력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법을 구안하고 이를 교실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J기계공업고등학교 실습장 환경에서 시행된 현장연구이다.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에 기초하여 창의력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법을 구안하였고, 그것을 적용한 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 공업 기술적 창의력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이 추후 학습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고, 공업 기술적 창의력 함양에 도움이 되었으며, 다양한 공업 기술적 사고 기회를 제공했다고 학습자들은 인식하였다. 특히, 창의력 함양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는 브레인스토밍 기법(42%), 창의적 문제해결법(17%), 체크리스트법(15%) 순이었다. 또한, 독창성을 가장 많이 발휘할 수 있었던 프로젝트 학습과정은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제작 단계(32%), 주제선정 단계(22%), 실행단계(18%)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7).교육인적자원부고시제2007-79호. http://www.moe.go.kr/main.jsp?idx=0405040101&cp=11&mode=list
  2. 김명원(2003). 당신의 창재를 클릭하라. 오상
  3. 김재은(2001). 인지이론-사고력 및 창의력 발달과 교육,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4. 문대영(2001). 초․중등학교 학생의 적응자․혁신자 역할 분담 문제 해결 활동이 기술적 창의력 계발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5. 정범모(2001). 창의력 그 심리인물사회, 교육과학사.
  6. 이무근․ 김판욱․ 김재식(1995). 실기교육방법론. 서울 : 배영사
  7. 이영민(2006). 혼합학습(Blending learning) 환경에서 프로젝트 학습법 실천사례.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1). 129-145.
  8. 이춘식(1991). 기술교과 교육에서 프로젝트법의 적용 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16(1). 53-62.
  9. 황유선(2001). 창의력 신장을 위한 듣기 학습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대교육대학원.
  10. Barrows, H. S., & Tamblyn, R. M. (1980). Problem-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New York: Springer.
  11. Gonzales, A. H., & Nelson, L. M. (2005), "Learner-Centered Instruction Promotes Student Success: Northface University Prepares Its Computer Science Students for the Workplace with Real-World Projects", The Journal, 32(6), 10-15.
  12. Guilford, J. P. (1967). The nature of intelligence. N. Y. : McGraw Hill.
  13. Harel, I. & Papert, S. (Eds.). (1991). Constructionism. Norwood, NJ: Ablex.
  14. Torrance (1976). Guiding creative talent. N. Y. : Robert E. Krieger.
  15. Tomas, J.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San Rafael, CA: Autodesk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