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ood Quality and Strength Properties of Old Structural Members

목조건축 해체 고목재의 재질특성 및 강도성능

  • 황권환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 박병수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 박문재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Received : 2007.08.17
  • Accepted : 2007.10.23
  • Published : 2008.01.25

Abstract

It is necessary to assess wood quality and strength of the clear specimens from used members in old wooden structures for the reuse of old members on the same structure or a new structure. Wood species classification by microscope observation of each wood member that was used in truss cord and temple, and several physical and strength tests by the specification of present KS standards were conducted to compare with some references. From the comparison of strengths with references, Korean larch gives relatively better wood qua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than other wood species. No significant deterioration of cell wall was found by microscopic observation for the sound wood part that was selected visually. Tensile specimens with 3 mm in thickness on the middle span showed greater strength than 5 mm thick specimens, which explains that dimension of tensile specimen should be examined for evaluating precise tensile strength properties. Other tests, compression, shear, and bending, are adoptable for each strength properties. Test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basic strengths and fastener connections for old wood species should be further examined.

목조건축물로부터 해체된 고목재를 해당 건축물의 복원이나 새로운 건축물에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열화 및 부후 부위를 제외한 건전재의 재질 및 강도성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트러스 현재로 사용된 부재와 사찰에 사용된 부재에 대해 현미경으로 수종식별을 행하고 KS 기준에 따라 각종 물성 및 강도 시험을 행하여 문헌에 의한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잎갈나무(Korean larch)는 재질 및 강도 성능이 기존 문헌값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소나무(Korean red pine)와 가문비나무(Yezo spruce)의 경우 해체재의 강도성능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육안에 의한 건전부위의 시험편 내의 조직적 열화는 현미경적으로도 관찰되지 않았다. 인장시험편의 중앙부 두께가 5 mm에서 3 mm로 변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증가하여 시험편 치수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압축 및 휨 시험법은 현행 기준으로도 적합한 수준이었다. 고목재류에 대한 구체적인 기초 강도 성능평가를 위한 시험방법 및 철물접합부의 접합성능에 대한 차후 연구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원규, 박만복. 2004. 근정전 고목재와 안면도 현생 소나무재의 재질 비교.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218-222.
  2. 산림청. 2003. 국가표준식물목록. http://www.koreaplants.go.kr:9101/
  3. 심국보, 이도식, 박병수, 조성택, 김광모, 여환명. 2003. 소나무 고목재의 물성 변화.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19-22.
  4. 심국보, 이도식, 박병수, 조성택, 김광모, 여환명. 2006. 소나무 고목재와 건전재의 물리, 기계, 화학적 특성 차이. 임산에너지. 25(2): 1-8.
  5. 오용성, 차재경, 곽준혁. 2002. 폐목재로 제조된 파티클보드의 성능 평가. 목재공학. 30(4): 23-26.
  6. 이필우. 1997. 한국산 목재의 성질과 용도(I) -목재의 구조 및 성질과 용도-. 서울대학교 출판부.
  7. 임업연구원. 1994. 한국산 주요목재의 성질과 용도.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95호.
  8. 임업연구원. 2002. 임업연구 80년사. 941.
  9. 임업연구원. 2002. 표준임업시험실시요령. 238.
  10. 조재명, 강선구, 허남주, 박상진. 1988. 원색 세계목재도감. 선진문화사. pp. 10-14.
  11. 한국표준협회. 2001a. 목재의 밀도 및 비중 측정 방법. KS F 2198.
  12. 한국표준협회. 2001b. 목재의 평균 나이테 나비 측정방법. KS F 2202.
  13. 한국표준협회. 2001c. 목재의 함수율 측정 방법. KS F2199.
  14. 한국표준협회. 2004a. 목재의 압축 시험 방법. KS F2206.
  15. 한국표준협회. 2004b. 목재의 인장 시험 방법. KS F2207.
  16. 한국표준협회. 2004c. 목재의 전단 시험 방법. KS F2209.
  17. 한국표준협회. 2004d. 목재의 휨 시험 방법. KS F 2208.
  18. 한국표준협회. 2004e. 침엽수 구조용재의 허용 성질 결정 방법. KS F 2152.
  19. 大越 誠. 2005. 木材の化学加工研究の現状と展望一木材のエコマテリアルを目指して. 木材学会誌. 51(1): 36-38.
  20. 林 知行. 1998. 高信頼性木質建材 エンジニア-ドウッド. 日本木材新聞社. pp. 58-71.
  21. 疋田洋子. 2000. 解体材の再利用 -循環型社会を目指して-. 木材保存. 26(1): 4-16.
  22. 平嶋義彦, 杉原未奈, 佐々木康寿, 安藤孝世, 山崎真理子. 2005. 古材の強度特性IIIーケヤキおよびアカマツの静的曲げ強度特性および衝撃曲げ強さ. 木材学会誌.51(3): 146-152.
  23. 堀江秀夫. 2002. 北海道産木造建築解体材の強度劣化. 木材学会誌. 48(4): 280-287.
  24. 堀 大才, 三戸久美子. 2003. 木材廃棄物の有効利用. 博友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