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경급 분포와 지위를 나타내는 경기도 광릉시험림 내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et Zuccarini) 인공림에서 간벌 시행 후 초기 3년간 지상부 탄소저장량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간벌은 2004년도에 흉고단면적 기준 30%와 60%를 벌채한 조사지 1(34년생)과 60%를 벌채한 조사지 2(45년생)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간벌 시행 후 3년이 경과한 2007년에 흉고직경(DBH) 및 수고를 측정하여 간벌 후 초기 탄소저장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평균 지상부 탄소 저장량($Mg\;C\;ha^{-1}yr^{-1}$)은 흉고단면적 기준 60% 제거구에서 조사지 2는 6.5, 조사지 1은 2.3으로 나타나 조사지 2의 잣나무 임분이 조사지 1의 잣나무 임분보다 약 3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이유는 조사지 2의 잣나무 임분이 조사지 1의 잣나무 임분에 비해 경급은 낮지만, 임분밀도와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사지 2에서는 흉고단면적 기준 60% 제거구가 대조구($5.2Mg\;C\;ha^{-1}yr^{-1}$)에 비해 약 1.3배 가량 연평균 탄소저장량이 많았다. 지상부 탄소저장량은 경급보다는 임분 밀도와 지위에 의해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지상부 탄소저장량 증대를 위한 임분 관리 및 시업을 위해서는 이들 두 인자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hort-term (3 years) effect of thinning on aboveground carbon storage for 34-year-old (site 1) and 45-year-old (site 2)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iebold et Zuccarini) plantations with different diameter class and site quality located in G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Thinning was manually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basal area in 2004 (site 1 : 30% and 60% of basal area removed and site 2 : 60% of basal area removed). In 2004 and 2007, DBH and tree height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changes in carbon storage after thinning. In the sites of 60% of basal area removed, although the mean DBH of site 1 was higher than that of site 2, mean annual carbon storage increment in site 2 ($6.5Mg\;C\;ha^{-1}yr^{-1}$) was about 3 times higher than that in site 1 ($2.3Mg\;C\;ha^{-1}yr^{-1}$). The reason for this result was probably due to higher stem density and site quality in site 2 compared to site 1. In site 2, mean annual carbon storage increment in thinned plot ($6.5Mg\;C\;ha^{-1}yr^{-1}$) was about 1.3 times higher than that in control ($5.2Mg\;C\;ha^{-1}yr^{-1}$).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tem density and site quality may be much more related to the aboveground carbon storage compared to diameter class. In addition, it is needed to consider these two factors for determining whether thinning is a feasible management alternative for the increase in aboveground carbon seque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