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al Pattern of Succeeding Regeneration after the Application of Shelterwood System in a Thrift-Mature Pinus koraiensis Plantation

잣나무 장령식재림에서 산벌작업 적용 후의 후계림 발달 양상

  • Kim, Ji Hong (College of Forest &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ang, Sung Kee (Fores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Korea Forest Service)
  • 김지홍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강성기 (산림청 산림인력개발원)
  • Received : 2008.08.25
  • Accepted : 2008.10.02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ly sound silvicultural system for the mature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vasion and growth of understory vegetation after partial cutting. In 1997, the age class VII Korean pine forest in the Experimental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was opened up about 50% by modified shelterwood cutting with site preparation to induce succeeding regenerations. After 10 years, plenty of hardwood have come to the stand, forming understory vegetation. The abundance and composition of understory vegetation was periodically investigated in the ten $10m{\times}10m$ permanent sample plots, estimating importance values, species diversity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diameter and height of the understory vegetation. Encouraged by canopy opening, the coverage of understory reached perfect closure, composed of 22 tree species and 20 shrub species in 2007. Morus bombycis occupied 29.6% of the total importance value and Cornus controversa was 17.0%, followed by Styrax obassia, Quercus aliena, Quercus mongolica, Acer mono, and Pinus koraiensis. In the year of 2000 the species diversity was highest as 2.547 with 26 tree species and deceasing thereafter, showing 2.220 with 22 tree species in 2007. As understory layer was thickly covered and got grow bigger, some shade intolerant species were disappeared, lowering species diversity. In 2007 the biggest tree was a Quercus aliena with 11.3 cm of DBH and the tallest tree was a Cornus controversa with 9.8m of height.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number of trees by diameter and height classes formed the inverted-J-shaped curve, supposed to be typical uneven-aged stand.

이 연구는 잣나무(Pinus koraiensis) 장령식재림에 대한 생태적으로 건전한 산림작업종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부분 벌채 후 하층 식생의 이주와 생장을 시험하였다. 1997년 당시 강원대학교 학술림의 VII영급 잣나무림에서 약 50%의 임관을 소개하는 산벌작업을 실시하고 임지정리작업을 수행하여 하층에 갱신치수가 발생하도록 유도하였다. 10년 후, 많은 활엽수가 이주 정착하여 하층림을 형성하였으며, 10개의 $10m{\times}10m$ 영구표본구를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수종구성, 종다양성, 그리고 직경과 수고의 생장과 분포를 조사하였다. 임관 소개에 의해서 2007년에 22종의 교목 수종과 20종의 관목 수종에 의해서 완전 울폐된 하층식생을 형성하였다. 산뽕나무의 중요치가 29.6%로 가장 높았고, 층층나무의 중요치는 17.0%로 산출되었으며, 이어서 쪽동백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잣나무의 순으로 구성 비율이 높았다. 2000년에 교목 26종이 출현하면서 종다양성지수가 2.547로 가장 높았고 그 후 감소 추세를 나타내어 2007년에는 22종의 교목으로 2.220의 종다양성지수를 나타내었다. 후계림이 점차 울창해지고 생장하면서 일부 내음성이 약한 수종들이 사라짐으로서 종다양성을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007년에 하층목 중에서 직경이 가장 큰 나무는 11.3cm의 갈참나무였고, 수고가 가장 큰 나무는 9.8m의 층층나무였다. 후계림의 직경급과 수고급에 대한 숫적 분포는 역"J"자 모양을 나타내어 전형적인 이령림 분포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강원대학교

References

  1. 강성기. 2000.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치에 따른 군집 구조적 속성 분석.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61.
  2. 고영주. 1992. 택벌림에 대한 고찰(II)-천연림의 예-. 국민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삼림과학 3: 1-24.
  3. 김광택. 2002.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군집유형별생태적 구조 및 동태 분석.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39.
  4. 김지홍, 최인화, 심우섭, 장중근, 양희문. 1998. 잣나무성숙림의 직파 갱신을 위한 산벌작업의 적용. 학술림연구지 18: 1-12.
  5. 김태욱. 1968. 천연갱신의 요건으로서의 소나무, 삼나무 및 잣나무의 내음성 조사.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연습림보고서 5: 119-126.
  6. 마상규. 1982. 침엽수 식재시기별 활착 특성과 식재적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58: 34-40.
  7. 양희문. 2002. 천연활엽수림의 용재생산을 위한 군집 생태적 속성의 활용 방안.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58.
  8. 신만용, 임주훈, 전영우, 고영주. 1992. 신갈나무-전나무 천연혼효임분의 갱신 및 무육방법(1) : 임분구조와 작업종. 한국임학회지 81(1): 21-29.
  9. 이경준, 한상섭, 김지홍, 김은식. 1999. 산림생태학. 향문사. pp. 365.
  10. 이원섭. 2002. 자연발생한 잣나무 치수의 네가지 임상별분포 및 생장.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산림경영학과 대학원. pp. 140.
  11. 전상근, 정현배. 1971. 잣나무 식재림의 생태학적 연구(I) -하층식생에 대하여- . 한국임학회지 12: 13-21.
  12. Barnes, B.V., Zak, D.R., Denton, S.R., and Spurr, S.H. 1998. Forest Ecology (4th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pp. 774.
  13.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 Dubuque, Iowa. pp. 194.
  14.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a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8. https://doi.org/10.2307/1931725
  15. Jin, G., Xie, X., Tian, Y., and Kim, J.H. 2006. 10. The Pattern of Seed Rain in the Broadleaved-Korean Pine Mixed Forest of Xiaoxingàn Mountains, Chin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5): 621-627.
  16. Jin, G., Tian, Y., Zhao, F., and Kim, J.H. 2007. 4. The Pattern of Natural Regeneration by Canopy Gap Size in the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of Xiaox-ing`an Mountains, Chin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2): 227-234.
  17. Kang, S.K. and Kim, J.H. 2008. 4. The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by Partial Cutting in a Silvopastoral Practiced Natural Deciduous Stan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7(2): 156-164.
  18. Nyland, R.D. 1996. Silviculture : Concept and Applications. McGraw-Hill Co. Inc. New York. pp. 633.
  19. Shepherd, K.R. 1986. Plantation Silviculture. Martinus Nijhoff Pub. Dordrecht. The Netherlands. pp. 322.
  20. Smith, D.M. 1986. The Practice of Silviculture. John Wiley & Sons Inc. pp.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