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the Heading Back Pruning on Flowering, Fruiting, and Nut Qualities of Chestnut Trees (Castanea spp.)

밤나무 절단전정이 개화, 결실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 Lee, Uk (Div.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won, Yong-Hee (Div.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Byun, Kwang-Ok (Div. of special-purpose tre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Mahn-Jo (Div. of Research Planning & Coordin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yun, Jung-Oh (Dep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수과) ;
  • 권용희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수과) ;
  • 변광옥 (국립산림과학원 특용수과) ;
  •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 ;
  • 현정오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Received : 2008.02.20
  • Accepted : 2008.04.16
  • Published : 2008.06.29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different treatment level of head back pruning (HBP) on flowering, fruiting and nut qualities. The average number of pistillate flowers per bearing mother branch (BMB) ranged greatly from 0.5 to 60.0. For all cultivars as the level of HBP treatment increases, the number of pistillate flowers per bearing branch (BB) and BMB decreased. For all cultivars the number of branches developed per BMB began to decrease above 30% HBP treatment level. The number of burrs per BB ranged from 1.0 to 2.0. Within 'Daebo' the number of burrs per BB increased with increasing HBP treatment level. The rate of fallen fruits was the lowest of 22.6% at the 50% HBP treatment level of 'Tsukuba', whereas the rate was the highest in 'Pyeonggi'. Nut weight increased with decreasing the number of burrs per BB. Nut yield per BMB showed a tendency of decreasing with increasing the HBP treatment level. Within a HBP treatment level nut grade indicating nut quality varied greatly among cultivars. For all cultivars except for 'Pyeonggi', the proportion of specially large nuts above the average weight increased as the HBP treatment level increased. The soluble solids cont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HBP treatment levels just right after harvesting of nuts. After 8 weeks of harvesting, however, the soluble solids content increased about 3.3% to 5.3%. and was highest at the 50% HBP treatment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HBP treatment levels and cultivars in the nut hardness which is highly related to the storage as well as the initial soluble solid content.

본 연구의 목적은 밤나무의 절단전정 시 처리수준에 따른 개화, 결실 및 과실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품종 및 처리수준에 따른 개화특성을 조사한 결과, 결과모지 당 평균 웅화수(雄花穗)의 개수는 0.5~60.3개로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처리수준이 증가될수록 결과모지 및 결과지당 웅화수의 개수는 감소되었다. 결과모지당 발생된 가지수는 처리수준 30% 이상에서 크게 감소되기 시작하였으며 결과모지당 결과지수는 가지 발생수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결과지당 착구수는 1.0~2.0개로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대보'의 경우, 처리수준이 증가될수록 많아졌다. 낙과율은 '축파'의 경우, 처리수준 50%에서 22.6%로 가장 낮은 반면, '평기'의 경우, 처리수준 50%에서 모두 낙과되었다. 절단전정에 따른 품종 및 처리수준별 과실특성 및 품질검정을 실시한 결과, 입중은 결과지당 착구수가 적을수록 높았으며, 결과모지당 수확량은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과실등급은 품종별 처리수준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평기'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에서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각각의 평균입중보다 무거운 과실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무처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특대립 비율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기 당도는 처리수준간 뚜렷한 차이는 없는 반면 후기 당도는 초기 당도에 비해 3.3~5.3%정도 증가하였다. 경도는 초기 당도와 마찬가지로 모든 품종 및 처리수준간 뚜렷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광출, 오성도, 임열대, 유영산, 강성모, 김선규, 신용억, 정경호. 1999. 과수 전정 생리. 서원출판사, 서울. pp. 52-102
  2. 구교상, 김갑영, 김경희, 김만조, 김선창, 박재복, 신상철, 안창영, 이문호, 이상현, 전현선, 정진현, 주린원, 최광식, 황명수. 2001. 밤나무 재배관리 기술. 임업연구원. pp. 12
  3. 김만조, 김선창, 황명수. 2007.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밤나무 재배 신기술. 국립산림과학원 pp. 28-42
  4. 김용호, 노일래, 고상욱, 최영훈, 김창명. 2006. 과다결실예상 온주밀감에 있어서 전정시기와 적과가 착화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4(3): 342-346
  5. 김원희, 정순경, 유봉식, 이종석. 2003. 하계전정과 적아법이 절화 장미의 생육과 절화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44(5): 713-717
  6. 손철호, 장우환. 2004. 재배특성별 밤나무 관리 실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12(1): 22-31
  7. 장준영, 임열재. 2002. 밀식사과원의 신초생장이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43(2): 187-190
  8. 장준택, 고광출. 1985. 하계전정 정도와 질소수준이 사경재배 사과나무의 생장과 수체내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26(2): 132-139
  9. 조광현, 윤태영. 2006. 사과 '홍로'의 착과 수준별 과실 품질, 수량 및 경제성. 한국원예과학기술지 24(2): 210-215
  10. 최성태, 김학규, 김성철, 최태민, 강성모, 박윤문. 2006. 변칙주간형을 개심형과 Y자형으로 갱신한 '부유' 감나무의 수체 반응. 원예과학기술지 24(3): 376-381
  11. Aldrich, W.W. and J.H. Grim. 1938.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 of pruning to set of fruit in pears. Proceeding of Amer. Soc. Hort. Sci. 36: 328-334
  12. Chio, S.T., S.M. Kang, D.S. Park, W.D. Song and G.H. Ahn. 2003. Effect of different severities of summer pruning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tree growth in young 'Fuyu' and 'Nishimurawase' persimmon. J. Kor. Soc. Hort. Sci. 44(5): 569-574
  13. Kikuchi, T. 1995. Systematic choice of apple orchard systems and the related training and pruning methods. J. Kor. Soc. Hort. Sci. 36(6): 943-951
  14. Mika, A., M.J. Grochowska and A. Karaszewska. 1983. Effect of dormant and summer pruning, disbudding and growth retardant on growth, flower bud formation fruiting of young apple trees. J. Amer. Soc. Hort. Sci. 108: 655-660
  15. Lauri, P.E., E. Trouanne, J.M. Lespinasse, J.L. Regard and J.J. Kelner. 1995. Genotype differences in the axillary bud growth and fruiting pattern of apple fruiting branches over several years-An approach to regulation of fruit bearing. Sci. Hort. 64: 265-281 https://doi.org/10.1016/0304-4238(95)00836-5
  16. Lauri, P.E. 2002. From tree architecture to tree training-An overview of recent concepts developed in apple in France. J. Kor. Soc. Hort. Sci. 43(6): 782-788
  17. Preece, J.E. and P. Read. 1993. The Biology of Horticulture-An Introductory Textbook.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pp.103-104
  18. Yakushiji, H., K. Morinaga and S. Ono. 1997. Effect of different shading times on the fruit quality of 'Fuyu' Japanese persimmon (Diospyros kaki L.). Acta Hort. 436: 165-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