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l Health Education Status of Elementary School in Gangwon-Do

강원도 초등학교 구강보건교육 실태

  • Ryu, Da-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and Public Health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
  • Ma, Deuk-Sang (Department of Preventive and Public Health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 류다영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
  • 마득상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8.06.0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p lanning ora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l. Methods conducted using a postal,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questionnaire containing 19 questions about oral health education which was provided by health teachers in elementary schol was used for data colle ction. Total response rate was 64.3% (119 out of 185). Results : Oral health education except one through textbooks was conduc of which taught oral health themselves. The contents of oral he alth education through special clas was mainly focusing on the tothbrushing method, dental caries, and the use of fluo ride. Acording to the grades clasified by the level of education, the order was the 3rd, 1st, and 2nd grade, which mea ns that the lower grades got more training than the h was acquired through the internet (72.2%), health-related organizations or academies (51.5%). Also, materi als for oral health education were obtained from health-related organizations or academies (67%), self-productio n (49.5%). According to the data during the past 5 years it was found that 13.4% health teachers had oral health-related that more traing neded to be conducted from 89.7% health tea chers. The most dificult problem in oral health education were insufficient time (56.7%). Conclusion : For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there needs a developmen t of targeted goal to achieve a systemic oral health education for each grades as wel as a ned for as health teachers to eficiently acquire knowledge and materials for oral health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hold regular workshops for health teachers, and develop and distribute appro priate educational materials.

Keywords

References

  1. 강용주 (2002). 혼합치열기의 구강보건관련 교육내용분석.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28, 진주
  2. 김경렬, 주현옥, 김영혜 (2005). 7차 교육과정 시행 후초등 보건교사의 보건교육 실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2(1), 41-54
  3. 김무길 (1979). 대도시인의 구강보건실태 및 상대구강보건의료수요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4(1), 19-43
  4. 김종배, 최유진, 문혁수 외 4인 (2004). 공중구강보건학(4판). 1-7,227-230, 서울 : 고문사
  5. 김희찬, 문혁수, 김종배 (1992). 한국인 구강건강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치대논문집, 16(1), 17-48
  6. 국민구강보건연구소 (1995). 1995년 국민구강보건조사보고. 41-42, 서울 : 국민구강보건연구소
  7. 류원향 (2002). 양호교사의 인식에 근거한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구강보건관리 실태.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27, 부산
  8. 류정숙 (1999), 충북 초등학교 양호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56, 서울
  9. 문양미 (2006). 초등학교 교과서의 구강보건관련내용에 관한 조사분석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24, 천안
  10. 문정순, 송경애, 이종은 (2005).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보건교육 실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2(4), 57-72
  11. 보건복지부 (2001). 200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 보건복지부, 51-52
  12. 보건복지부 (2004). 2003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 보건복지부, 52-53
  13. 보건복지가족부. (2007). 2006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공표 onlin . Available: http://www.mohw.go.kr/ 2008.03.04
  14. 배진순, 장성실 (2000). 충남지역 초등학교의 구강보건관리 실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3(2), 331-340
  15. 신승철, 서현석, 김선영 외 4인 (2002). 보건소 구강보건교육사업의 실태와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 보건복지부, 209-223
  16. 이순신, 백대일, 김종배 (1990). 교육방법별 잇솔질교육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4(2), 223-242
  17. 이형숙, 윤희숙 (2004). 학교구강보건교육 내용의 선정.조직. 한국위생과학회지, 10(2), 37-50
  18. 이혜진, 신승철, 조자원, 류현 (2004). 초등학교학생의 구강보건교육효과 평가에 관한 사례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8(4), 449-463
  19. 장기완, 김종배 (1987). 잇솔질교육의 집단교육방법별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1(1), 85-98
  20. 전정미 (2004). 서울시 일부 초등학교의 구강보건교육 실태 및 보건교사의 의식조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45, 서울
  21. 전현자, 송근배, 이성국 (1999). 구강보건교육에 의한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보건 지식도와 구강위생관리 능력의 변화.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2(2), 295-303
  22. 정세환, 고대호, 김영남 외 5인 (2006). 미래사회 대비 평생건강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구강보건사업강화 방안. 112-136, 서울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3. 진보형, 김영수 (2002). 우리나라 보건소 구강보건실의 구강보건교육자료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6(3), 397-403
  24. 학교보건법 9조의 2. 법률 제891호(일부개정 2008. 03.21)
  25. 허정은 (1988). 국민학교 구강보건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45 , 서울
  26. WHO Headquarters (2004). caries for 12-year-olds by country/area online . Available: http://www.whocollab.od.mash.se/countriesalphab.html [2008.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