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lling Properties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Containing PP Fiber Subjected to Fire Mixture Factors and Drying Condition

배합요인 및 건조상태 변화에 따른 PP섬유 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특성

  • Received : 2007.08.08
  • Accepted : 2008.06.20
  • Published : 2008.07.30

Abstract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n spalling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including W/B, air content and moisture condition as well as PP fiber contents subjected to fire. An increase with 0.05% of PP fiber resulted in a reduction of slump flow by as much as 11%. Ten percent of air contents due to excessive amounts of AE agent does not lead to variance of slump flow, regardless of PP fiber content. For the effect of the compressive strength, high strength concrete with 15, 25 and 35% of W/B gained 60 MPa~100 MPa of the compressive strength. High strength concrete with H-air had half of compressive strength of that with L-air due to large amount of air. Fire tes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KS F 2257-1 for 1 hour. Spalling did not occur with all specimens containing more than 0.10% of PP fiber except those with 15% of W/B. Moreover,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specimens with more than 10% of air content and with oven dried condition, respectively, had no spalling even if the content of PP fiber is 0.05 vol.%.

본 연구는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발생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토한 것으로써, 폭렬에 직접적인 상관관계에 있는 물-결합재비, 공기량 및 함수율 등을 PP섬유의 혼입률과 함께 변화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유동특성은 섬유의 혼입률이 0.05 vol.% 증가함에 따라 약 11%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기량이 10%인 경우는 다량의 AE제 사용에 기인하여 섬유의 혼입률과 상관없이 거의 유사한 유동성을 나타냈다. 강도특성으로는 W/B 15, 25 및 35%일 경우 100, 80 및 60 MPa이상으로써 고강도 범위로 나타났으며, 공기량 변수의 경우는 H-air가 L-air에 비해 약 1/2배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폭렬특성으로는 KS F 2257-1에 규정되어 있는 표준가열곡선에 의해 1시간 내화시험을 실시한 결과, W/B는 고강도로 W/B가 낮을수록 심하게 발생하는데, 15%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전반적으로 PP섬유의 혼입률 0.10 vol.%에서 폭렬이 방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기량을 10%로 많이 함유하는 시험체와 완전건조 시킨 시험체는 0.05 vol.% 혼입시에도 폭렬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천구, "비폭열성 콘크리트", 콘크리트 학회지, 1998, pp. 5-10
  2. 화재와 콘크리트, 콘크리트학회지 특집기사, Vol. 14, No. 2, 2002
  3. 한천구, 양성환, 이병렬, 황인성; W/C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혼입률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고온시 성상,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Vol. 16, No. 10, 2000, pp. 81-88
  4. 한천구, 황인성,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렬 방지에 관한 연구", 계간 건자재, 99년 봄호, 통권 17호, 1999, pp. 226-235
  5. 황인성, "화재시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렬에 미치는 재료 및 배합요인의 영향",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12
  6. 이병열, "화재시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렬방지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12
  7. 송훈,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동경대학 박사학위 논문, 2003
  8. Long T. Phan, "High performance concrete at high temperature an overview", NIST report, 2002
  9. Pierre Kalifa, Gregoire Chene, Christophe Galle, "High temperature behaviour of HPC with polypropylene fibres from spalling to microstruc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1, 2001, pp. 1487-1499 https://doi.org/10.1016/S0008-8846(01)00596-8
  10. Gary R. Consolazio, Michael C. McVay, Jeff W. RishIII,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pore pressures in saturated cement mortar sujected to radiant heating", ACI Materials Journal, Vol. 95, 1998, pp. 525-536
  11. C.G. Han, Y.S. Hwang, S.H Yang, N. Gowripalan, "Performance of spalling resistance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polypropylene fiber contents and lateral confin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5, 2005, pp. 1747-1753 https://doi.org/10.1016/j.cemconres.2004.11.013
  12. Rosa Maria Espinosa, Lutz Franke, "Influence of the age and drying process on pore structure and sorption isotherms of hardened cement paste", Cement & Concrete Research 36, 2006, pp. 1969-1984 https://doi.org/10.1016/j.cemconres.2006.06.010
  13. J.G. Sanjayan, "Design against spalling of concrete in fire", Proceeding of the First Korea-Australia Workshop on Recent Advances in High Performance Concrete, 2005, pp. 155-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