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남해안 멸치의 산란밀도와 어장가입

Spawning Density and Recruitment of Jan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2007

  • 차병열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양원석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김주일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장선익 (전남대학교 수산증양식연구센터) ;
  • 추은경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박주삼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투고 : 2008.07.25
  • 심사 : 2008.09.19
  • 발행 : 2008.09.30

초록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멸치의 주 산란기인 2007년 5월부터 8월까지 멸치 난자치어의 분포와 해양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권현망에 의한 해역별 어획량과 체장조성 자료와 종합하여 멸치의 시공간 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1. 멸치의 난은 5월부터 8월까지 분포하였으나, 분포밀도는 7월에 가장 높고 8월에 가장 낮았다. 2. 난의 주 분포해역은 남해도와 거제도 간 해역이며, 난이 많이 채집된 곳의 수온범위는 $15{\sim}24^{\circ}C$, 그리고 염분범위는 32~34이었다. 3. 멸치의 자치어의 분포밀도는 난의 분포와 같이 남해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높았다. 4. 고흥반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권현망어업에 의한 2007년 멸치 어획량은 통영이 11,409톤, 마산이 4,137톤, 사천이 2,487톤, 그리고 여수가 4,411톤으로 대부분이 남해도와 거제도 사이 해역에서 어획되었다. 5. 고흥반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권현망어업에 어획된 멸치는 3~4월에는 큰 멸치(4.6 cm 이상)가 많았고, 8월 이후에는 0.7 cm의 소형에서부터 13.0 cm의 대형 크기까지 분포하였다. 작은 멸치(4.6 cm 미만)는 연안측 가까이에서 많이 분포하였고, 큰 멸치(4.6 cm 이상)일수록 어장의 외해측에 분포하여 멸치는 내만측에서 어린 시기를 보내고 성장하면서 외해측으로 이동 확산해 나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eggs and larvae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was determined using data obtained from icthyoplanktonic surveys and oceanographic observations between Goheung Peninsula and Goeje Island from May to August 2007. Commercial anchovy catch and size composition from four local fishery cooperative associations were also analyzed in relation to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eggs and larvae. The abundance of anchovy eggs increased from May to July and was lowest in August. Eggs were mainly distributed between Namhae Island and Goeje Island, where water temperatures were $15{\sim}24^{\circ}C$ and salinities were 32~35‰. In 2007 anchovy landings between Namhae Island and Goeje Island were 11,409 tons at Tongyeong association, 4,137 tons at Masan association, and 2,487 tons at Sacheon association. However, landings between Goheung and Yeosu Peninsula were only 4,411 tons (at Yeosu association). The catch by anchovy tow net was high in the area where eggs were abundantly distributed. This indicates that the distribution of egg density was directly correlated with recruitment of E. japonica. All growth stages were abundant in the study area, indicating that this area is a major spawning and growing ground of E. japonica in Korean water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남해연안어업자원조사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남해수산연구소

참고문헌

  1. 국립수산과학원. 2005. 연근해 주요 어업자원의 생태와 어장. 예 문사, 397 pp
  2. 김상현. 방익찬. 2005. 2001년 7월과 11월의 한국남해 서부해역 에서의 멸치(Engraulis japonica) 어란과 자. 치어의 분 포 및 수송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8: 331-341 https://doi.org/10.5657/kfas.2005.38.5.331
  3. 김진영. 1983. 한국남해 및 서해 연안해역에서의 멸치난치어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16: 401-409
  4. 김진영. 강용주. 1992. 한국 남해 멸치의 산란생태. 한국수산학회지, 25: 331-340
  5. 김진영. 김주일. 1991. 한국 남해안 멸치의 난. 자어 밀도와 가 입.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45: 101-107
  6. 김진영. 김주일. 1993. 한국 남해 연안의 멸치 난. 자어 분포와 사망률의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5: 217-225
  7. 김진영. 김주일. 최광호. 1994. 봄철의 한국 남해 멸치와 정어리 卵 분포 및 감소율의 비교. 한국수산학회지, 27: 299-305
  8. 김진영. 최영민. 1988. 멸치, Engraulis japonica 난. 치어의 연직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1: 139-144
  9. 이승종. 고유봉. 2002. 하계 제주해협 주변 멸치 난. 자치어의 분포와 해양환경과의 관계. 1. 멸치 난. 자치어의 분포현 황. 한국어류학회지, 14: 222-233
  10. 이승종. 고유봉. 2003. 하계 제주해협 주변 멸치 난. 자치어의 분포와 해양환경과의 관계. 2. 해양환경 요인과의 관계. 한국어류학회지, 15: 162-174
  11. 이은경. 유재명. 김 성. 이영철. 1996. 대한해협 멸치 치자어의 수직분포. 한국어류학회지, 8: 47-56
  12. 최영민. 김진영. 1988. 한국 남해안산 멸치, Engraulis japonica (Houttuyn)의 재생산력.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41: 27-34
  13. 추효상. 김동수. 1998. 한국 남해의 대마난류 변동이 멸치 난. 자어의 연안역 수송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31: 226-244
  14. 추효상. 2002. 하계 한국 남해의 해황 변동과 멸치 초기 생활기 분포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5: 77-85
  15. 해양수산부. 2007. 2006 해양수산 주요통계(비매품), 266pp
  16. Kim, J.Y. 1992. Relationship between anchovy, Engraulis japonica, egg and larval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astern waters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5: 495-500
  17. Moser, H.G., W.S. Richards, D.M. Cohen, M.P. Fahay, A.W. Kendall, Jr. and S.L. Richardson. 1984. Ontogeny and systematics of fishes. The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sists, 760pp
  18. Okiyama, M. 1988.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1154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