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and the Review of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for Invention Gifted School

발명영재학교의 교육수요 진단 및 설립 타당성 검토 연구

  • Received : 2008.01.30
  • Accepted : 2008.03.12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review the validity and to investigated educational needs of the establishment for invention gifted school.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establishment plan through diagnosis necessity and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for invention gifted school. The methodes of this study were review, investigation researches, workshop, expert review for validity and a seminar.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invention gifted school presented distinctive curriculum and instruction methods. The curriculum focus on engineering, technology, invention, problem solving, and STEM. And it presented scenario on the establishment of invention gifted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necessity and distinction. Second, the invention gifted school investigated high-level transition from demand of education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ird, the necessity level was higher than the validity and feasibility with expert assessment. But,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invention gifted school institute will review pre-requirements and hinder factors.

이 연구는 발명영재학교 설립의 교육수요 진단 및 설립 타당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 조사연구, 개발진 회의 및 집중작업, 관련 전문가 타당성 검토 및 세미나 개최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영재학교는 기존의 과학 영재학교, 발명특성화고의 비교를 통하여 교육과정에서 차별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발명 영재학교는 공학, 기술, 발명, 문제해결,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통합)을 강조하여 다른 영재학교와의 차별화된 교육과정 내용과 방법을 추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부가가치가 높은 특허, 지식재산의 창출, 인재 양성 측면에서 차별성과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별성에 비추어 발명 영재학교의 설립에 대한 시나리오를 살펴보았다. 둘째, 교육수요 진단 결과,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발명영재학교로의 진학을 높은 수준에서 희망하였다. 셋째, 전문가들의 평가에 의하여 필요성 수준은 타당성이나 실현 가능성보다 높은 수준에서 필요성이 인정되었다. 하지만, 선결과제 및 장애요인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발명영재학교 설립에 앞서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억,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장영숙(1999). 영재교육과정 개발 연구 - 초.중학교 영재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수탁연구 CR 99-20.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 구자억, 김홍원, 박성익, 안미숙, 이순주, 조석희(2002). 동서양 주요 국가들의 영재 교육, 문음사.
  3.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년 시.도교육청 영재교육시행계획. 교육인적자원부.
  4.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1998).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개념 모형 개발, 교육과정연구.
  5. 김정희(2004). 미술영재 교육을 위한 예술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V.18. 65-86.
  6. 김종득 외(2004). 과학영재판별에 관한 연구I. KAIST과학영재교육연구원.
  7. 김춘미, 조은숙, 윤희원(2003). 예술 영재 판별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8. 김춘일(2004). 예술영재에 대한 인식의 문제와 개선. 조형교육. V.24 31-53.
  9. 김하석(2003).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의 수월성 교육 계획. 김희준 외. 대학에서의 수월교육진흥방안 연구. 교육정책연구 2002-특-18. 교육인적자원부.
  10. 김홍원, 조석희, 박주상 (2000). 영재교육담당교사의 임용 및 양성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문대영(2007). 발명지도교사의 직무분석을 통한 연수 프로그램 로드맵 구성. 한국발명진흥회
  12. 박성익(1995). 영재교육에 있어서의 교수방법 및 교수전략. 영재교육연구, 5(1). 81-112.
  13. 서혜애.정진철.손정우.곽영순.김주후.구외철(2006). 과학고등학교 발전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06-17. 한국교육개발원.
  14. 서혜애 외(2007). 공교육 차원의 발명영재교육 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5. 서혜애 외(2007).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보고서. 특허청.
  16. 서혜애, 박경희, 박지은(2007).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14
  17. 윤건호(2002). 과학영재 교육기관 운영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V.1. 113-131
  18. 조석희(2004). 과학영재학교 확대 발전 방안. 한국과학재단.
  19. 최유현(2007). 주니어 발명리더과정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및 개정연구 최종보고서.
  20. 최유현(2005). 지식재산 교육 모형의 이론 탐색과 실천 전략.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8(3), 77-93.
  21. 특허청(2007).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22. 한국예술영재학회(2007). 영재교육의 방법. 미진사.
  23. Egan, L. H. (1997). Inventors and Inventions : Grades 4-8. Scholastic.
  24. Evert, C. & Evert II, E. S. (1998). The Inventive MIND in Science :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Teacher Idea Press.
  25. Glass, A. R. (1992). The effects of thinking aloud pair problem solving on technology education student's thinking processes, procedures, and problem solu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