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 (Schmidt)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Korea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Schmidt) in the East Sea of Korea

  • 차형기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 권혁찬 (부경대학교) ;
  • 이성일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 양재형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 장대수 (국립수산과학원 자원연구과) ;
  • 전영열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Cha, Hyung Kee (Fisheries Resources Divisio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Kwon, Hyeok Chan (Department of Fisheries Physic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g Il (Fisheries Resources Divisio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Yang, Jae Hyeong (Fisheries Resources Divisio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Chang, Dae Soo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Chun, Young Yull (Fisheries Resources Divisio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투고 : 2008.11.04
  • 심사 : 2008.12.23
  • 발행 : 2008.12.31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안에 서식하는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의 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로, 2005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동해구기선저인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시료를 구입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암컷의 GSI 값은 1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3~5월에 높은 값을 보였고, 6월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수컷도 암컷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생식소 발달과정 및 생식소 숙도지수의 월 변화로부터 기름가자미의 산란기는 3~6월, 주 산란기는 4~5월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난소의 생식주기는 미숙기(7~11월), 중숙기(12~2월), 완숙기(3~4월), 휴지기(5~6월)로 구분되었다. 포란수는 최소 15,146개(TL 24.1 cm)에서 최대 101,491개(TL 38.1 cm)로 계수되었고, 전장(TL)과 포란수(F)와의 관계식은 $F=0.0004TL^{3.449}$ ($R^2=0.663$)으로, 체장이 커질수록 포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란에 참여하는 암컷의 성숙체장은 25.6 cm로 추정되었다.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Korea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were investigated using samples randomly collected in the East Sea of Korea from May 2005 to September 2008. Gonadosomatic index began to increase in December and reached a maximum between March and May. After spawning it began to decrease from June. The spawning period was March to June, and the main spawning period was April to May. Annual reproductive cycles of this species can be divided into four successive stages; immature stage (July~November), maturing stage (December~February), mature stage (March~April) and spent stage (May~June). The fecundity ranged from 15,146 eggs at 24.1 cm (TL) to 101,491 eggs at 38.1 cm (TL).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 (TL) and fecundity (F) can be expressed as $F=0.0004TL^{3.449}$ ($R^2=0.663$), with F increasing with TL. The TL at 50% group maturity ($TL_{50%}$) was estimated to be 25.6 cm.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동해연안어업자원조사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립수산과학원

참고문헌

  1. 국립수산과학원. 2004. 한국연근해 유용어류도감. 제2판. 한글출판사, 부산, 333pp.
  2. 국립수산과학원. 2005a. 1995-2003년 배타적경제수역 어업자원조사 보고서. 어업자원조사보고, 1: 1-345
  3. 국립수산과학원. 2005b. 2004년 배타적경제수역 어업자원조사 보고서. 어업자원조사보고, 2: 1-266
  4. 김수암.장창익. 1994. 어류 생태학. 서울프레스, 서울, 273pp.
  5. 이성일.박기영.김영섭.박헌우.양재형.최수하. 2006. 한국동해안 참가자미, Pleuronectes herzensteini (Jordan et Snyder)의 연령과 성장. 한국어류학회지, 18: 355-362
  6. 이택열.강용주.이병돈. 1985.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의 생식주기 및 개체군 동태. 1. 생식주기. 한국수산학회지, 18: 253-261
  7. 장윤정.이정용.장영진. 2004. 동해안 참가자미, Limanda herzensteini의 생식주기. 한국양식학회지, 17: 128-132
  8. 장창익. 1991. 수산자원생태학. 우성출판사, 서울, 399pp.
  9. 전제천.심두생.김용호.정의영. 2003. 한국 서해산 돌가자미, Karejus bicoloratus의 성 성숙. 한국어류학회지, 15: 259-271
  10. 차형기.박기영.이성일.박헌우.권혁찬.최수하. 2006. 한국 동해안 참가자미, Pleuronectes herzensteini (Jordan et Snyder)의 성숙과 산란. 한국어류학회지, 18: 363-367
  11. 차형기.이성일.윤상철.김영섭.전영열.장대수.양재형. 2007. 한국 동해안 대구, Gadus macrocephalus TILESIUS의 성숙과 산란. 한국어업기술학회지, 43: 320-328 https://doi.org/10.3796/KSFT.2007.43.4.320
  12. 최수하.전영열.공용근.손송정. 1986. 동해안 참가자미의 연령, 성장 및 성숙에 관한 연구. 수진연구보고, 39: 43-51
  13. 최수하.허영희.전영열.장창익. 1999. 한국 동해안 용가자미, Cleisthenes Pinetorum herzensteine (Schmidt)의 성장과 성숙. 한국수산자원학회지, 2: 1-13
  14. 최 윤.김지현.박종영. 2003. 한국의 바닷물고기. 2판. 교학사, 서울, 646pp.
  15. 황번일.최수하.홍순택. 1979. 한국 남서해산 물가자미(Eopsetta grigirjewi HERZESTEIN)의 어업생물학적 연구(II). 수진연구보고, 21: 23-33
  16. Asahina, K. and I. Hanyu. 1983. Role of termperature and photoperiod in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rose bittering, Rhodeus ocellatus acellatus. Bull. Jap. Soc. Fish., 49: 61-67 https://doi.org/10.2331/suisan.49.61
  17. De Vlaming, V.L. 1972.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reproductive cycling in estuarine gobbidfish, Gillichys mirabillc. Fish. Bull., 70: 1137-1152
  18. Fadeev, N.S. 2005. Guide to biology and fisheries of fishes of the North Pacific Ocean. Vladivistok, TINRO-Center. 366pp.
  19. Love, M.S. and W.V. Westphal. 1981. Growth, reproduction and food habits of olive rockfish, Sebastes serranoides, off Central California. Fisheries Bulletin., 79: 533-543
  20. Nishi, K. 1979. A daily rhythm in the photosensitive development of the ovary in the bitterling, Rhodeus ocellatus. Bull. Fac. Fish. Hokkaido Univ., 30: 109-115
  21. Pushchina, O.I. 2000 Specific features of feeding of the Glyptocephalus stelleri and Acanthopsetta nadeshnyi in the northwestern sea of Japan. J. Ichthyol., 40: 247-252
  22. Shimizu, A. and I. Hanyu. 1983. Environmental regulation of spring period in autumn spawing bitterling, Pseudoperilampus typus. Bull. Jap. Soc. Sci. Fish., 49: 895-900 https://doi.org/10.2331/suisan.49.895
  23. Tottori Prefecture Web Site. 2008. http://www.pref.tottori.lg.jp/dd.aspx?menuid=73961 in October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