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 analysis on the arrangement and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industrial high school in the Gyeonggi province

경기도 지역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내용 분석

  • Received : 2008.01.30
  • Accepted : 2008.03.12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identity through the inductive 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the industrial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The departments of electricity, electron, and correspondence of the 22 industrial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re selected as the subject school of this researc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11 out of 18 industrial schools currently arrange larger completion unit of special curriculum than common one, and 2 out of 4 general high schools do. Second, industrial schools reduced 2-4 units of required subjects of the departments, general high schools did 2 units. 11 out of 18 industrial schools arranged larger student's elective subjects than school's in the completion unit of common curriculum, and 3 out of 4 general high schools did. 31 out of 32 departments of 18 industrial schools arranged larger student's elective subjects than school's in the completion unit of common curriculum. Third, 4 out of 18 industrial schools used the certified textbooks for newly organized subjects. But 25 departments of 15 schools out of 36 departments of 22 schools changed the industrial departments into high-tech ones. Fourth,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by 3-type curriculum, 12 out of 18 industrial schools adopted employment-centered curriculum, 7 out of 18 schools did foundation-centered curriculum. 2 out of 4 general schools adopted employment-centered curriculum, 2 out of 4 schools did college preparation-centered curriculum. Therefore, Schools are estimated to have much effort to find their identities through the arrangement of school curriculum.

이 연구 목적은 경기도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내용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학교의 정체성을 파악해 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남부지역 공업계열 고등학교 22개교의 전기전자통신 분야 학과로 한정하였으며, 2008학년도 학교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귀납적 내용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이수 단위 편성 결과는 순수공업고등학교의 경우는 현재는 전문교과 이수 단위를 높게 편성하는 학교가 18개교 중 11개교로 많게 나타났으며, 종합고등학교는 전문교과 이수 단위가 높은 학교 4개교 중2개교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중심 교과 과목의 이수 단위 편성 결과로는 계열 필수 과목 이수 단위에서 순수공업고등학교는 기준 8단위에서 2~4단위를 감축하였고, 종합고등학교는 2단위를 감축 편성하였다. 보통교과의 선택 과목 이수 단위에서 순수공업고등학교는 18개교 중 11개교가 학생선택보다 학교선택 이수 단위가 높았으며, 종합고등학교는 4개교 중 3개교가 학교선택의 이수 단위가 높게 나타났다. 전문교과의 선택 과목 이수 단위 편성 결과는 순수공업고등학교 18개교의 32학과 중 31학과가 학생선택보다 학교선택이 높게 편성되었다. 셋째, 과목 신설에 따른 인정도서 사용은 공업고등학교 18개교 중 4개교가 편성하였다. 그러나 경기도 남부 지역 22개교 36개 학과 중 15개교의 25개 학과에서 첨단학과 개편 사업의 일환으로 학과를 변경한 바가 있다. 넷째, '3-type' 교육과정 유형에 따른 학교교육과정 분류 결과는 공업고등학교 18개교 중 12개교가 취업중심형 교육과정으로 편성, 7개교가 진학중심형 교육과정으로 편성하였다. 종합고등학교는 4개교 중 2개교는 취업중심형 교육과정으로 편성, 2개교는 진학중심형 교육과정으로 편성하였다. 학교교육과정을 통해서 단위학교별로 정체성을 찾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령 편저 (2005). APA 논문작성법. 경기 파주: 양서원.
  2. 권낙원(2005). 교육과정총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강의 자료. 미간행.
  3. 교육개혁위원회(1996).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제 4 차 대통령 보고서.
  4. 교육부(1997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별책4) 고등학교 교육과정(I).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5. 교육부(1997b). 특성화 고교 및 대안 학교 설립 지원 방안.
  6. 교육부(1998). 제 7 차 교육과정(별책20) 공업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7. 교육부(1999). 초.중.고등학교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기준. 교육부.
  8. 교육부(2000). 제 7 차 교육과정의 개요. 교육부.
  9. 교육인적자원부(2001). 제 7 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총론). 대한교과서.
  10. 교육인적자원부(2005).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세부시행 계획.
  11.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년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12. 교육혁신위원회(2005).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13. 경기도교육청(2006a).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14. 경기도교육청(2006b). 실업계.기타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해설서.
  15. 경기도교육청(2006c). 경기도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해설서.
  16. 김선태, 송달용, 박병윤, 성영완, 최항미(2007). 통합형고등학교 도입.운영 매뉴얼. 교육인적자원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김진수(2006). 공업교육. 서울: 동일출판사.
  18. 오승균, 김진수(2006).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 유형 모형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2), 83-110.
  19. 이종성, 정향진(2004). 실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편 방향 탐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2004-5.
  20. Eisner, E. W.(1985). The Educational Imagination on Design and Evaluation df School Programs. New York : Macmillan Company.
  21.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8.
  22. McNeil, J. D. (1985). Curriculum :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3rd ed). Boston : Little Br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