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고등학교 프로젝트 수업에서 교류분석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와 언어적 상호작용

The Effect of Grouping by Transactional Analysis and Students' Verbal Interaction on the Project method in Technical High School

  • 투고 : 2008.01.30
  • 심사 : 2008.03.12
  • 발행 : 2008.03.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고등학교 프로젝트 수업을 위한 소집단의 구성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D 공업고등학교의 건축디자인과 2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그 중 한 학급에 20명씩 4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학생들은 교류분석 실습의 과정에서 각자의 이고그램(ego-gram)에 의한 자아상태(ego-state)를 조사하였다. 구성원 4명을 1개조로 구성하여 연구대상 40명을 총 10개의 소집단을 구성 하였고, 그 중 자아상태 동질 소집단은 NP점수와 AC점수가 상위인 학생들로만 구성된 4명을 1개 조로 구성하였다. 자아상태 이질 소집단은 NP주도 1명, A주도 1명, FC주도 1명, AC주도 1명으로 구성된 4명을 1개 조로 구성하였다. 선정된 소집단은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한 후 소집단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글로 옮긴 원고(transcript)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언어적 상호작용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개별진술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상태 중 TAOK(Transactional Analysis-Okay) 측면의 동질 집단의 학생들이 개별 진술의 횟수가 110회로 이질 집단의 학생들 87회에 비하여 개별진술의 빈도가 더 많았고 대화의 내용도 질문에 서로 답하는 상보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how to organize small groups on the project method class in technical high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classes including 40 second-year students (20 students in each class) of architecture design course in D technical high school located in Taejeon metropolitan city.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go-state by the ego-gram practicing Transactional Analysis. Total 10 small groups were organized. Each group had 4 members. And the same quality of egostate small group was organized by the 4 students who have high score on NP and AC. The different in kind small group was organized by the 4 students, each of whom has NP leading, A leading, FC leading and AC leading score. After the target small group was video- taped, students' verbal interaction was written into transcripts. Their individual states were analysed by the frame of verbal inter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same quality of TAOK small group had more active interaction(110 times) than different in kind small group(87 times). The frequency of complementary transaction was also higher plenty in the same quality of TAOK small group.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진.(2000). 토론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형성을 강조한 개념 학습 전략: 교수 효과 및 소집단 토론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손주민, 김판욱.(1995). 공업계 고등학교 실기교육에서 동료지도법을 적용한 협동학습 수업전략, 대한공업교육연구, 31(1). 서울:대한공업교육학회.
  3. 우재현.(2006). 심성개발을 위한 교류분석(TA) 프로그램. 대구:정암서원.
  4. 우재현.(2006). 이고그램 243 패턴. 대구:정암서원.
  5. 유병로.(2001). 수정된 TAPPS 활동이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전자회로 고장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이기춘.(1990). 교류분석과 상담. 대학 카운슬러연구협의회 편.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중앙적성.
  7. Alexopoulou, E., & Driver, R. (1996). Small-group discussion in physics: Peer interaction modes in pairs and fours. Jouran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0),1099-111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2)33:10<1099::AID-TEA4>3.0.CO;2-N
  8. Bandura, A. (1969). Principles of behavior modific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9. Chan, K. W., & Galton, M. (1999). Cooperative learning in Hong Kong schools: Attitudes of teachers and pupils toward cooperative group work. ED 435609.
  10. Furnham, A., & Heaven, P. (1999). Personality and social behaviour (pp. 77-101). London:Arnold.
  11. George, J. M. (1990). Personality, affect, and behavior in group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5(2), 107-116. https://doi.org/10.1037/0021-9010.75.2.107
  12. Hoffman, L. R., & Maier, M. R. F. (1961). Quality and acceptance of problem solution by members of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group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2(2), 401-407. https://doi.org/10.1037/h0044025
  13. Johnson, D. W., R. Johnson. (1997). Joining together: Group theory and group skills. 6th ed. MA:Allyn & Bacon.
  14. Katz, L. G., & Chard, S. C.(1989). Engaging children's mind. Norwood, NJ: Ablex.
  15. Lindly, L. D., & Borgen, F. H. (2000). Personal styles of the strong interest inventory: Linking personality and interes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7(1), 22-41. https://doi.org/10.1006/jvbe.1999.1723
  16. Tziner, A. (1985). How team composition affects task performance: Some theoretical insights. Psychological Report, 57(3), part 2, 1111-1119. https://doi.org/10.2466/pr0.1985.57.3f.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