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search on priority of the role and function of industrial high school recognized by industrial education specialist

공업계열 고등학교 역할과 기능의 우선 순위에 관한 공업교육 전문가 인식

  • Received : 2008.07.20
  • Accepted : 2008.09.08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elements of the function of the role of industrial high schools that its experts perceived.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is verify the function element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of the role of specialized education through content validity ratio(CVR). This research adopted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method, which is to collect and come to an agreement of the opinions of the 26 research panels. The first round is constructed by the semi-constructed questionnaire for th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the panels by inductive method. The second round is to categorize the result of the first one into 7 domains, and asked each category by Likert's 5 scale checklists, and statistically analyzed mean, medium, standard deviation, and quartile. The third round is to statistically analyze Mean, standard deviation, medium, and validity ratio(CVR) to reassure the opinions of the panel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first one. The categorized contents of the function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of the specialized education in this research is 'in-service visit and in-service training', 'licence acquiring education', 'employment counseling and job employment information', 'custom-made education connected with industry', 'career education' and 'enhancement of basic career competency'. The panels are divided into professors, teachers, professionals, and policy administrators, and they verified the validity rate of the function role and priority of empha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ndency of the education is converting from physical function-centered education to education of emotional attitude and competence of thought.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교육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지식기반사회에서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현재와 향후에 대한 학년별 우선 순위 요인을 구명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교수, 연구원, 행정가, 공업계열 교사 등 26명의 공업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3라운드에 걸쳐 델파이 조사 연구로 이루어졌다.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역할은 현재는 취업교육, 진학교육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타났으나, 향후에는 취업교육, 진학교육, 창업교육, 평생교육 등의 역할을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취업교육' 역할에 대한 기능으로서는 현재는 3학년 위주의 신체적 기능 교육이 강조되고 있지만, 향후에는 현재와 역순으로 '직업기초능력', '일의 가치와 태도', '직업진로교육', '취업상담 및 직업 고용정보 제공', '산업체와 연계한 맞춤형 교육', '현장체험 및 현장실습 교육', '자격증 취득 교육' 등으로 저학년부터 정의적인 능력과 태도 교육을 강조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학교육' 역할에 대한 기능으로서는 현재는 3학년 중심으로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향후는 '전공분야의 지식, 태도, 기능'을 겸비하고 대학진학을 위한 준비교육을 1학년부터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교육' 역할에 대한 기능 영역으로서는 '창업관련 동아리 활동 지원', '창업 마인드 및 리더십 교육', '창업지원 교육', '창업 컨설팅' 등이 현재보다는 향후에 2, 3학년 순으로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 역할에 대한 기능 영역으로서는 평생교육의 개념상 학년별 검증은 유의미하지 않으므로 검증에서 제외하였으나 '재취업자 교육', '재직자 재교육', '교양 및 여가 취미 프로그램', '평생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등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이상과 같이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역할과 그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 요인의 우선순위를 구명되었으므로, 향후 공업교육기관에서 국가수준, 지역수준,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시 적극 적용되어야한다. 또한 역할의 하위 영역인 기능 요인 영역의 구체적인 요인 분석은 후속 연구로 진행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1999). 구성주의 교육학.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또 하나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모형. 서울: 교육과학사.
  2. 강진령 (편저). (2005). APA 논문작성법. 경기 파주: 양서원.
  3. 교육부(1997). 공업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4. 교육인적자원부(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공업에 관한 교과.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5. 교육인적자원부(2005). 직업교육체제 혁신 방안 세부 시행 계획.
  6. 교육인적자원부(2006). 산업별 핵심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정부부처 위탁․지원 운영 특성화 실업고등학교 육성 계획 방안.
  7. 교육인적자원부(2007).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별책 20].
  8. 교육인적자원부(2007.4).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육성 계획. 과학실업교육정책과-184
  9. 과학기술부, 농림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2001). 전통주력산업의 신기술 접목과 핵심 기술 개발. 과학기술기본계획(안)
  10. 김건호(1981). 공업고등학교 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기계과를 중심으로. 공업교육연구문헌해제 제 2 집. 한국교육개발원, 충남대학교공업교육연구소, 121-126.
  11. 김용재(1998). 공업교육에서 구성주의에 의한 교수․학습의 방향과 이론적 탐색.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3(2). 79-91.
  12. 김진수(2005).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서울: 웅보출판사.
  13. 노태천(1993.9). 공업고등학교 교육의 성격은 어떠해야 하는가. 한국직업교육학회지, 12(1), 62-78.
  14. 노태천(1998.12).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성격과 목표의 구성 방향.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논문집, 21(1), 16-27.
  15. 노태천, 이용순, 이규욱, 오승균(2005). 경기도 산업구조변화에 대비한 실업교육 대응전략 및 운영 방안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16. 신윤철(2007). 공업계고등학교 비즈쿨 운영에 대한 담당 교상의 인식.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청원.
  17. 엄계선(1981). 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선방안과 교육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75-88.
  18. 오동규(2006). 공업계 고등학교 영상 제작 수업에서 협동적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영상 제작 능력의 함양에 미치는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청원.
  19. 오승균, 김진수(2006).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모형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2), 83-110.
  20. 오승균, 김진수(2007). 경기도 전문계고등학교 교사들의 국외체험 연수과정이 직업교육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학회지, 32(1), 153-171.
  21. 우수명(2006). 마우스로 잡는 SPSS 12.0. 서울: 인간과 복지
  22. 윤미숙(1999). 비서의 역할 및 역량 모델링에 관한 델파이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3. 이보성, 주혁종(1981). 공업고등학교 화공과 교육개선을 위한 연구. 공업교육연구문헌해제 제2집. 충남대학교 공업교육 연구소. 한국교육개발원.
  24. 이상갑(2001).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기술교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충북 청원.
  25. 이상혁, 진의남, 이상봉(1999). 기술교과 교수학습 방법론. 서울: 교학사
  26. 이용순(1992). 산업구조변화와 공업고등학교교육에 대한 토론. 대한공업교육학회지, 17(1), 1-8.
  27. 이용순(1999). 직업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8. 이용순, 정향진, 이수용(2006). 고등학교 공업계열 전문교과(공통영역)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29. 이정근(1980). 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선방안과 교육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공업교육연구문헌해제 제 1 집. 한국교육개발원, 7-11.
  30. 장재성(2003). 전문가의 인식에 기초한 기술 교육 교육과정 구성의 지향 모델.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충북 청원.
  31. 정성봉(2002). 실과 교육 평가. 충북 청원: 한국교원대학교출판부.
  32. 정철영(2007. 6). 중등직업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 전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2007년 한국직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5-59.
  33. 조영남(1999). 구성주의 교육학: 구성주의 교수-학습. 교육이론실천연구 시리즈(2), 156-166.
  34. 중소기업청(2005. 4). 기업․공고 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35. 최유현(2005). 기술교과교육학. 서울: 형설출판사.
  36. 최지연(2006). 초등학교 실과 '우리생활과 목제품'단원 수업의 조직 및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충북 청원.
  37. 하영철(1998). 수업지도의 실제: 수업방법의 개선. 서울: 동현출판사.
  38. Dalkey, N. C. (1981).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The Rand Corp., RM-5882-PR.
  39. Ewing, D. M. (1992). Future Competencies Needed in the Preparation of Secretaries in the State of Illinois Using the Delphi Technique. Ph. D. diss., University of Iowa.
  40. Gray, K. C., & Herr, E. L. (1998). Workforce Education: The Basics. Allyn & Bacon.
  41. Lewis, M. V. (2002).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xchange in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An American Perspective. Paper presented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kforce Education and Development (ICOWED 2003), Taipei.
  42. Pratzner, F. C. & Jill Frymier Russell. (1983). The Roles and Functions of Vocational Education ; Some Current Perspectives,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in Vocation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