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ariff Structures of Forest Products Between Korea and China

한-중 임산물관세구조 비교분석

  • Chang, Cheol-Su (Division of Forest Policy Research, Korea Rural Economics Institute) ;
  • Lee, Sang-Min (Division of Forest Policy Research, Korea Rural Economics Institute)
  • 장철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실) ;
  • 이상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실)
  • Received : 2008.02.12
  • Accepted : 2008.03.10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ariff structures for the upcoming FTA negoti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China is the biggest trade partner of Korea, sharing 33% of total trade value of forest products. However, import takes majority of trade value and it grows constantly. The results of FTA negotiation may have large impacts on Korean forest industry. The conclusions indicate that China subdivides items more complicatedly, and impose lower tariffs on forest products except stone than Korea. Besides, China has tariff escalation system that imposes lower duties on raw material than the manufactured, and also charges different rates of tariff on items of the same heading number according to the degrees of manufacturing. Furthermore, Korea imposes adjustment duties and didn't grant concessions on plywood and board items for protection of domestic industries, however, China already made concessions on all items. As a result of this, it will be unavoidable for Korea to increase import value from China, and tariff removal will have more negative impacts on Korea than China.

이 연구의 목적은 한-중 임산물 관세구조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예상되는 양국간 FTA 협상을 대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중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임산물 교역국으로 2007년 전체 임산물 교역액의 33%에 달한다. 그러나 대중 교역액의 대부분은 수입이며,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FTA 협상 결과에 따라 국내임산업에 미칠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관세구조를 비교분석해본 결과 중국은 우리나라보다 품목이 더 세분화되어 있고 무관세 품목이 많으며 석재류를 제외하고는 단기소득임산물과 목재류에서 모두 우리나라보다 관세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은 가공도가 낮을수록 무관세 또는 저율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가공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누진관세 체계를 가지고 있으나 동일부류 내에서도 다시 가공도에 따라 차등 관세를 부과하는 등 복잡한 관세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합판, 보드류의 경우 한국은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양허하지 않고 조정관세를 적용하고 있으나 중국은 모두 양허하였으며 대신 가공도에 따라 차등 관세를 부과하여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특징이 있다. FTA체결을 위해 예외 없는 관세철폐 원칙이 적용될 경우 실행관세 세율이 높은 한국의 수입 증가폭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며, 관세철폐에 따른 충격은 무관세 품목이 적은 한국이 상대적으로 더 클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임산물 부문 FTA 협상대응방안 연구: 한-EU, 한-중

Supported by : 산림청

References

  1. 김남두. 2006. 한중일 FTA의 수산 부문 효과와 대응 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 김윤식. 2006. 한-미 FTA가 한국 쇠고기 시장에 미치는 영향. 제4회 동북아농정연구포럼 국제심포지엄. pp. 199-205
  3. 어명근, 정정길, 김배성, 허주녕. 2004a. 한중일 FTA 농업 부문 파급 효과 계측.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어명근, 장철수, 이광. 2004b. 한일 FTA 체결과 임업 부문의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C2004-18
  5. 어명근, 장철수. 2005. 한일 임산물 관세 구조와 경쟁력 분석. 농촌경제. 28(1): 59-79
  6. 이상민, 장철수. 2006. 한-미, 한-캐나다 등 FTA협상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 임업 부문 영향분석. 한국통촌경제 연구원 C2006-46
  7. 이상민, 어명근, 장철수, 김경덕, 한민희. 2007. 임산물 부문 FTA 협상대응 방안 연구: 한-EU, 한-중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C2007-37
  8. 이창수, 박지현, 김용택. 2005a. 한중일 FTA: 농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 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9. 이창수, 박지현, 권오복. 2005b. 한미 FTA가 한국 농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 효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0. 장우환, 최규섭, 한상열, 권용덕, 성동현, 이현지. 2004. 통상여건변화에 따른 수출품목 경쟁력 제고방안. 산림청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1. 장철수, 이상민. 2006. 한미 캐나다 임산물 교역동향과 관세구조분석. 산림경제연구 14(2): 1-18
  12. 최세균, 김태곤. 2001. 한일 자유무역협정 체결이 농업 부문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www.kita.net
  14. www.custom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