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된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종복원을 위해 인위적인 교배를 통하여 획득한 자치어를 대상으로 성분화 과정을 조사하여 성적임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부화 후 4~5일째 자어에서 생식융기 1쌍이 장과 중신관 사이에서 관찰되었고, 그 후 유사분열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부화 후 20일째 치어에서 난원세포의 출현으로 난소 분화가 시작되었으며, 부화 후 30~40일째를 거치면서 염색인기와 주변인기의 난모세포로 성장하였다. 난황은 부화 후 80일째의 자어에서 생성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100일째가 되어 eosin에 염색되는 난황구가 생성되었다. 이후 난모세포는 난황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세포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약 10개월째에는 난막과 여포세포층에 의해 둘러싸여진 난모세포로 분화하였다. 한편 정소는 부화 후 25일경 치어에서 분화되기 시작하였고, 40일경 유사분열을 통해 정원세포를 둘러싸는 포낭을 형성하였다. 부화 후 100일째가 되면 정소는 정소엽 구조를 형성하였고 hematoxylin에 매우 진하게 염색되는 정모세포로 분화하였다. 부화 후 7개월째 치어의 정소엽 내부에 정세포가 출현한 이후, 부화 후 만 1년을 경과한 치어에서 최초로 성숙한 정자가 출현하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적으로 부화된 꼬치동자개 자치어의 성분화는 다른 종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정상적인 발달을 보인다고 판단되었다.
The endemic Korean stumpy bullhead Pseudobagrus brevicorpus is a first-grade endangered wild fish a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As part of its restoration and proliferation effort, a histological study of this fis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ex differentiation and gonadal development based on F1 generation individuals obtained by artificial breeding. On days 4~5 after hatching, a pair of genital ridges including clusters of primordial germ cells was observed between the gut and the mesonephric duct. On days 20 after hatching, the ovary began to initially differentiate and contained early oocytes with chromatin-nucleolus and peri-nucleolus stages on days 30~40 after hatching. As yolk material accumulated after day 80 from hatching, the oocytes grew increasingly large and were surrounded by a distinct follicular layer. On days 306 after hatching, the oocytes grew toward a mature ovum. In the males, the testis was distinguished by emergence of spermatogonium cells on 25 days after hatching, and day 40 after hatching it contained a small number of seminal lobes forming cysts. From 173 days after hatching, the testis consisted of numerous enlarged seminal lobes including spermatocytes and spermatids. Over 14 months after hatching, some seminal lumens were filled with spermatoz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