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duction and Distribution's Effective Study for Popularized Conversation of Korea Independent Film

한국 독립영화의 대중적 소통을 위한 제작, 배급의 효율성 연구

  • 한달호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 Published : 2008.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heck what ar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independent films and to find the solutions for effective circulation of the Korean independent films in terms of its intimacy to public. For this, I would like to define 'independent film' and 'its ambiguous distinction', and then I presented the current issues of the Korean independent films and suggested the alternatives of the effective circulation of it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dependent films can be defined through our understanding and identification, and it is significant of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so that I will classify the cases of box office of the independent films. The effectiveness of production can be suggested by lower budget and many financial supports, and the effectiveness of distribution is to have many occasions to release, to benefit with them and to release in many festivals. The effort of independent filmmakers,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filmmakers and the audience, and the official supporting system will make it possible for effectiv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With this possibility, the future of Korean independent film will be bright.

이 논문은 한국 독립영화의 대중성 모색에 있어서 효율적 소통에 의한 한국 독립영화의 나아갈 길을 고찰함으로써 현재 한국 독립영화 문제점을 짚어보고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독립영화란 무엇이며, 독립영화의 모호한 경계를 살펴본 후, 한국 독립영화의 현실과 문제점 그리고 제작, 배급에 있어서 효율적 소통을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독립영화 범위는 해석, 인식의 차이에 따라 독립영화의 범위가 결정되며, 관객과 쌍방향 소통의 중요성이 제기되므로 효율적 소통에 있어서 독립영화의 흥행작품들을 통해 분석해본다. 효율성 중심에 의해 해석되어지는 제작효율성은 적은 제작비와 지원 금액으로 완성하는 것이며, 배급효율성이란 많은 상영기회를 잡고, 많은 수익을 남기는 것과 영화제 상영 및 가치평가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독립영화인의 노력, 독립영화인과 관객의 쌍방향소통 정도 그리고 정책부문 정도에 의해 효율적 제작, 배급이 이루어 질 것으로 본다. 이런 가능성에 의해 한국 독립영화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승구, 이용관, 영화용어해설집, 영화진흥공사, 1995.
  2. 두산동아 백과사전연구소,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두산동아, 2001.
  3. 김윤지, 한국 독립영화의 정체성 모색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4-55, 2002.
  4. 박재수, 한국 독립영화의 현황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 1997.
  5. 영화진흥위원회, 저예산 디지털 영화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p.85, 2000.
  6.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콘텐츠의 문화/산업적활용을 위한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p.22, 2001.
  7. S. Worth, "Film as a non-art: an approach to the study of film," in J. S. Katz(ed.)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Film. Boston: Little, Brown, pp.180-199, 1971.
  8. G. Jowett, Linton, and James, Movies as Mass Communication, Sage, p.13, 1989.
  9. H. J. Gans, "The creator-audience relationship in the mass media: an analysis of movie making," in B. Rosenberg and D. M. White. (eds.) Mass Culture: The Popular Arts in America, Free Press, pp.315-324, 1974.
  10. 아더 아사버거, 대중매체비평의 기초, 이론과 실천, pp.56-57, 1990.
  11. 영화진흥위원회, 예술영화관 지원정책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pp.62-68, 2004.
  12. 권혁조, 멀티플렉스 시대: 한국영화배급업의 현황과 그 전망,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1, 2004.
  13. 한국독립영화협회, "독립영화", 한국독립영화협회, 제27호, pp.41-42, 2006.
  14.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보, 제41권, 제7호, 통권 제303호, p.25, 2004.
  15. 로버트 맥기,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황금가지, 2002.
  16. Drabinsky, H. Garth, "Motion Picture and the Arts in Canada : The Business and the Law," McGraw-Hill Ryerson, p.9,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