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sign Development of Training Suit for Obese Children

비만아동의 트레이닝복 디자인 개발

  • Kim, Nam-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on-Mi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남희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 최윤미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The research is purposed to help obese children to recover their physical, spiritual inferiority complex and it give them to affirmative self formation by developing training-suit which has slender effect. In order to accomplish a research problem,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wearer's outward appearance with the principle and element of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s of obesity. In order to apply consumer's demand to developing goods, this research used 'House of quality' theory. The design ten suits(the half are made for boys) development is based on the result of 'House of quality', parents and obese children's interview, design element, slender effect. The design which is developed is evaluated by five specialists in order to prove it's quality though the 'Quad' analysis which is a subjective evaluation method.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숙, 이미숙. (1997). 아동의 의복과 체형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제2보)−체형에 따른 의복변인의 영향을 중 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1(4), 718−726
  2. 김정진, 김은애, 유신정, 안정원. (2003). 직물의 주관적 감 각평가를 위한 Quad 분석 법의 적용. 한국의류학회 추계 학술대회지, 50
  3. 김연성, 박영택, 서영호, 유왕진, 유한주. (1999). 품질경영. 서울: 박영사
  4. 류정아. (1992). 의복 디자인의 선이 체형에 미치는 착시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박혜령. (1996). 의복 디자인 선에 따른 색채의 착시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이신학. (2003). 비만아동과 표준체중아동의 신체상 만족도 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지역개발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이옥희. (2001). 이상적인 인체미와 복식 디자인의 착시 효과 −사적연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이은영. (2003). 복식 디자인론. 서울: 교문사
  9. 임낙수. (2003). 비만도와 체형인식이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전경숙. (2002). 체형의식에 따른 의복관여 및 의복만족도에 관한 연구−서울시내 여자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복식, 52(3), 75−85
  11. 조윤주, 이정란. (1999). 비만아동의 의복설계를 위한 체형 분류 및 특성연구 (제1보)−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4), 563−574
  12. 초등학생 비만율 5년새 두 배로 늘어. (2005, 2. 17). 서울뉴 시스. 자료검색일 2005, 4. 23, 자료출처 http://kr.yahoo. com
  13. 최은영. (1995). 무늬의 크기, 배열, 명도 대비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격자무늬와 물방울무늬를 중심으로−. 복식, 24(0), 193−203
  14. 홍경희, Scheurell, D. M. (1997). 의류제품개발과정. 섬유기술과 산업, 1(4), 481−487
  15. Kim, J. H., Hong, K. H., & Scheurell, D. M. (2004). Applying QFD in the development of sensible barssiere for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2), 1596−1604
  16. Miller, R. W. (2002). Subjective property characterization by "Quad" analysis: An efficient method for conducting, paired comparisions. Textile Research Journal, 72(12), 1041−1051 https://doi.org/10.1177/004051750207201202
  17. Scheurell, D. M. (1994). Beyond the QFD house of quality: Using the downstream matrices. World clase Design to Manufacture, 1(2), 13 https://doi.org/10.1108/09642369210054216

Cited by

  1. Development of Upper Bodice Pattern for the Late Elementary Obese- Schoolgirls - Using iVirds 3.0 PB and iVirds 3.0 DS program - vol.16, pp.6, 2014, https://doi.org/10.5805/SFTI.2014.16.6.921
  2. Development of lower bodice pattern for late-elementary obese-schoolgirls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vol.23, pp.4, 2015, https://doi.org/10.7741/rjcc.2015.23.4.616
  3. A Development of Size System for the Obese girls in Late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Upper-body type vol.14, pp.2, 2012, https://doi.org/10.5805/KSCI.2012.14.2.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