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valuation of Consistency Using 3-Dimensional Sight Distance

3차원시거를 이용한 도로일관성 평가에 관한 연구

  •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오영욱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전남지부) ;
  • 강정규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하태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While driving a highway, A driver gets lots of information through geometrical structure, traffic situation, signs on the road. He gets most of the information by visual sens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and driving direction depend on sight distance. Therefore, it's essential to secure a driver's sight distance for a safe drive. However, design guides of geometrical structure and sight distance suggest respective standards of horizontal and vertical alignment. They do not indicate quantitative standard of combined alignment. Currently, element separated on a two-dimensional projected plane are available, but they do not guarantee safe and pleasant design. I will use the existent model analysing three-dimensional sight distance through mathematical calculation and sort a variety of geometrical structure element and type. In these researches, we will look at how much three-dimensional sight distance is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compared to two-dimensional. I will develop a program which predicts traffic velocity on the curvature of two-lane provincial road. stopped sight distance and three-dimensional sight distance will be compared at a predicted drive velocity. I will suggest the way to evaluate road consistency.

운전자는 도로를 주행하는 동안 도로의 기하구조 및 교통상황, 신호등, 표지판 등을 통하여 많은 정보를 얻게 되고, 이에 따라 가감속도 및 주행방향 등을 결정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정보를 운전자의 시각을 통하여 구득하게 된다. 따라서 도로 주행 시 운전자의 시거확보는 안전한 도로 주행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 기하구조 및 시거 설계지침에서는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을 분리하여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복합선형에 관한 정량적인 설계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현재 2차원적 투영면에 분리된 요소로 설계되어지고 있지만 실제 도로는 3차원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2차원적 설계는 안전하고 쾌적한 설계를 보장해주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인 계산을 통하여 입체시거를 분석한 기존의 모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기하구조 요소 및 유형별로 분류한 후 기존의 2차원시거와 3차원시거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2차원시거에 비해 3차원시거가 얼마나 과대 또는 과소평가 되어지는 지를 알아보고, 지방부 2차로 도로 곡선부의 주행속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여 예측된 주행속도로 주행할 때 필요한 정지시거와 3차원시거를 비교하여 도로의 일관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건설교통부
  2. 김상엽.최재성.양지은.김문겸(2006), "설계 일관성 평가 모형의 고찰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도로학회논문집, 제8권, 제4호
  3. 박제진.최주용.하태준(2008), "3차원 입체선형을 고려한 도로시거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논문집, 제10권 제1호
  4. 이슬기.이용재.김상기(2006), "신뢰성을 고려한 도로 시거 설계의 제고",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21-131
  5. 이점호(2000), "설계일관성 분석을 통한 도로선형 설계의 적정성 평가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정준화(2001), "주행속도를 이용한 도로의 평면선형 일관성 평가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최재성(1998), "도로선형에 대한 설계일관성 평가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95-211
  8. 최주용(2003), "도로의 입체시거 모형의 개발",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홍다희(2005), "고속도로의 교통운영특성 및 도로선형요소를 반영한 주행속도예측모형 개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K. Fitzfatrick and J.M Collins(2000), "Speed-Profile Model for Two-Lane Rural Highways", TRR 1737
  11. R. Lamm(2000), "Highway Design and Traffic Safety Engineering Handbook", McGrow-Hill
  12. Salvatore Cafiso, Alessandro Di Graziano, and Grazia La Cava(2005), "Actual Driving Data Analysis for Design Consistency Evalu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912, TRB
  13. Hassan, Y., Easa, S.M., Abd EL Halim, A.O.(1996), "Analytical Model for Sight Distance Analysis on 3-D Highways Alignmen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23, TRB
  14. Hassan, Y., Easa, S.M., Abd EL Halim, A.O.(1997), "Modeling Headlight Distance on 3-D Highway Alignmen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79, T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