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Adolescents' Perceived Risk on Conformity Behavior of Fashion Brand

의복구매시 청소년의 지각된 위험이 패션브랜드 동조행동에 미치는 영향

  • Jun, Dae-Geun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전대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olescents' perceived risk on fashion brand conformity behavior. To analyze conformable fashion brand behavior with consideration to their reference group, 6 dimensions of perceived risk were adopted as explanatory variables. Reference group means people that a person refers to when evaluating his values &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from 672 male and female students aged between 14 and 18. Factor analysis on perceived risk resulted in 6 dimensional structures: socio-psychological, time loss, functional, fashionability loss, performance and opportunity loss risk. Fashionability loss risk positively affected adolescent fashion brand conformity behavior according to their favorite celebrities. Performance risk positively affected in consideration to their parents, while opportunity loss risk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ame reference group. However, socio-psychological and fashionability loss risk positively affected adolescent fashion brand conformity behavior in consideration to their friends, while performance loss risk had negative effect on the same reference group. Adolescent groups divided by the 6 dimensions of perceived risk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fashion brand conformable behavior in consideration to their reference groups.

Keywords

References

  1. 고애란, 진병호, 심정은(2000). 청소년기 여학생의 의복행동 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연령, 지역 차이와 심리적 특 성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한국의류학회지, 24(2), 475-486
  2. 구양숙, 추태귀 (1996). 의복관여도에 따른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5(2), 131-143
  3. 권이종, 김용구(2006). 청소년문화론. 서울: 구상
  4. 권재욱(1993). 소비자행동에서의 동조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나연 (2000). 청소년 소비자의 동조적 상표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캐주얼 의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은숙(2006). 청소년 비행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재숙, 이미숙(2002). 연예인 모방행동이 청소년의 의복행 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4), 201-210
  8. 김정숙, 권정원 (2003). 한일 여자대학생들의 물질주의성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27-41
  9. 김종림 (1985). 준거집단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찬주 (1991). 의복구매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위험에 관한 연구(I) -위험의 유형분류, 소비자 인구변인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5(4), 405-416
  11. 김한나, 이은영 (2005) 신규 패션브랜드 평가속성에 대한 소 비자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5), 727-736
  12. 김현민(1984). 소비자 행동에 대한 준거 집단 영향력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류은정, 조오순(2005) 인터넷 쇼핑가지가 의류제품의 인터넷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쇼핑몰 속성지각과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3(2), 209-220
  14. 박혜선(1991). 의복통조에 관한 연구-의복동조의 유형, 관련 변인 및 준거집단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5. 서지민(2008). 중고등학생의 의복동조성향에 따른 교복브랜 드에 대한 태도 및 구매행동,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신혜준(2008). 청소년의 경험을 통해서 본 교복과 교복 브랜 드화의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윤혜미, 남영옥(2007). 청소년의 위험행동 관련요인: 심리정 서적 특성의 매개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3, 127-153
  18. 이은영 (1993). 복식의장학, 서울: 교문사
  19.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20. 이은정 (1999). 청소년 소비자의 물질주의성향에 대한 연구 준거집단의 영향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임경복(2001). 지각된 위험과 의복관여도가 정보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2), 206-216
  22. 전대근, 이은영 (2006). 준거집단이 청소년의 패션브랜드 동 조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9/10), 1434-1444
  23. 정영주, 이선재 (1994). 의복관여와준거집단 영향력과의 상관 연구 성인남녀를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지, 9, 89-114
  24. 조영희 (1996). 청소년 소비자의 물질주의 성향과 준거집단이 의복동조에 미치는 영향-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조은아, 김미숙 (2004).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수입 명품 및 유명브랜드 의류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8(1), 76-87
  26. 홍혜은, 나수임 (1999). 청소년의 TV미디어스타에 대한 의복 동조성에 영향을미치는요인-서울시내 여자중, 고등 학생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6), 884-896
  27. 황진숙, 정정현(2005). 인터넷 쇼핑 및 TV홈쇼핑 위험지각에 따른 의복쇼핑성향, 구매의도,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9(5), 637-648
  28. Bauer, R. A.(1960). Consumer behavior as risk taking. In R. S. Hancock (Ed.), Dynamic marketing for a changing world, (pp. 389-98). Proceedings of the 43rd Conference.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29. Cox, D.(1967). Risk taking and information handling in consumer behavior. Boston: Harvard University Press
  30. Dholakia, U.(1997).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product involvem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4(1), 159-167 https://doi.org/10.1086/209501
  31. Horn, M. J., & Curel, L. M.(1981). The Second Skin. Boston: Houghton Miffin
  32. Kelly, H. H.(1966). Two functions of reference groups in H. Proshansky and B. Seidenberg (Eds). Basic studies in social psychology. New York: Holt
  33. Kelman, J. C.(1961). Processes of opinion change. Public Opinion Quarterly, 25, 57-78 https://doi.org/10.1086/266996
  34. Kiesler, C. A., & Kiesler, S. B.(1970). Conformity. Massachusetts: Addison Wesley
  35. Park, C. W., & Lessig, V. P.(1977). Students and housewives; Differences in susceptibility to reference group influ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2), 102-110
  36. Peter, J. P., & Ryan, M. J.(1976). An investigation of perceived risk at the brand level.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3(2), 184-188 https://doi.org/10.2307/3150856
  37. Roselius, T.(1971). Consumer ranking of risk reduction methods. Journal of Marketing, 35(1), 5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