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olution of Pants Decorations in National Fashion Magazines from 1969 to 2005

팬츠장식의 변천과 내적 의미 연구 - 1969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 잡지에 나타난 장식을 중심으로 -

  • Jung, Ji-Nyun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Gi-Young (Center for Beautiful Ag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지년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
  • 권기영 (경북대학교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and intended meanings of decorations in women pants. Cross correlation was used to analyze 1829 pictures which appeared in national fashion magazines from 1969 to 2005. Three analysis categories were used: 1. type of decoration, 2. style, 3. fabric.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a) the decoration gave salience to the expressive function on the pants by merging different things, (b) the decoration acted on expressive media of new feminine beauty, and (c) the decoration reflected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addition of elements that represents different cultures or subcultures.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정 (1987). 바지 패션에 관한 고찰 -1978년에서 1987년까 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김승혜 (2004). 20세기 여성바지 패션에 나타난 미적가치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은경, 재금석 (2006). 현대 스포츠패션에 나타난 에스닉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7), 1054-1065.
  4. 박춘순 (1991). 바지고.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신혜정, 하지수 (2006). 1990 년대 이후 남성패션에 표현된 로맨티시즘. 복식, 56(6), 96-113
  6. 이경아, 전혜정 (2005). 로맨티시즘 복식의 양식(II), 복식, 55(1), 59-72
  7. 이경희, 김연희, 신은영, 이종숙, 정명희(2006). 복식의 아이템.서울.경춘사
  8. 이은숙, 김새봄(2005). 여성 잡지 광고에 표현된 패션스타일 연구. 복식문화연구, 13(2) 221-239
  9. 이재영 (2007). 복식사에 나타난 여성팬츠의 유형 변화와 의 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0. 이호정 (1996). 패션마케팅 & 패션트랜드 분석 -1955-1995년. 서울:교학연구사
  11. 이효진 (2003). 21세기 로맨티시즘, 걸리쉬 패션. 복식, 53(7), 111-123
  12. 임은혁 (2003). 21세기 전환기 하이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펑크룩을 중심으로. 복식, 53(2), 71-85
  13. 정흥숙(2007).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14. 최진경 (2003). 현대패션에 나타난 진즈웨어 (Jeans Wear)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최해주, 정영선 (2001). 국내 미니멀리즘 패션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51(7), 93-109
  16. 최현숙(2000).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 . 페미니즘 . 포스트모 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7. 최호정, 하지수(2005). 우먼파워로 나타나는 최근 패션스타 일에 관한 연구-80년대 여성여피스타엘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복식 55(2). 129-142
  18. 패션큰사전편찬위원회 (1999). 패션큰사전 서울: 교문사
  19. Beanim, L.(2001), Pnats: a history afoot. Paris: Vilo Publishing
  20. Bond, D.(1992). 20세기 패션. 정현숙(역). 서울: 경춘 사. (1981 년 원저 발간)
  21. Crane, D.(2000). Fashion and its social agendas: class, gender, and identity in clothing.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101-102
  22. Ewing, E.(1992). History of twentieth century fashion London; B. T. Batsford Ltd
  23. Hollander, A.(1996). 의복과 성. 채금석(역). 서울: 경춘 사. (1978년 원저발간)
  24. Lurie, A.(1986). 의복의 언어. 유태순(역). 서울: 경춘사 (1983년 원저발간)
  25. Polhemus, T.(1997). Streetstyle. New York: Thames and Hud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