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ents from Mars Getting through to Children from Venus: An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f Adolescents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금성자녀와 통하는 화성부모 -

  • Kim, Soon-Ok (Department of Consumer & Family Sciences, Sungkyunkwan University) ;
  • Rho, Myoung-Sook (Seochogu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
  • Ryu, Kyung-Hee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oo, Hyun-Jung (Department of Housing/Interior Design & Consumer Studi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Ho (Jungnanggu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 김순옥 (성균관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
  • 노명숙 (서초구 건강가정지원센터) ;
  • 류경희 (창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유현정 (충북대학교 주거환경 소비자학과) ;
  • 이영호 (중랑구 건강가정지원센터)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We developed an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f adolescents titled Parents from Mars getting through to children from Venus. The program consists of five two-hour sessions each with a different theme; (1) parent-child communication, (2) study activities, (3) computer use, (4) children's daily expenses, and (5) children's daily-life plan. The program was test-run with seventeen participants, which included mothers of 4th grade(elementary school) to 9th grade (middle school) children. Based on data analysis, we found that average satisfaction level was 3.80 out of 5.00 and average goal accomplishment level was 3.91 out of 5.00. Most of the participants agre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to understand their children's problems, to look back on themselves as parents, to plan ahead, and eventually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However,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the program needed to put more emphasis on practical lessons rather than theoretical lectures. For example, the need for more audiovisual materials, and more practical training during each session was highlighted by participants.

Keywords

References

  1. 곽소현(2000). 청소년 이해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가족 치료적 접근.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이종(2000). 청소년 교육 개론-신세대의 이해와 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3. 권이종, 남종걸, 차경수, 최충옥, 최운실, 최운진(2001). 청소년교육론. 서울: 양서원
  4. 김명자(1994). 대입 수험생 가족의 전반적 현황 및 문제. 한국가족학연구회편. 자녀교육열과 대학 입시. 서울: 하우
  5. 김명자, 이정우, 계선자, 박미석, 송말희, 김경아 외(2003).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를 위한 세대간 이해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대한가정학회지, 41(1), 59-76
  6. 김수현(2006).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과 적용: 부부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순옥, 송현애(1998). 자녀와의 대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모형개발 및 효율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93-119
  8. 김영애, 이명진(2002). 사티어 부모역할 훈련 프로그램. 한국사티어연구회.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9. 김영철(1996). 부모의 자녀양육에 관한 설문결과. 한국의 장래와 부모교육의 역할 제 4회 부모교육 학술세미나 자료집. 청소년 대화의 광장
  10. 김영희, 김운주, 박경옥, 이희숙, 김창기(2000). 저소득층 가정 청소년의 일탈행동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6), 149-169
  11. 송정아, 윤명선(1997). 청소년 자녀와 부모의 관계향상 프로그램 모형.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1), 71-82
  12. 유은희(1996). 청소년 자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창간호. 1-17
  13. 유은희, 홍숙자(1998). 부모교육 프로그램. 대한가정학회지, 36(1). 157-168
  14. 유효순(1996). 자녀의 성장과 부모교육. 한국의 장래와 부모교육의 역할 제 4회 부모교육 학술세미나 자료집. 청소년대화의 광장
  15. 이숙,우희정,최진아,이춘아(2002). 부모교육: 훈련중심. 서울: 학지사
  16. 이연숙(1998). (성인을 위한) 가족생활교육론. 서울: 학지사
  17. 임정빈(2000), 가정생활개선 교육프로그램(자녀): "행복한 가정을 만들어요". 가정 생활 개선교육프로그램 자료집(자녀용). 한국가정생활개선진흥회
  18. 장대운(1996). 부모교육의 사회적, 국가적 지원체제. 한국의 장래와 부모교육의 역할 제 4회 부모교육 학술세미나 자료집. 청소년대화의 광장
  19. 장희양(2005). 청소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차갑부(1995). 성인교육방법론. 서울: 양서원
  21. 청소년보호위원회(2002). 가족문화개선 청소년 보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 청소년보호위원회
  22. 청소년위원회(2005). 청소년정책자료. 서울: 청소년위원회
  23. 최규련(1996). 가족학적 관점에서 본 청소년 문제와 대책. 대한가정학회지, 34(1), 147-160
  24. 한국청소년상담원(1999).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부모' 부모교육 프로그램 1: 개정판. 한국청소년상담원
  25. Dinkmeyer, D., & Mckay, G.(1976). Systeme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STEP). Minn.: American Guidance Service
  26. Dinkmeyer, D., & Mckay, G.(1985).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 수 있다. 이경우(편역). 서울: 창지사. (1976년 원저발간)
  27. Gordon, T.(1998). 효과적인 부모역할 훈련. 김인자(역). 서울: 한국심리상담연구소. (1970년 원저발간)
  28. Knowles, M. S.(1980).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from Pedagogy to Andragogy. New York : Cambridge
  29. Lamanna, M. A., & Riedman, A.(1994). Marriage and family: Making choices and facing changes.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30. Popkin, M. H.(2001). 현대의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홍경자(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3년 원저발간)
  31. Posavac, E. J., & Carey, R. G.(1997). Program evaluation: methods and case studies. Upper Saddle River, N.J.:Prentice Hall
  32. Roberts, T. W.(1994). A systems perspective of parenting: The individual, the family and the social network.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