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iciency on the Oral Health Training of Elderly Adults at Welfare Institutions

노인복지센터 이용노인의 구강보건교육 효율성

  • 박명숙 (극동정보대학 치위생과) ;
  • 최미숙 (극동정보대학 치위생과)
  • Received : 2008.10.07
  • Accepted : 2008.12.12
  • Published : 2008.12.2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n the oral health training of elderly adults who have experienced the oral health training program at welfare institutions in An-yang city, Korea. A total of 451 adults (aged 65 or more) were selected and surveyed by the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at consist of 4 items and socio-economic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Oral health indices were produced by using the SPSS. The percentage of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that felt poor or very poor was decreased about 8.5% than before and the frequency of perceived oral symptom was decreased too and the practice rate and satisfaction with oral health train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 than before. Oral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adults at welfare institutions in An-yang city should focused on the constant attention the means of the preventive oral health training program.

본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교육프로그램(노인구강지킴이)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안양지역 노인복지센터를 이용하는 노인 451명을 대상으로 보조기입식 설문조사를 구강건강 교육 전 후 2차례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인식한 비율이 구강교육을 받기 전 약 53.0%이었으나, 구강교육을 받은 후에는 약 44.5%로 나타나 구강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식한 비율은 8.5%가 감소하였으며 구강건강 상태가 좋다고 느끼는 비율은 약 4.8%가 증가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2. 구강건강행태를 비교한 결과 "잇솔질 횟수", "구강건강교육 실천"의 경우 65세 이하의 여성에서 "정기적 구강검진"의 경우 76세-85세의 남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후 각 구강건강행태 변화정도는 남성의 경우에 "잇솔질 횟수"항목에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86세 이상에서 구강건강행태의 모든 항목에서 변화가 높게 나타났다. 3. 조사대상 노인들에 대한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구강증상 발현정도를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구강건강이 나쁠수록 구강증상을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 후 주관적 구강건강이 "아주 나쁘다"고 응답한 경우에서 발현빈도가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구강건강교육의 효율성과 관련하여 구강건강교육 전 후를 비교한 결과 구강건강교육을 받은 후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대한 실천내용을 실생활에서 잘 이행하고 있으며 구강건강교육 및 자신이 느끼는 구강건강행태에 대한 만족정도는 증가하였으며, 구강증상 발현정도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건강한 구강유지에 구강건강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 판단되며 노인들의 양호한 구강건강상태의 유지를 위하여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효율적이고 예방적인 구강건강증진프로그램개발 및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