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and Clinical Course of Ovarian Hernias in Infants

1세 미만 여아 난소 탈장의 특성과 임상 경과

  • Choi, Kyoung-Eun (Department of Pediatrics,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n, So-Yoon (Department of Pediatrics,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yung-Ah (Department of Pediatrics,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 S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Yeon-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Son-Moon (Department of Pediatrics,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Byung-Hee (Department of Radiology,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최경은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안소윤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경아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고선영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연경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신손문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한병희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Purpose : Inguinal hernias are common in children and sometimes are associated with dangerous complications, such as incarceration. There are no established management guidelines for ovarian hernias. We have reviewed the clinical course of ovarian hernias in infants.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female infants diagnosed with ovarian hernias by ultrasonogram at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eil General Hospital, and the Women's Healthcare Center between March 2001 and August 2007. We analyzed the patients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ge at the time of detection of the inguinal mass, the patients chief complaints, operative tim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Results : Eight female infants had ovarian hernias, four of whom were born prematurely. Seven infants had left-sided ovarian hernias, and one infant had a right-sided ovarian hernia. Five infants underwent surgery and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r recurrences. Three girls did not have surgery, and the ovarian hernias regressed spontaneously, with no recurrences or complications. The regression time of inguinal masses ranged from 70-161 days after birth. Conclusion : Physical examination to detect movable masses within the labium major in premature female infants is important because the incidence of premature inguinal hernias is much higher than in term infants. No rational medical treatment plans for female ovarian hernias have been published to date. We cared for three girls with spontaneous regression of ovarian hernias. Pediatricians should be aware whether emergent surgery for ovarian hernias is indicated.

목 적 : 서혜부 탈장은 소아에서 비교적 흔하지만, 여아 탈장의 15-31%를 차지하는 난소 탈장은 아직까지 정립된 치료 원칙이 없고 국내에서는 질병의 경과에 대한 보고가 없다. 이에 연구자들은 난소 탈장 환아들의 특성과 임상 경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관동대학교의과대학 제일병원에서 난소 탈장으로 진단받은 1세미만 여아 8명을 대상으로 환아들의 재태 연령, 출생체중, 난소 탈장 발견시기와 주 호소, 수술 시기 및 수술법, 수술 후 합병증 여부, 현재의 상태, 서혜부 초음파결과를 의무기록지와 전화 통화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난소 탈장은 서혜부 종괴 여부와 초음파 검사 결과 난소가 서혜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진단하였다. 결 과 : 환아들의 재태 연령은 $32^{+5}-40^{+1}$주 범위였으며, 이 중 37주 미만 미숙아는 4명(50%)이고, 출생체중은 1,600-3,505 g 범위였다. 대상 환아 중 7명(87.5%)은 좌측 난소 탈장이 있었으며, 1명(12.5%)은 우측에 난소 탈장이 있었다. 종괴를 발견한 시기는 생후 13-144일 사이로 다양하였으며, 수술 받은 환아들의 수술시기는 생후 50${\pm}$15일(35-65일)이었다. 현재까지 8명중 5명이 탈장 봉합술을 시행 받았으며, 합병증은 없었다. 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3명은 경과 관찰 중에 수술없이 저절로 정복되었으며, 종괴가 사라진 나이는 생후121${\pm}$46일(70-161일)이었고, 관찰 기간 중(69-1,925일)감돈이나 재발은 없었다. 결 론 : 미숙아 여아인 경우 탈장의 빈도가 만삭아에 비해 높으므로 신체 검진을 통한 대음순 종괴의 발견이 중요하며,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확진한다. 소아의 난소 탈장은 아직까지 일관된 치료 방침이 없고, 외과의 의견을 따라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수술을 시행하였었기에 경과를 제대로 알 수 없었으나, 저자들이 경과 관찰을 하던 3명의 여아에서 생후 6개월 이내에 난소탈장이 저절로 정복되는 예를 경험하였고, 관찰 기간동안 재발은 없었다. 난소 탈장의 환자를 대상으로 추적관찰을 하여 적절한 치료 방침을 마련하여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