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chorionicity in Twin Gestations

쌍생아 임신의 융모막과 주산기 결과

  • Choi, Eun-Jin (Department of pediatrics, IL Sin Christian Hospital) ;
  • Yun, Hyun-Jin (Department of pediatrics, IL Sin Christian Hospital) ;
  • Hyh, Jae-Won (Department of pediatrics, IL Sin Christian Hospital) ;
  • Hong, Yong-Hong (Department of pediatrics, IL Sin Christian Hospital)
  • 최은진 (일신기독병원 소아과청소년과) ;
  • 윤현진 (일신기독병원 소아과청소년과) ;
  • 허재원 (일신기독병원 소아과청소년과) ;
  • 홍수영 (일신기독병원 소아과청소년과)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atural history and perinatal outcomes of twin gestations according to chorionicity.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9 monochorionic (MC) and 206 dichorionic (DC) twin gestations delivered at Il Sin Christian Hospital in Busan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07. The incidences of twin-to-twin transfusion syndrome (TTS) and selective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sIUGR), as well as peri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were evaluated. Results : MC twins had a lower gestational age (35.7 vs. 36.6 weeks, P=0.03) at birth and a higher incidence of intrauterine fetal loss (10% vs. 1.5%, P<0.001) than DC twins. The incidence of intrauterine fetal loss was higher in MC sIUGR than in DC sIUGR (19% vs. 2.5%, P=0.025) twins. The number of admissions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31% vs. 16%, P=0.042), and the incidence of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7% vs. 0%, P=0.031), a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ith surfactant treatment (27% vs. 11%, P=0.049) were higher in MC than DC twins. The incidences of sIUGR and TTS were 21 and 9% among the MC twins. The incidences of intrauterine fetal loss were higher in MC twins with TTS [6 of 9 (67%)] or sIUGR [4 of 21 (19%)] than uncomplicated MC twins (P<0.001). The frequency of admission to the NICU (P=0.001), the length of hospital stay (P=0.033), the prevalence of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P=0.011),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P=0.007) were also higher in MC with TTS or sIUGR than in uncomplicated MC twins. Conclusion : The incidence of neonatal complications was higher in MC twins, especially those gestations complicated by TTS or sIUGR.

목 적 : 융모막의 종류에 따른 주산기에 미치는 영향과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이나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이 있는 단일 융모막의 주산기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일신기독병원에서 재태 연령 12주에서부터 분만과정까지 산전 진찰을 받고 분만을 한 단일 융모막 산모 99명, 이 융모막 산모 206명, 그리고 이들에게서 태어난 188명의 단일 융모막 쌍생아와 411명의 이 융모막 쌍생아를 대상으로 외래 및 입원 병력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과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의 빈도 및 융모막 종류에 따른 주산기 영향 및 신생아 이환을 평가하였다. 결 과 : 단일 융모막군은 이 융모막군보다 재태 연령이 작고(35.7 vs 36.6, P=0.03) 태아 사망이 많았다(10% vs 1.5%, P<0.001). 그리고 단일 융모막군의 선택적 발육부전이 이 융모막의 선택적 발육부전보다 태아 사망이 높았다(19% vs 2.5%, P=0.025).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쌍생아는 단일 융모막 쌍생아가 이 융모막 쌍생아보다(31% vs 16%, P=0.042) 빈도가 높았다. 그리고 단일 융모막 쌍생아가 뇌실 주변 백색 연화증(7% vs 0%; P=0.031), Surfactant를 투여한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27% vs 11%; P=0.049)의 빈도가 높았다. 단일 융모막군에서 선택적 자궁 내 발육지연의 빈도는 21%였고 태아 간 수혈 증후군의 빈도는 9%이었다. 일측성 태아 사망은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에서는 9명중 6명(67%)이고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군에서는 21명중에 4명(19%)으로 단순 단일 융모막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신생아실에 입원한 빈도는 쌍태아 간 수혈증후군에서 92%, 선택적 태 아발육부전에서 42%로 단순 단일 융모막군의 22%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입원기간 또한 유의하게 길었다(P=0.033). 그리고 뇌실 주변 백색 연화증 및 뇌실 내 출혈빈도인 경우에도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과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군이 단순 단일 융모막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각각 P=0.011, P=0.007). 결 론 : 쌍태아 간 수혈 증후군이나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이 있는 단일 융모막 쌍생아에서 신생아의 합병증이 높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