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 적용을 위한 비오톱유형분류 제안

The Suggestion for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for Nationwide Application

  • 최일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 오충현 (동국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이은희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Choi, Il-Ki (College of Natural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 Oh, Choong-Hye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Lee, Eun-Heui (Division of Environmental & Life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발행 : 2008.12.30

초록

최근 한국에서는 각종 개발계획에서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구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실천방안으로서 비오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 지자체마다 비오톱지도 작성에 대한 요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통일된 비오톱 유형 및 분류체계, 분류기준에 대한 표준안이 없으며, 지자체마다 서로 다른 방법론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우선 지금까지 선행된 국내 외사례의 비오톱 유형 및 분류체계, 분류기준 등을 비교 검토하여, 비오톱 유형분류 및 분류체계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또한, 선정된 대표지역의 현장조사와 자문회의 등의 계속적인 피드백 과정을 통하여 한국에 적합한 비오톱 유형 및 분류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국내사례의 비오톱 유형분류체계는 2단계나 3단계 분류체계가 혼합되어 있으며, 주로 대분류, 소분류의 2단구조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비오톱 유형분류기준으로는 토지이용, 토양피복율, 녹피율, 식생 등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오톱 유형분류를 위해 대분류(biotope class), 중분류(biotore group), 소분류(biotope type), 세분류(sub-biotope type)의 4단계 분류체계를 제시하였으며, 대분류 13개 유형, 중분류 45개 유형, 소분류 127개 유형으로 비오톱유형을 분류하였다. 하지만, 비오톱 유형분류는 지역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소분류 및 세분류 단계에서 새로운 유형들이 계속적으로 추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e needs for drawing up of biotope map is rapidly spreaded over each local government recently in Korea, according as enhancing of interest about biotope, which is recognized to practical instrument for concretely being able to considering natural environment and ecosystem on all sorts of development plan. However, there are not yet the standard suggestion on biotope types and classification systems and biotope classification criteria. Therefore, each other methodologies are applied to each of local autonomies. First, under such critical mind the biotope types and classification systems were drafted by a review on biotope types,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and biotop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preceded case studies until now 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biotope types and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applicable to the whole Korean region through continual feed back such as field surveys in selected representative areas and consultation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ase examples, first, the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were mixed two steps system with three steps system and those were composed mostly of the structure of two steps: large and small. Second, land-use, soil pavement ratio, green cover ratio, and vegetation usually were applied to the biotope classification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 is consisted of four steps system: large(biotope class), medium(biotope group), small(biotope type) and detail(sub-biotope type), and the biotope types are classified into 13 types of large step, 45 types of medium step and 127 types of small step.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ew biotope types on small step or detail step should be continually supplemented with the foundation of classification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because the biotope type classification should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광양시(2006) 생태지도(Biotop Map) 및 현황도 제작 연구보고서. 광양시
  2. 나정화, 이석철(2000)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 자연체험 및 휴양의 관점에서. 한국조경학회지 28(3): 72-87
  3. 나정화, 이석철, 사공정희, 류현수(2001) 생물종 및 서식지 보전의 관점에서 본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6): 29-51
  4. 나정화, 이정민(2003) 도시비오톱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30(6): 128-140
  5. 서울특별시(2000)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수립 - 1차년도 연구보고서-
  6. 성남시(2001) 도시생태현황도(Biotop Map)제작 및 GIS구축사업 (1차년도) 연구보고서. 성남시
  7. 최영국, 이승복, 박인권, 김현수, 변병설(2002)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체계의 연계방안연구. 국토연구원
  8. 최일기, 이은희(2007) 독일의 비오톱 유형분류에 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35(5): 73-81
  9. 최일기, 안근영, 이은희(2007) 한국과 독일의 비오톱지도화에 대한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6): 565-575
  10. 환경부(2003) 국토환경보전계획 수립연구
  11. 환경부(2007) 도시생태현황지도(비오톱지도) 작성지침
  12. Bundesamt fur Naturschutz(1997) Daten zur Natur. pp.170
  13. Drachenfels, O.(1994) Kartierschlussel fur Biotoptypen in Niedersachen unter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r nach § 28a und § 28b NNatG geschutzten Biotope, Stand September 1994. Naturschutz Landschaftspfl. Niedersachs. A/4. pp.192
  14. Knickrehm, B. and Rommel, S.(1994) Biotoptypenkartierung in der Landschafts- planung. Anforderungen an einen Kartierschlussel vor dem Hintergrund der lokalen Landschaftserfassung. Diplomarbeit Uni. Hannover, pp. 169
  15. Landesumweltamt Brandenburg(1995) Biotop- kartierung Brandenburg Kartieranleitung, pp. 128
  16. LOLF(Landesanstalt fur Okologie, Land- schaftsentwicklung und Forstplanung Nordrhein-Westfalen)(1991) Biotopkarteirung Nordrhein -Westfalen. Methodik und Arbeits- anleitung. Recklinghausen
  17. Schulte, W., Sukopp, H. und Werner P.(1993) Flachendeckende Biotopkartierung im besiedelten Bereich als Grundlage einer am Naturschutz orientierten Planung, Natur und Landschaft 68, pp.491-526
  18. Schulte, W., Sukopp, H., Voggenreiter V. und Werner P.(1986) Flachendeckende Biotop- kartierung im besiedelten Bereich als Grundlage einer okologisch bzw. am Naturschutz orientierten Planung. Natur und Landschaft 61. pp.371-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