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북부 배수유역의 토양 점토광물 분포

Distribution of Clay Minerals in Soils on the Northern Drainage Basin of the Nakdong River

  • 이봉호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정기영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Lee, Bong-Ho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Jeong, Gi-Young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12.30

초록

경북 북부 지역, 낙동강 상류 배수유역의 기반암별 토양 점토광물의 분포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준정량광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화강암류 분포지역에는 캐올리나이트와 스멕타이트가 다른 기반암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퇴적암 지역 토양에는 일라이트의 함량이 다른 점토광물에 비해 월등히 높고, 캐올리나이트, 스멕타이트, 전이형(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 및 층간수산기 질석 등) 광물들이 소량 수반된다. 변성암류와 화산암류 지역은 일라이트와 캐올리나이트 함량이 화강암류와 퇴적암류 지역의 중간 정도이나, 전이형 광물의 함량이 조금 더 높았다. 토양 점토광물의 조성은 기반암의 광물조성 및 각 광물의 풍화도 차이와 관련성이 있다. 화강암류 지역 토양의 높은 캐올리나이트 함량은 사장석의 풍화작용에 기인하나, 국지적으로 높은 스멕타이트 함량은 모암의 부분적인 열수변질작용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퇴적암 지역 토양에 특히 풍부한 일라이트는 대부분 모암에서 잔류한 것이다.

Semiquantitative mineralogical analysis of clays in soil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clay minerals in relation to bedrock lithology on the northern basin of the Nakdong River. The soils developed on the granitic bedrocks have high contents of kaolinite and smectite. mite was the major clay mineral in the soils from sedimentary bedrocks, with minor kaolinite, smectite, and intergrade (interstratified chlorite-smectite or hydroxy-interlayed vermiculite) clay minerals. Illite and kaolinite contents of the soils from metamorphic and volcanic bedrocks fall between those of the soils from the granitic bedrocks and those of the soils from the sedimentary bedrocks. The clay mineralogy of the soils depends on the compositions of bedrock minerals and their susceptibility to chemical weathering. The weathering of plagioclase resulted in the high kaolinite content of the soils derived from granitic bedrocks, while the soils derived from sedimentary bedrocks are abundant in residual illit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의선, 황진연, 김진섭, 함세영, 김재곤 (2001) 부산 북부지역의 모암 유형에 따른 토양의 구성광물 및 화학조성. 한국광물학회지, 14, 58-72
  2. 김정찬, 고희재, 이승렬, 이창범, 최성자, 박기화 (2001) 1:25만 강릉-속초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 김종대, 문희수, 오상훈 (1996) 기반암이 다른 풍화단면에서의 광물조성 변화와 그 성질.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33, 349-357
  4. 이석훈, 김수진 (2000) 유구지역 화강암질 편마암의 풍화작용에 의한 광물조성의 변화. 한국광물학회지, 13, 121-137
  5. 이석훈, 김수진 (2002) 흑운모의 풍화작용에 의한 1:1 점토광물의 형성 메커니즘. 한국광물학회지, 15, 221-230
  6. 장용선, 정석재, 김선관, 정연태 (2004) 모재별 토양의 점토광물 특성 규명.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7, 293-303
  7. 정기영 (1998) 팔공산 화강암내 흑운모의 풍화작용에서 생성되는 고령토 광물들의 광물학적 특성 및 생성환경. 한국광물학회지, 11, 97-105
  8. 정기영, 김수진 (1994) 산청지역 고령토의 성인: 광물 및 조직분석 연구. 지질학회지, 30, 262-283
  9. 정기영, 이병윤 (1998) 팔공산 화강암내 사장석의 풍화. 지질학회지, 34, 44-57
  10. 정기영, 김수진, 김영호, 조현구 (1995) 산청 고령토 중의 흑운모의 풍화작용에 의한 캐올리나이트의 생성. 한국광물학회지, 8, 37-45
  11. 최진용, 김석윤 (1998) 한반도 주변해역 점토광물의 함량과 분포. 한국지구과학회지, 19, 524-532
  12. 황상구 (2000) 안동저반. 2000년도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학술답사안내서
  13. 황재하, 김동학, 조등룡, 송교영 (1996) 1:25만 안동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4. Biscaye, P. (1965) Mineralogy and sedimentation of recent deep sea clay in the atlantic ocean and adjacent seas and ocean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76, 803-831 https://doi.org/10.1130/0016-7606(1965)76[803:MASORD]2.0.CO;2
  15. Fordham, A.W. (1990) Formation of trioctahedral illite from biotite in a soil profile over granite gneiss. Clays and Clay Minerals, 38, 187-195 https://doi.org/10.1346/CCMN.1990.0380210
  16. Jeong, G.Y. (2000) The dependence of localized crystallization of halloysite and kaolinite in the weathering profile of granite. Clays and Clay Minerals, 48, 196-203 https://doi.org/10.1346/CCMN.2000.0480205
  17. Jeong, G.Y. and Kim, S.J. (1993) Boxwork fabric of halloysite-rich kaolin formed by weathering of anorthosite in the Sancheong area, Korea. Clays and Clay Minerals, 41, 56-65 https://doi.org/10.1346/CCMN.1993.0410106
  18. Jeong, G.Y. and Kim, H.B. (2003) Mineralogy, chemistry, and formation of oxidized biotite in the weathering profile of granitic rocks. American Mineralogist, 88, 352-364 https://doi.org/10.2138/am-2003-2-312
  19. Jeong, G.Y. and Yoon, H.I. (2001) The origin of clay minerals in soils of King George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West Antarctic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clay-minerals compositions of marine sediments.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71, 833-842 https://doi.org/10.1306/2DC4096C-0E47-11D7-8643000102C1865D
  20. Jeong, G.Y., Cheong, C.-S., and Kim. J. (2006) Rb-Sr and K-Ar systems of biotite in surface environments regulated by weathering processes with implications for isotopic dating and hydrological cycles of Sr isotope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70, 4734-4739 https://doi.org/10.1016/j.gca.2006.07.012
  21. Park, B.-K. and Han, S.-J. (1983) The distribution of clay minerals in recent sediments of the Korea Strait. Sedimentary Geology, 41, 173-184 https://doi.org/10.1016/0037-0738(84)90060-5
  22. Park, Y.A. and Khim, B.K. (1990) Clay minerals of the recent fine-grained sediments on the Korean continental shelves. Continental Shelf Research, 10, 1179-1191 https://doi.org/10.1016/0278-4343(90)90015-E
  23. Sposito, G. (1989) The Chemistry of Soils.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