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Characteristics of Sand and Silt for Investigating the Alluvium Aquifer

충적대수층 조사를 위한 모래와 점토의 유도분극 특성 고찰

  • Choi, Sang-Hyuk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oung-Soo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Kim, Ji-Soo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최상혁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형수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김지수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In general, water-saturated silt or clay alluvium is characterized with relatively low-resistivity. Thus we often encountered the problem that such a low-resistivity layer is misguided to be good aquifer of high-permeability and low-resistivity in the development of groundwat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n emphasis on the identification of saturated silt or clay layer from the aquifer by performing the laboratory experiment of IP and resistivity methods on the various materials consisting of alluvium aquifer. Silt or clay layer is found to be characterized with the higher chargeability zone, compared to the sand layer. Regarding the mixture of sand and clay, the higher clay volume, the lower resistivity and the higher chargeability. Subsequently chargeability decreases.

충적층의 구성물질 중에서 포화된 실트 또는 점토층은 다른 층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자료해석에 있어서 실트 및 점토층이 전기비저항이 작고 투수성이 높은 대수층으로 오인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충적층 내 포화된 실트 또는 점토층과 모래 또는 자갈 대수층을 구분하기 위해 충적층을 구설하고 있는 물질의 전기비저항 및 유도분극 값을 함께 측정하는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실트 또는 점토시료가 모래시료보다 충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모래와 점토 혼합시료에서 점토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비저항은 감소하고 충전성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수, 송영수, 윤왕중, 조인기, 김학수, 2003, 물리탐사 의 활용, 시그마프레스, 515-544
  2. 송영수, 1995, 해수 침입에 의한 지하수 오염 지역에서 의 전기비저항 및 유도분극 탐사, 한국자원공학회지, 32, 400-408
  3. 송영수, 채효석, 이강석, 정승환, 이현구, 윤혜수, 1993, 유도분극, 전기비저항, VLF전자탐사법을 이용한 벤토 나이트 광상탐사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0, 102- 107
  4. 유한진, 1986, 국내 산지별 함탄층의 SIP 반응에 관한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이상규, 황세호, 이태섭, 1997, 폐광산의 토양오염영역 및 폐기된 광미의 탐지,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0(4), 371-377
  6. 이상규, 황학수, 황세호, 박인화, 신제현, 2002, 참조채널 유도분극탐사 기술에 의한 해수침투대 인지, 물리탐 사학회지, 5(1), 56-63
  7. 조두현, 1984, 전극 분극에 의한 SIP 반응의 모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최상혁, 김형수, 김지수, 2008a, 충적층 조사를 위한 모 래와 점토의 유도분극 특성 고찰, 한국지구물리물리 탐사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199-204
  9. 최상혁, 정재훈, 김영식, 김형수, 2008b, 수분함량별 모래 점토 시료의 전기비저항 및 유도분극 실내 실험, UN 이 정한 지구의해 학술발표논문 초록집, 310
  10. Draskovits, P., Hobot, J., Vero, L. and Smith, B. D., 1990, Induced polarization surveys applied to evaluation of groundwater resources, Pannonian Basin, Hungary, in Induced polarization: Applications and case histories eds by Fink, J.B., et al. SEG special publication, 379-396
  11. Fink, J. B., McAlister, E. O., Sternberg, B. K., Wieduwilt, W. G., and Ward, S.H., 1990, Induced polarization, Applications and case histories, Investigations in Geophysics, No. 4 Soc. Expl. Geophys., 150-178
  12. Keller, G. V. and Frischknecht, F. C., 1966, Electrical methods in geophysical Prospecting, Pergamom
  13. Ogilvy, A. A. and Kuzmina, E. N., 1972, Hydrogeologic and engineering-geologic possibilities for employing the mothod of induced potentials, Geophysics, 37, 839-861 https://doi.org/10.1190/1.1440304
  14. Pelton, W. H., Ward, S. H., Hallof, P. G., Sill, W. R., and Nelson, P. H., 1978, Mineral discrimination and removal of inductive coupling with multifrequency IP, Geophysics, 43, 588-609 https://doi.org/10.1190/1.1440839
  15. Slater, L. D. and Lesmes, D., 2002, IP interpretation in environmental investigations, Geophysics, 67, 77-88 https://doi.org/10.1190/1.1451353
  16. Vacquier, V., Holmes, C. R., Kintzinger, P. R. and Lavergne, M., 1957, Prospecting for groundwater by induced electrical polarization, Geophysics, 22, 660-687 https://doi.org/10.1190/1.1438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