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l Image and Brand Image of Prestigious Foreign Fashion Brands

해외 패션 고급 상표들의 일반적인 이미지와 상표 이미지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to mak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image and brand image in overseas luxury fashion brands. The questionaries were given to female residents in the ages of $20s'{\sim}40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in October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software such as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ellows; 1.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across general images, it was regarded as the most Reputed' and 'Conspicuous' image. 2.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across brand images of oversea fashion luxury brands, it was regarded as the most Reputed' image. 3.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images and brand images in overseas fashion luxury goods, it was found out that Chanel brand was regarded as more 'luxurious' and 'original' image, on the other hand, Giorgio Armani and Burberry were not.

Keywords

References

  1. [커버, 명품불패] 아시아 명품열풍엔 이유가 있다 (2008. 6.2). 주간한국, 자료검색일. 2008.7.22, 자료출처 http:/ /weekly.hankooki.com
  2. 홍수화, 김미영 (2006). 명품 관련 기존 연구의 분석. 복식문화연구, 15(1), pp. 81-97
  3. 김은혜 (2005). 스토리텔링 광고에 관한 연구: 명품브 랜드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4
  4. 명품. 네이버 국어사전. 자료검색일 2008.7.17, 자료출처 http://www.naver.com
  5. Grossman, G. M., & Shapiroc (1988). Counterfeit-product trad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8(3), pp. 59-75
  6. Vigneron, F., & Johnson W. L. (1999). A review and a concept framework of prestige-seeking consumer behavior.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Review, 9(1), pp. 315-331
  7. Shah David (2002). A new definition of luxury, Textile view, p. 52
  8. 김재문 (2002). 명품의 조건. LG주간경제, 677호, pp. 34-39
  9. 최선형 (2001).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pp. 842-854
  10. 이승희외 (2003). 패션명품상표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pp. 1241-1251
  11. 이지형, 임숙자 (1997). 상표 이미지 일치가 상표 확장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6), pp.959-969
  12. 홍금희 (1997). 수입 캐주얼 상표태도에 따른 소비자 유형화와 상표이미지 및 의복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3, pp. 189-206
  13. 최선형 (2003). 지각된 제품특성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명품 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2), pp. 209-218
  14. 이승희 외. (2003). 패션명품상표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pp. 842-854.
  15. 최윤정, 이은영 (2004). 패션명품의 상표자산 구성요소 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7), pp. 1007-1018
  16. 손영석 (1984). 서울 청소년 남성의 외국 상표 인지도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pp. 99-104
  17. 이유리 (1994).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상표 지향 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7-70
  18. 박미정 (2001). 과시소비성향과 정장 수입상표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 (1), pp. 3-14
  19. 김숙경 (1988). 청년기 수입의류 상표 선호도와 구매 태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pp. 81-86
  20. 박혜원 (1990). 외국상표 기성복의 구매실태에 관한 연구: 직수입 여성정장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 학원 의류직물학과, pp. 72-75
  21. 고애란 (1994). 국내 및 외국 상표 청바지의 구매의도 에 따른 평가기준에 대한 신념과 추구이미지 및 의복 태도의 차이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pp. 263- 272
  22. 김미숙, 김태연 (1996). 국외상표의 정장의류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3), pp. 481-492
  23. 이명희 (2000). 국내 및 외국 의류 상표수용태도와 가 치관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연구, 14, pp. 51-72
  24. 박혜원, 전경숙 (2005). 자민족중심주의. 패션선도력의 관계 및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9(11), pp.1498-1506
  25. 황진숙, 양정하 (2004). 패션제품의 명품추구혜택과 상 표충성도의 관계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pp. 862- 871
  26. 조은아, 김미숙 (2005).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수입명품 및 유명상표 의류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 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8(1), pp. 76-87
  27. 김선숙 (2005). 매스티지 명품에 관한 고찰; 추구가치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11), pp. 1381-1388
  28. 최일경, 고애란 (1995). 혜택 세분화와 인식도에 의한 진의류 브랜드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5), pp. 699-712
  29. 엄경희 (2003). 구찌 브랜드이미지의 브랜드 인지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0(3), pp. 113-120
  30. 엄경희 (2003). 해외 유명 패션브랜드 제품에 대한 브 랜드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40-157
  31. 전수영 (2005). 버버리 패션명품소비자의 동조성과 개 성에 관한 연구. 복식, 55(3), pp. 136-149
  32. 김대영 (2004). 명품마케팅. 미래의 창, pp. 35-45
  33. 김대영 (2004). 명품마케팅. 미래의 창, pp. 51-52
  34. 전수영 (2005). 버버리 패션명품소비자의 동조성과 개 성에 관한 연구. 복식, 55(3), pp. 136-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