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High-Humidity and High Temperature at Kentucky Bluegrass Growth in Summer

하절기 한지형 잔디 재배 시 침수 및 고온으로 인한 잔디의 생육 불량 현상

  • 이정호 (연세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생명 과학기술학부 생물자원공학) ;
  • 최준용 (연세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생명 과학기술학부 생물자원공학) ;
  • 이성호 ((주)엘그린) ;
  • 주영규 (연세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생명 과학기술학부 생물자원공학)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growth of root and shoot normally decline dramatically in mid-summer of Korea, moreover the cool-season turfgrassgrass eventually wither to death over $30^{\circ}C$. The increase of air temperature also drives the heat of soil, that makes stress on root system. The heat stress affects physiological mechanisms of hormonal unbalance that stimulates shoot growth,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To solve those problems,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control soil moisture and OM content to decrease soil temperature for dissolving the growth retardant by heat stress. This study initiated to analyze the change of soil temperature with soil moisture, and the effect of soil depth and moisture content on heat transmit and thermal changes on turfgrass growth(productivity, green color, and damage by dryness and high temperature). Kentucky bluegrass plots prepared with 25%, 33%, 40% soil moisture treatments. Soil temperature was measured every five min. with four thermo-sensors at 12 and 2 cm soil depth. The most acceptable growth showed at 33% soil moisture, but the worst result showed at 40%. The soil moisture seriously affected on th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however the quality of turfgrass may acceptable if we can control soil moisture down to 33% when the flooding season of monsoon.

한지형 잔디는 하절기 온도가 $30^{\circ}C$ 이상까지 올라가는 우리나라에서 뿌리와 줄기의 성장이 급격히 저하되고 심하면 고사하게 된다. 기온의 상승으로 인한 지온 상승은 잔디뿌리에 스트레스가 되며 그 스트레스는 호르몬의 불균형적인 형성으로 지상부 생장 및 광합성, 증산작용 등의 여러 매카니즘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양내 수분함량을 조절하기도 하고 유기물 함량을 조절하여 지온의 상승을 제한함으로서 잔디의 생육부진을 해소하는 연구도 수행되었다. 본 실험은 토양 수분의 변화에 따른 토양 온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잔디 재배지에서의 토양 깊이와 수분 함량에 따른 열 전도 기작과 열 환경 변화에 따른 직접적인 잔디 생육(생산량, 녹도, 건조피해, 고온피해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공시 초종으로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L.)를 선정하였고 각각의 실험구는 수분함량에 따라 25%, 33%, 40%의 3가지로 구분하여 처리하였다. 토양온도측정 센서를 각 실험구에 깊이 12cm 지점과 2cm 지점에 각각 2개씩 즉, 한 실험구당 4개의 토양온도측정 센서를 설치하여 매 5분마다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에 따른 온도변화는 수분함량이 33% 일 때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잔디의 생육상태를 비교하여 볼 때 수분 함량이 33% 일 때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40% 일 때 가장 생육이 불량하였다. 하절기 고온 환경에서 한지형 잔디인 Kentucky bluegrass의 생육은 토양 수분함량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만, 장마기에 잔디가 침수된 환경에서 토양 수분 함량을 최소한 33%까지 감소시켰을 경우에는 잔디 생육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원, 이승구. 2002. 재배식물생리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제 18장
  2. Li, D., D.D. Minner, and N.E. Christians. 2002. Direct heat stress effects on creeping bentgras. 2002 Turfgrass report. ISU Horticulture Department. IA
  3. Beard, J.B. and W.H. Daniel. 1965. Effect of temperature and cutting o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roots. Agronomy Journal 57:249-250 https://doi.org/10.2134/agronj1965.00021962005700030006x
  4. Beard, J.B. 1973. Turfgrass : Science and culture.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5. Carrow, R.N. 1996. Summer decline of bentgrass green. Golf Course Management 4:51-56
  6. Jiang, Y. and B. Haung. 2000. Effects of drought or heat stress alone and in combination on Kentucky bluegrass. Crop Science 40:1358-1362 https://doi.org/10.2135/cropsci2000.4051358x
  7. Huang, B. and H. Gao. 2000. Growth and carbohydrate metabolism of creeping bentgrass cultivars in response to increasing temperature. Crop sci. 40:1115-1120 https://doi.org/10.2135/cropsci2000.4041115x
  8. Liu, X. and B. Huang. 2005. Root physiological factors involved in cool-season grass response to high soil temperature.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53:233-245 https://doi.org/10.1016/j.envexpbot.2004.03.016
  9. Kay, B.D. and P.H. Gronevelt. 1974. On the interaction of water and heat transport in frozen and unfrozen soils 1. Soil Sci. Soc. Am. Proc. 38:395-400 https://doi.org/10.2136/sssaj1974.03615995003800030011x
  10. Riha, S.J., K.J. Mclnnes, S.W. Child, and G.S. Campbell. 1980. A finite element calculation for determining thermal conductivity. Soil Science Society America Journal 44:1323-1325 https://doi.org/10.2136/sssaj1980.03615995004400060039x
  11. Yim, J.H. and K.S. Kim. 1995. Effect of shading on the vegetative growth of Korean lawngrass(Zoysia japonica Steud.). J. Kor. Soc. Hort. Sci. 36(5):755-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