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EEs of ginsengs(2, 3, 4 years) from the granite, phyllite and shale areas, Keumsan, are analysed and compared with the their soils. In the weathered soils, high element contents are shown in the LREE of the granite and in the HREE of the phyllite. The granite dominantly show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s. In the field soils, the phyllite are high while the granite are low. Relationships of the contents and correlation relationships can be explained with mineral assemblages and contents within soils, and their solubilities. In the host rocks, high contents are found in the LREE of the granite and HREE of the phyllite. The rocks dominantly show positive relationships. In the ginseng, high contents are shown in the 2 year for the shale and granite, and the 4 year for the phyllite. Element pairs mainly show positive relationships. Comparing of the same ages, the granite are mainly high. In the ratios between the soils and the ginsengs, differences of the several hundred to ten times are found, but dominantly, of the several hundred times in the shale and phyllite, and of the several ten times in the granite. The differences are big in the 3 year, and small in all REE of the 2 year from the shale and granite. while, in the phyllite, big in the LREE of the 2 year and HREE of the 3 year. Based on the absorption of the leachate by the ginsengs within soils, contents and correlation relationships of the ginsengs from the different soils can be explained with mineral assemblages, solubilities of the constitutional minerals and phyio-chemical affects influenced on the solubility. Of the three different soils, the ginsengs of the granites are chemically more similar to their soils.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풍화 토양에서 LREE는 화강암 지역이, HREE는 천매암 지역이 높았다. 원소 쌍들 간에는 화강암 지역이 정의 상관관계, 천매암 지역이 부의 상관관계가 우세하였다. 밭 토양은 화강암 지역이 대부분 원소가 낮았고, 천매암 지역이 높았다. 토양의 함량 및 상관 특성은 이들 원소를 포함하거나 교대하는 광물 영향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모암은 LREE가 화강암이, HREE가 천매암이 높았다. 3 대조구 모두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우세하게 보였다. 이는 각각의 LREE와 HREE를 포함하는 광물들의 조합 및 함량이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인삼 성분은 동일 지역 연생 차이별 성분 비교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는 토양의 광물학적 특성, 인삼의 재배기간, 토양에서 발생하는 물리, 화학적 변화 탓으로 설명이 된다. 동일 연생별 비교에서는 대부분 원소가 화강암 지역이 높았다. 이는 토양 중 광물 조성 및 조합 차, 토양에서 흡수되는 원소함량과 뿌리표면의 울혈과의 관계, 뿌리에 흡착되는 원소기작에 의한 영향, 토양수분 pH 변화가 주는 영향, 식물체내 각 기관에 흡수 축적되는 원소함량과 원소들의 특징차이 등으로 설명이 될 듯하다. 토양의 상대 비 비교에서 혈암 및 화강암 지역은 풍화토가, 천매암 토양은 밭토양이 높았음을, 풍화토와 모암의 비교는 풍화토가 높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자연 상황의 풍화토와 한번 경운을 하고 인삼이 다년생으로 자라는 밭 토양과의 차이 탓으로 설명이 되고, 암석과 토양의 관계는 풍화 과정을 거치며 일부 원소가 용출된 토양과 그렇지 않은 원래 모암의 특성 차이로 설명이 될 듯하다. 토양과 인삼과의 상대 비에서 인삼이 연령에 관계없이 함량 차이가 혈암 및 천매암 지역은 수 백 배로 컸고, 화강암 지역은 수 십 배 차이로 작았다. 토양과 인삼과의 상대 비는 혈암 및 화강암 지역에서 3 년생이 제일 컸고 2 년생이 작았다. 이는 인삼이 한 토양에서 장기간 생육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만큼 원소 함량을 받아들임을 암시한다. 각 대조구별 동일 연생의 비교에서 화강암 지역의 밭토양과 인삼함량의 비 차이가 제일 작아, 화강암 지역 인삼 함량이 토양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토양의 용출수가 인삼에 흡수된다는 것을 전제로 했을 때 토양 중의 물리, 화학적 변수들이 타 지역에 비해 화강암 지역에서 더 잘 반영 되고 있음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