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지리학회지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제11권3호
- /
- Pages.302-318
- /
- 2008
- /
- 1226-8968(pISSN)
- /
- 2713-9115(eISSN)
집적과 클러스터: 개념과 유형 그리고 관련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Reconsidering the Concept, Typology and Theories of Agglomeration and Cluster in Economic Geography
- Lee, Jong-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Chul-Woo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9.30
초록
1990년대 이후 산업 집적 혹은 지역혁신 관련 연구들은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고, 그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논의들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지리학의 가장 핵심적인 연구 분야의 하나인 산업 집적과 관련된 용어와 개념들의 구체성은 오히려 결여되고 있어, 새로운 학문적 조류와 환경 변화에 대응한 이론 체계의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식기반경제 혹은 학습경제로의 전환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경제활동의 공간적 실체인 집적 및 클러스터와 관련된 용어와 개념 그리고 이론들을 주요 연구 문헌들의 고갈을 토대로 검토하였는바, 그 핵심적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적과 클러스터의 용어 및 개념적 구분이 명확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클러스터는 집적의 다양한 존재 형태 가운데 일부를 나타내는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됨으로써 개념적 불명료성과 혼동을 가중시키고 있다. 둘째, 집적지, 혹은 클러스터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명확하게 하지 앓은 결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집적지의 유형을 구분하는데 있어서도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다수의 연구에서 그들이 사용한 집적지 관련 용어에 대한 개념정의를 명확하게 하지 않고 유형 구분을 함으로써 집적지 유형 구분에 대한 의의를 반감시키거나 해석상의 오류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셋째, 산업 집적지 혹은 클러스터 관련 이론들 간의 수렴 현상이 나타나면서 이론들 간의 차별성과 정체성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As socio-economic paradigms have been moving towards the knowledge-based capitalism from the industrial capitalism, it is obvious that research on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regional innovation has been explosively increased. However, there is a contradictory tendency that the terms and concepts, which are related to industrial agglomeration, have became less clear and more fuzzy. In this sense, this paper attempts to tackle and reconsider the concept, typology and theories of agglomeration and (or) cluster in economic geography. The main claim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erms and concepts related to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cluster need to be clear. It seems to be that cluster is received as an umbrella concept of agglomerations all-embracing the varieties of a geographical concentration of industry. However, the authors claim that the cluster concept should be part of the diverse types of industrial agglomeration. Secondly, the tendency of a less clear definition on agglomeration and cluster could make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types of agglomeration being in the forms of diversity. Such a tendency would result in a misguided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a typology of agglomeration. Finally and most importantly, as perspectives or theories that are associated with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cluster show increasingly a propensity of convergence, it is problematic that related theories and perspectives lose their own identity and distinctiven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