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경산수화에 담긴 '같은 경관' 그러나 '다른 풍경', 그 의미 찾기 - 18.19C 총석정 그림을 중심으로 -

'The Same Scenery' and 'a Different Landscape' Included in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 an Essay to Determine Meaning - Centering around Paintings of Chong Seok Jeong in the 18th-19th Centuries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장일영 (교토대학교 대학원 인간환경학연구과)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Jang, Il-Young (Dept. of Human Environment Studies, Graduate School, Kyoto University)
  • 발행 : 2008.12.31

초록

본 연구는 18 19C 진경산수화에 담긴 경관과 풍경의 표상과 의미를 찾기 위해 '같은 경관'이 '다른 풍경'으로 인식되고 묘사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총석정을 대상으로 한 실경산수화 총 25엽을 대상으로 그림의 시점과 내용 그리고 표현방법 등을 분석한 결과, '총석정다운' 이상적 경관의 표현을 목표로 모방과 재현을 통해 특정한 표상을 기저에 둔 일종의 기호론적 풍경의 전승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왔음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총석정의 고유 이미지가 특정한 기표로 정착되고 오랫동안 유전되고 왔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우뚝 솟아 물보라로 부서지는 기괴한 사선봉과 솔숲'이라는 의미적 표상은 총석정의 '그것다움'으로 전수되어 왔으며, 이는 총석정의 원풍경 요소로 집단 표상화 되며 전형성을 갖추게 되었다. 겸재와 단원의 그림을 통해 특정 화가의 그림이 변용되는 과정은 매우 흥미로울 뿐 아니라 그림 속에 표현된 경관은 수차례의 장소 경험과 사생을 통해 그들만의 정서와 추억이 덧칠된 풍경이었음이 분명하다. 또 그들의 그림은 경험을 통해 얻은 '특정 경관' 즉 개인적 정조(情調)에 따른 심상이 부여된 풍경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똑같은 경관에 대한 동일 시점에서 조차 다른 모습으로 표현된 그림은 경관 주체의 인식을 통해 재해석된 결과로 관조와 인지과정을 통해 경관 대상의 형태 변용은 다채로울 수 있었다. 변용되기 이전의 객관적 실물 재현이 경관에 가까운 모습이라면 취사 선택과 생략 및 강조를 통해 새롭게 인식된 경관 그것은 마음속의 '특정한 경관'으로 '풍경'에 더욱 가까워진 모습이다. 따라서 단순히 '감각적으로 포착된 객관성을 띤 자연'이 경관이고 '미적인 향수 방식으로 성찰되어 문화성을 획득한 주관적 현상은 풍경'이라는 개념은 매우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process in which 'the same scenery' is recognized and represented as 'a different landscape' to determine the symbols and meaning of the scenery and landscape included in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s of the 18th-19th centur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sual points, the content and expressions of 25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s of Chong Seok Jeong(叢石亭),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ssion of a kind of semiotic landscape on the basis of a specific symbol was accomplished naturally through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for the purpose of the expression of Chong Seok Jeong-like idealized scenery. This shows that the unique images of Chong Seok Jeong have long been passed down after taking root as a unique benchmark The meaningful symbol of 'a strange Saseonbong(四仙峰)', which is broken by the spray after rising high, and 'a pine forest' have both been transmitted as being in the manner of Chong Seok Jeong. This has been equipped with the stereo-type scene by being a collective symbolization as the psycho-scenes in memory element of Chong Seok Jeong. Through the pictures of both Gyeomjae(謙齋) and Danweon(檀園), the process by which a specific painter's pictures become acculturated is highly interesting. The scenery expressed in these pictures was clearly that of a landscape of which its particularly emotions and remembrances were repainted through the experience of several places and original sketches.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concept in which the image from 'a specific scenery' gained through actual experience, that is, a personal feeling, has been expressed. The picture that was expressed as a different figure even at the same visual point for the same scenery is the result that was redefined through the scenery subject's recognition. Also, the modification of the scenery object can be colorful through meditation and Sachu(邪推: guessing with wicked doubt). The scenery recognized newly through adoption, omission and emphasis, it is 'the specific scenery' in the heart and is a figure having been more similar to 'a landscape' if the objective life reproduction before being acculturated is a figure similar to the scenery. So, the concept looks like being very persuasive that 'the nature with objectivity captured sensuously' simply is the scenery, and that 'the subjective phenomenon having acquired the cultural nature by being introspected in the method of aesthetic nostalgia is a landscap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조(2003) 풍경에 다가가기. 효행출판. pp. 126-137
  2. 강영조(2005) 풍경의 발견. 효행출판. pp. 4-7
  3. 강영조, 배미경(2002)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조망행동: 진경산수화 100엽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5): 1-15
  4. 고연희(2001)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 연구: 정선과 농연 그룹을 중심으로. 일지사
  5. 고연희(2002) 조선시대 眞幻論의 전개: 산수미와 산수화에 대한 담론. 한국한문학연구 29: 119-148
  6. 고연희(2007)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돌베개. pp. 313-314
  7. 김재윤(1999) 도시경관미의 형성 조건에 관한 연구. 동의공업대학논문집. pp. 291-305
  8. 김우창(2003) 풍경과 마음. 생각의 나무
  9. 김영정(1996) 심리철학과 인지과학. 철학과 현실사. 서울
  10. 김한배(2005) 조경설계의 양식과 설계언어. 조경설계론. 한국조경학회 편. 기문당. pp. 85-112
  11. 김호준, 박봉우, 임주훈, 하연(1997) 개정판 경관수목학. 두솔. p. 4
  12. 나카무라 요시오(2004) 風景を倉る. 강영조(역). 풍경의 쾌락. 효형출판. 2008
  13. 나카무라 요시오(2004) 風景を倉る. 김재호(역). 풍경학 입문. 도서출판 문중. 2008
  14. 남택윤(2006) 풍경에 관한 시각문화적 의미론. 미술교육논총 20(3): 281-300
  15. 민주식(2001) 풍경의 미학; 풍경미의 원리와 구조. 미학 31: 5-49
  16. 박은순(1999) 김하종의 '해산도첩' 미술사논단. 제4집. 309-331
  17. 박은순(2002) 조선후기 사의적 진경산수화의 형성과 전개. 미술사연구. pp. 333-363
  18. 배정한(2007) 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 도서출판 조경. pp. 121-126
  19. 성호영(1997) 조선조 누정시가의 표상.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세르미 제키(2003) 이너비젼 뇌로 보는 그림, 뇌로 그리는 미술. 박창범(옮김). (주)시공사
  21. 손오규(2006) 산수미학탐구. 제주대학교출판부. pp. 15-33
  22. 엘리엇 도이치(1975) 비교미학 연구. 민주식(옮김). 미술문화. 2002
  23. 오주석(1999)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1. 솔출판사
  24. 이보라(2005) 조선시대 관동팔경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태호(2007) 실경에서 그리기와 기억으로 그리기: 조선후기 진경산수화의 시(視)방식과 화각(畵角)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
  26. 이형대(2002) 17.18세기 기행가사와 풍경의 미학. 민족문화연구 40: 117-145
  27. 이형대(2005) 금강산 기행가사의 시선과 풍경. 민족문화연구 42: 79- 104
  28.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9. 장지성(2002) 산수화의 시방식(視方式)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2): 23-32
  30. 정선아(2003) 풍경, 情調의 형상화 장소. 풍경을 중심으로 한 프랑스 현대시와 우리 현대 시 읽기의 몇 가지 사례. 불어불문학연구 54: 508-578
  31. 조상현(2006) 18-19C 그림 속의 관동팔경. 한서대학교출판부. pp. 59-62
  32. 진희성, 노재현(1991) 팔경의 의미체험에 따른 풍경개념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1): 31-43
  33. 최완수(1999) 겸재를 따라 가는 금강산 여행. 대원사
  34. 최욱철(2007) 역사속의 미를 찾아 떠나는 관동팔경. 강원미래연구소
  35. 한명희(2003) 교육의 미학적 탐구. 집문당
  36. 황기원(1989) 경관의 다의성에 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17(1): 55-68
  37. 황기원(1992) 한국인이 보는 경관. 대한건축학회지 36(1): 3-9
  38. 황기원(1995) 경과 관련 술어의 개념에 관한 고찰: 관련된 한자어의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2(4): 23-36
  39. 황주영(2006) ut pictura hortus: 18세기 영국 풍경식 정원에 관한 연구. 미술사학보. 제26집. 181-204
  40. Meinig, D, W.(1979) The Interpretation of Ordinary Landscap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2-4
  41. Simonds, J. O.(1961) Landscape Architecture. Mcgraw-hill Book Company, Inc. pp. 115-123
  42. http://silab.riss4u.net/SILAB/Concept_Srch/CResult_Hit.jsp?sccseq= 27248
  43.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24574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