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Hybrid Environmental Design

혼성적 환경설계의 기원과 전개

  • Kim, Han-Ba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김한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Since the late 20th century, post-modern society has needed new styles in environmental design. The land art begun during that time supplied the momentum for the birth of the hybrid environmental design. The new design approach, focusing on land form and landscaping begun with land-form architecture, raised a powerful current of hybridization in the environmental design genres. The new picturesque landscape design distinguished by manipulated land forms and sublimated aesthetics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land art and land-form architecture. Similarly, landscape urbanism was formed by the fus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refore, the representative hybrid styles in environmental design appear as new picturesque landscape design, land-form architecture and landscape urbanism. With the new, strong interest in land and landscape, this same new interest was given to 'time' on account of the dynamics and indeterminacy of urban society. This new interest in land and time gave rise to new hybrid methodologies for environmental design such as mapping, diagramming and folding. These three tools have been applied most comprehensively in landscape urbanism. The 'fold' is the most popular design tool for most of the hybrid genres. The 'diagram' is the second-most popular design tool mostly for landscape urbanism and land-form architecture. Mapping is being actively applied to landscape urbanism and passively applied in new picturesque landscape design. In general, landscape urbanism seems to be a timely and suitable alternative for contemporary urban society. It displays very high potentials in the regeneration of the locality through the comprehensive hybrid methodolog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gage in and develop landscape urbanism fit the local needs.

20세기 말부터 시작된 탈근대의 사회와 문화는 새로운 환경설계의 문법을 요구하고 있었고, 당대에 등장한 대지예술은 새로운 혼성적 설계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대지예술의 영향아래 건축으로부터 시작된 지형적, 경관적 접근은 환경설계 전반에 장르간 혼성화의 큰 흐름을 일으켰다. 대지예술과 지형건축의 영향을 받은 조경에서는 신픽쳐레스크 조경이 등장하게 되었고, 조경의 영향을 받은 도시설계에서는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이 태동되었다. 이러한 환경설계 전반에 걸친 땅과 경관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함께 동시대 도시의 유동적 도시활동과 동태성이 중시되면서 시간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들 땅과 시간에 대한 새로운 관심들은 혼성적 환경설계장르들의 작업에 필요한 새로운 방법론들을 안출해 내게 하였는데 맵핑과 다이어그램, 폴드가 그것이다. 이들 세 가지 방법론은 특히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서 가장 포괄적으로 적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폴드는 모든 혼성적 장르에 가장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나타난다. 다이어그램은 지형건축과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있으며, 맵핑은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에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있고, 대지조형적 조경에서는 소극적으로 수용되고 있다. 맵핑이 가지는 진보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그 방법론이 개별적이고 주관적이어서 보편적 적용이 어려운 이유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아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은 현대도시상황으로 보아 매우 시의적절한 대안적 방법이며, 혼성의 포괄성과 지역성 구현에서 매우 높은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조경분야가 도시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여 향후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혁(2007) 용감한 신세계로의 초대. SPACE 476 (주)공간사
  2. 김아연(2006)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으로 본 춘천 G5 국제설계경기 출품작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4(3): 120-138
  3. 김재관(1996) '그리드Grid'의 형성과 해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한배(2005) 포스트모던 조경설계의 다원적 전개양상. 한국조경학회지 32(6): 68-81
  5. 배정한(2006) 현대조경설계의 전략적 매체로서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2): 99-112
  6. 스기모토 토시마사(1986) 건축의 현대사상. 최재석(역). 도서출판 발언, 1998
  7. 윤난지(2005) 현대미술의 풍경. 한길아트
  8. 1. 이정우(2000) 접힘과 펼쳐짐. 기획출판 거름
  9. 임석재(1999) 미니멀리즘과 상대주의 공간. 서울 시공사
  10. 임석재(2008) 건축과 미술이 만나다 1945-2000.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11. 전영지(2003) 'fold' 건축의 디자인 개념과 구현에 관한 연구-해체주의 건축과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인하(2006) 현대건축과 비표상. 아카넷
  13. AD(2006) FOA-Yokohama International Port Terminal. AD edit. (2006) New Science=New Architecture. London, Academy Editions. pp. 68-73
  14. AD edit.(2006) New Science=New Architecture. London, Academy Editions
  15. Arriola, A. et al.(1993) Modern Park Design: Recent Trend(Report of Symposium 'Park' 6-7, Feb., 1992). Amsterdam. Troth Publishers
  16. Beardsley, J.(1998) Earthwork and Beyond - Third Edition. New York Cross River Press Ltd
  17. Beardsley, J.(1996) Entrophy and the New Landscape. Process Architecture eds.(1996), Hargreaves:Landscape Works. Tokyo Process Architecture Co., Ltd. pp. 14-28
  18. Corner, J.(2006) 테라 플럭서스(Terra Fluxus), Charles Waldheim edit.(2006) 김영민(역).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 도서출판 조경. 2007
  19. Corner, J. and A. S. Maclean(1996) Taking Measures across the Americal Landscape.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 Corner, J.(1999a) The Agency of Mapping: Speculation, Critique and Invention. Cosgrove, D. edit.(1999) Mapping. Reaktion Books Ltd., pp. 213-252
  21. Corner, J.(1999b) Introduction. Corner, J. edit.(1999) Recovering Landscap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1-26
  22. Corner, J.(1999c) Eidetic Operations and New Landscapes. Corner, J. edit.(1999) Recovering Landscap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pp. pp. 164-167
  23. Corner, J.(2003) Landscape Urbanism, Mostafavi, M. and Najle, C. edit.(2003) Landscape Urbanism: a Man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 London, AA Publication. pp. 52-57
  24. Czerniak, J.(2001) Downsview Park Toronto. NY, Havard Design School + PRESTEL
  25. C3 Landscape(2007) Gross.Max.. Seoul Korea
  26. C3 Landscape(2007) StossLU. Seoul Korea
  27. Hargreaves, G.(1983) Post Modernism Looks Beyond Itself. Landscape .Architecture July/August 1983. pp. 60-65
  28. Hight, C.(2003) Portraing Urban Landscape. Mostafavi, M. & Najle, C. edit.(2003) Landscape Urbanism: A Man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 London, AA Publication. pp. 9-21
  29. Imperiale, A.(2000) New Flattness: Surface Tension in Digital Architecture. Basel, Birkhauser-Publishers for Architecture
  30. Lootsma, B.(1999) Synthetic Regionalization: The Dutch Landscape toward Second Modernity, Corner, J. edit.(1999) Recovering Landscap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251-274
  31. Jencks, C.(1995) The Architecture of the Jumping Universe. London, Academy Edition
  32. Jencks, C.(2006a) Nonlinear Architecture: New Science=New Architecture?. AD edit.(2006) New Science=New Architecture. London, Academy Editions. pp. 6-7
  33. Jencks, C.(2006b) Landform Architecture. AD edit.(2006) New Science=New Architecture. London, Academy Editions. pp. 15-31
  34. Kim, Do-Kyung(1996) A Study on the Aesthetic Development of Robert Smithson as Means of Investigating His Conceptualization of a Modern Landscape Aesthetics. 한국조경학회지 24(2): 62-73
  35. Krauss, R.(1979) Sculpture in the Expanded Field. 박신의(역), 현대미술비평 30선 계간미술 편, 중앙일보사. 1987
  36. OMA, Rem Koolhaas and Bruce Mau(1998) S, M, L, XL. The Monacelli Press
  37. Process Architecture128(1996) Hargreaves. Tokyo. Process Architecture
  38. Rowe, P. G.(1996) Landscape of the Present Future. Process Architecture eds.(1996) Hargreaves: Landscape Works, Tokyo. Process Architecture Co., Ltd. pp. 62-75
  39. Spens, M.(2003) Modern Landscape. London Phaidon Press Limited
  40. Shannon, K.(2006) 저항으로서의 장소: 유럽의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 Charles Waldheim edit.(2006)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 김영민(역) 도서출판 조경. 2007
  41. Turner, T.(1996) City as Landscape. London E&FN SPON
  42. Wall, A.(1999) Programming the Urban Surface. Corner J. edit. (1999) Recovering Landscap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233-249
  43. Weller, R.(2006) 수단성의 기술: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을 통해 생각하기. Charles Waldheim edit.(2006)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 김영민(역) 도서출판 조경.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