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earable Art-Chameleon Dress

웨어러블 아트-카멜레온 드레스

  • Cho, Kyo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조경희 (국립목포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ress the image of chameleons-that change their colors by light, temperature and its mood-into the sexy styles of corresponding coquettish temperamental people in Wearable Art.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experimenting various production mediums, including creating the textured stretch fabric,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chameleon in Wearable Art. The concept of the work was a concoction of 'tempting', 'splendid', 'brilliant', 'fascinating', etc. that highlighted the real disposition of the chameleon. The futuristic preference of the researcher was also implicated. "Comfortable" and "enjoyable" concepts via motions were improved with the its completeness. The point of the design and production is to express symbolically the chameleon in real life, analyzing its sleek body lines, conditional colors changing, outer skins and the cubic textures. The coquettish temperamental image, the conceptual image of the chameleon, was also expressed by implication into the whole work. The entire line of this work is body-conscious silhouette. It was symbolically selected to image the outline of the chameleon that has the slim and sleek body. The exposed back is intended to express symbolically the projected back bones of the chameleon. The hood of gentle triangle line expresses the smooth-lined head part. The irregular hemlines represent the elongated chameleon's tale. The chameleon with its colors of vivid tones is characterized the colors changing by its conditions. This point was importantly treated in the working process by trying the effects that the colors are seen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ght and angles. The material was given the effect that its surface colors are seen different in lights and angles because of the wrinkles protruded lumpy-bumpy. The various stones of red and blue tones are very similar to the skin tones of the real chameleon, and their gradation makes the effect that the colors are visibly changed with each move. The textures of the chameleon were produced via the wrinkle effect of smoke-shape, which is the result of using the elastic threads on the basic mediums stitched with 50/50 chiffon and polyester along with velvet dot patterns. The stretching fabric by the impact of the elastic threads is as much suitable for making the body-conscious line. The stones are composed of acrylic cabochon and gemstone. They are symbolically expressed the lumpy and bumpy back skin of the chameleon and produced the effect of the colors visibly different. The primary technique used in this dress is the draping utilizing the biased grains. The front body piece is connected to the hood and joined to the back piece without any seam. For the irregular hemline flares, leaving the several rectangular pieces with bias grains, they were connected by interlocking. What defines the clothes is the person in action. Therefore, what decides the completeness of clothes might be its comfortable and enjoyable feeling by living and acting people. The chameleon dress could also reach its goal of comforting and pleasing Wearable Art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techniques and effects that visibly differentiate the colors. It is considered as a main point of the Wearable Art, which is a comfortable enjoyable clothing tempered with the artistic beauty.

카멜레온은 미끈한 몸통과 화려한 색 띠들을 가진 작은 도마뱀을 말하는데 빛, 온도, 기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변덕스러운 사람, 요염하고 매혹적인 사람, 속물적이면서도 상황에 재빨리 대처하는 사람 등을 일컬어 카멜레온이라고 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에 따라 색이 변하는 카멜레온 이미지를 요염한 변덕장이들의 섹시한 스타일로 비유해서 Wearable Art에 실루엣, 색, 텍스처 개발 기술을 접목하여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카멜레온의 사실적, 개념적 특징들을 Wearable Art 작품으로 표현해 나가는 단계에서 특히, 옷감 표면에 다양한 제작 기술들을 실험해 보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작품 이미지 컨셉은 'sensuality', 'tempting', 'splendid', 'brilliant', 'fascinating' 등으로 표현했고, 연구자의 미래지향적 기호와 움직임을 통한 편하고(comfortable) 즐거울 수 있는(enjoyable)개념 역시 포함되도록 하면서 작품 완성도를 높였다. 디자인 및 제작 포인트는 실제 카멜레온의 전체 라인, 색, 표피 질감 등 그 특징들을 분석하여 본 작품의 형태, 색, 텍스처 등을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하도록 하였고, 동시에 요염한 변덕장이 카멜레온의 이미지가 암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 실루엣은 바디컨셔스 라인(body-conscious line)이다. 이것은 카멜레온의 날씬하고 미끈한 몸체를 이미지화 한 것이며 동시에, 속세적이면서도 미래적인 이미지가 암시적으로 표현되도록 한 것이다. 카멜레온 등뼈가 드러난 것을 드레스 등이 노출되도록 하여 표현하였는데 이것은 동시에 관능적이고 요염한 카멜레온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카멜레온의 유선형 머리부분 표현은 완만한 삼각형 모양의 후드패턴을 통해, 카멜레온의 길게 말린 꼬리 표현은 불규칙적인 플레어의 햄 라인으로 처리하여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카멜레온 색들은 선명한 비비드 톤이면서 동시에 빛 또는 기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것이 특징인데, 작품 제작 과정에서도 빛과 각도에 따라 드레스 색이 조금씩 다르게 보이는 효과를 가장 중요하게 연구하였다. 검정색 쉬폰 위에 퓨셔(fuchsia)색 작은 벨벳 물방울 무늬가 박힌 소재를 주 소재로 하여 표면에 입체적인 텍스처를 줌으로서 빛의 각도에 따라 두가지 색이 섞여져서 전체적으로 색이 다르게 보이는 착시 결과를 가져왔다. 허리에서의 빨강색과 파란색 계열의 다양한 스톤들은 실제 카멜레온 스킨 이미지와 더불어 돌출된 입체감과 그라데이션 효과로 인해 움직임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50% 쉬폰/50% 폴리에스테르에 벨벳 다트 무늬가 들어가 있는 원단을 사용하여 옷감 표면에 탄성실을 이용한 스모킹 주름효과를 주는 기술을 접목시켜 flexible한 스트레치성 옷감으로 재탄생시킴과 동시에 소재 표면에 오돌토돌한 텍스처가 생기게 하였다. 이것은 카멜레온의 표피와 흡사하면서 동시에 몸에 밀착되는 결과를 가져와 섹시하면서도 편안한 작품 이미지 표현에도 적절한 역할을 한다. 스톤장식은 아크릴릭카보숑(acrylic cabochons)과 잼스톤(gemstones)들을 섞어서 사용했는데 카멜레온 등 표피 질감을 상징함과 동시에 색이 다르게 보이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본 작품의 포인트이다. 드레스 제작은 주로 바이어스 결을 이용한 드레이핑 기법을 이용하였는데, 후드가 앞 몸판과 연결되어 있고 불규칙적인 사각형들이 앞에서 뒤로 옆 솔기 없이 연결되어 있다. 옷은 살아 움직이는 사람이 입어서 가장 편하고 즐거우면 옷의 완성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카멜레온 드레스 역시 움직이는 신체와 함께 색이 다르게 보이는 기법과 효과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편하고 즐거운 Wearable Art를 완성할 수 있었다. 바로 이점이 입는 예술 즉, 입고 즐길 수 있는 옷에 예술미를 가미한 Wearable Art의 진미가 아닐까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raddock, S. E. & Omahony, M. (1998). Techno textiles. New York: Thames and Hudson
  2. Bressler, K. (1997). A century of lingerie. New York: Chartwell, Inc.
  3. Chameleon. (2001). bali.co.kr. Retrieved September 20, 2006, from http://bali.co.kr/zoo/image8/Chamelion.jpg
  4. Chameleon. (2002). joypet.net. Retrieved July 14, 2006, from http://www.joypet.net/fa/images/kamel.gif
  5. Cho, K. H. (2003). Aesthetics of contemporary fashion in stretch fabrics. Seoul: Kyungchoon Publication
  6. Cho, K. H. (2006). Nature & Future: Wearable Art Exhibition by KyoungHee Cho. Exhibition Catalogue. Kwangju: Design EZ. foreword
  7. Fashioning fabrics. (2006). London: Black Dog Publishing
  8. Friedland, S. & Pina, L. (1999). Wearable Art. New York: Schiffer Publishing Ltd
  9. Icon of fashion the 20th century. (1999). New York: Prestel
  10. Jencks, C. (1971). Architecture 2000. New York: Praeger Publishers
  11. Lamb, J. M. & Kallal, M. J. (1992). A conceptual framework for apparel desig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41-48
  12. Moss, M. (1991). Fashion designer. New York: Crestwood House
  13. Reptiles and Amphibians. (1991). New York: Time-Life Films Inc
  14. Skrebneski, V. (1995). The Art of haute couture. New York: Abbeville Press
  15. Wild Animals in the World. (1997). New York: Time-Life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