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지자기는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변동하는데 지자기의 화석이라 할 수 있는 각종 잔류자화를 통해 그 흔적을 남겨두고 있다. 고고지자기 연대법은 소토의 열잔류자화를 통해 과거의 지자기 변동을 측정하여 소토가 출토되는 고고유적의 연대를 알아내는 연대측정법이다. 본고에서는 울산 매곡동 Ⅰ지구 유적의 측구부탄요에서 채취한 14점의 소토시료를 통해 고고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 연대법의 적용 방법을 알아보았다. 유물이 출토되지 않아 주변 유구들과의 배치관계 등을 통해 삼국시대라고 추정한 측구부탄요의 불확실한 고고학적 편년에 대해, 고고지자기 연대법에 의해 산출된A.D.440${\pm}$15년의 연대는 확실한 증거자료가 되었다. 고고지자기 연대법은 오염제거가 비교적 용이하고 특히 측정연대의 오차 폭이 상당히 좁아서 신뢰도 높은 결과를 구할 수 있으므로, 고고유적의 연대측정에 있어서 유력한 자연과학적 분석법의 한 분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Terrestrial magnetism has left traces through residues such as fossils of the terrestrial magnetism as time went by. An analysis of archaeological terrestrial magnetism is an estimation of dates of archaeological remains where baked earth is exposed by measuring the change of the past terrestrial magnetism through thermo-remnant magnetization of baked earth. This paper attempts to apply an analysis of the archaeological terrestrial magnetism to archaeological remains using fourteen soil samples extracted from a charcoal kiln with side window located at the Area Ⅰ of Maegokdong. The date of A.D.440${\pm}$15 the analysis of archaeological terrestrial magnetism came up with gives solid evidence, while an archeological chronicle used arrangements of surrounding artifacts because of the absence of remains and assumed uncertainly that a charcoal kiln with side window was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s. This analysis of archaeological terrestrial magnetism has come to anchor as a main natural scientific analysis because it relatively easily removes pollutants and comes up with highly reliable results owing to its considerably narrow error tolerance of assumed d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