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ast, Present and Future as Shown in the Narratiive of Japanese Animation Work - Focusing on of Otomo Katsuhiro -

일본(日本) ANIMATION 작품의 NARRATIVE에 보여지는 과거, 현재, 미래 시제(時制)의 분석(分析) - 오토모 가츠히로(大友克洋)의<메모리즈>를 중심(中心)으로 -

  • 이승재 (한국재활복지대학 컴퓨터영상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8.12.28

Abstract

What if the memory is not erased but continues to exist in the head as it was before? The typical answer to this question would be summarized as the "love for memory". It is almost unbearable that the memory is erased, forgotten or replaced with others. Even though three episodes may be understood as separate things, they have a different image when they are seen under one subject . he three episodes impresses the people with their unique fantastic images and artistic air. In the episode of , we can see a woman who is so much concerned with her past memory so that she does not love the present. In this episode, we can realize how much destructive the bad past memory gives effect on a woman and how memory can give bad effect on a person if that does not connect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work criticizes the society whichdoes not understand the current problems by depicting a person who is so preoccupied with the thing near that person only. shows that the dream is meaningless if people have the future dream without understanding what they really want. Theaudience is absorbed to each hero or heroin who is so obsessed wit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What we can feel from these three works is the doubt about the human society which is so much preoccupied with the pessimism and the individuals who do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present because they are so much obsessed with their superficial past, present and future as well as the society where they live.

기억이 지워지지 않고 그대로 남는다면 어떻게 될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통상적인 태도는 기억에 대한 애착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기억이 지워진다는 것, 추억을 망각한다는 것, 혹은 그런 기억을 지우고 다른 것으로 대체한다는 것은 결코 참을 수 없는 일 일 것이다. 각기 다른 작품으로 보아도 이해에 무리는 없으나, 이들을 <메모리즈(Memories)>라는 공통된 제목 아래 함께 볼 때 전체의 문제의식과 작품에서 풍기는 이미지는 분명히 달라지는 것이다. 이 세 편의 에피소드는 애니메이션 특유의 환상적 영상과 분위기로 관객을 흡입한다. <그녀의 추억(Magnetic Rose)>에서는 과거의 기억에 사로잡혀 현재를 사랑할 줄 모르는 한 여인의 한이 얼마나 파괴적일 수 있는가를 통해, 현재와 연결되지 못하는 추억이라는 것의 허위를 보여준다. <최취병기(Stink Bomb)>에서는 눈 앞의 것에만 집착하는 인물들을 그림으로써 현실문제의 핵심을 파악하지 못하는 사회를 비판한다. <대포의 거리(Cannon Fodder)>는 자신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도 모르는 채 주입된 미래에 대한 꿈의 무의미함을 보여준다. 관객은 과거와 현재, 미래에 집착하는 각각의 주인공들에게 빨려 들어간다. 이 세 편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비관주의가 바탕에 짙게 깔려있는 인간사회에 대한 의문이며, 피상적인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사로잡혀 현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소외된 개인들, 혹은 이들의 의식을 단절시키는 사회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송락현, "일본 극장 아니메 50년사", 본프리, pp.344, 2003.
  2. 황의웅, "아니메를 이끄는 7인의 사무라이", 시공사, pp.203, 1998.
  3. 송락현, "일본 극장 아니메 50년사", 본프리, pp.218, 2003.
  4. 황의웅, "아니메를 이끄는 7인의 사무라이", 시공사, pp.203, 1998.
  5. 김시우, "이것이 일본 영화다", 아선미디어, pp.20, 1998.
  6. 김준양, "월간키노 1996년 12월 통권 21호", pp136-137, 1996.
  7. 고미숙,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다", 문학과경계사, pp.65-68, 2002.
  8. 김준양, "월간키노 1996년 12월 통권 21호", pp136-137, 1996.
  9. 고미숙,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다", 문학과경계사, pp.68-71, 2002.
  10. 박정배, 강재혁, "아니메를 읽는 7가지방법", 미컴, pp.52, 1999.
  11. 박용구, "글로벌시대의 일본문화론", 보고사, pp.46-49, 1999.
  12. 김준양, "월간키노 1996년 12월 통권 21호", pp136-137, 1996.
  13. 고미숙,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다", 문학과경계사, pp.71-73, 2002.
  14. 고미숙,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다", 문학과경계사, pp.74-86, 2002.
  15. 박인하, "아니메가 보고 싶다", 교보문고, pp.152 1999,
  16. 박인하, "아니메 미학 에세이", 바다출판사, pp.145-155, 2003.
  17. 넬슨신, 한창완, "애니메이션 용어사전", 한울아카데미, 2002.
  18. "The Art of Japanese Animation 劇場 アニメ, アニメーツュ", 德問書店.
  19. L. S. Frederik, "Manga! Manga! : The World of Japanese Comics," Kodansha International, 1983.
  20. S. Thomas, C. S. Vivian, "An Introduction to Film," 도서출판 거름, 2003.
  21. B. David, T. Kristin, Film "Arts an Introduction",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