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교육을 이용한 식생활 단원 수업의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in Food and Nutrition Area by Using Reading Education

  • Han, Ga-Eu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 Yoo, Ji-Yeon (Hansung Girl's High School) ;
  • Jung, In-Kyu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 Kim, Jung-Hyu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발행 : 2008.12.31

초록

본 연구는 독서를 활용한 기술 가정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독서교육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 적용하여, 학생들의 기술 가정 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식생활 문제에 대한 관심도를 증가시켜 안전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부천시의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사전의 영양 성취도 점수를 비교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으로, 실험집단은 독서교육을 활용하여 4주간, 총 8차시의 수업을 실시한 후 두 집단의 실험 처치 전 후의 차이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독서 활동 후에 개발된 독서 기록 카드와 학습지를 작성하면서 식생활과 관련된 용어를 명확히 이해하고 식생활 문제의 심각성을 깨달아 스스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독서를 활용한 토론 학습을 통해 기술 가정 수업의 흥미를 높이고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위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에 비해 독서교육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기술 가정 수업과 교사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경우 실험 처치 후에 식품 선택 태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실험 처치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식생활 단원과 독서에 대한 관심도, 식습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독서교육이 기술 가정과 수업의 흥미를 높이고 교사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품 선택의 태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독서교육을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수업에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interest of food and nutrition area in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as well as food safety and choice. For that, we developed new teaching-learning plan by using reading education method and applied to the 9th grade students in Buchun, Kyunggi-d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test score in nutrition sectio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educated by general lecture or reading education method for 4 weeks and the effect of different educational methods was tested. The results of study as follow: First, teaching-learning plan by using reading education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apply reading education method, we developed reading record cards which could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terminology and nutritional problems. In addition, students had time to discuss about food safety and choice after reading education which could improve the interest in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and communication skills. Second,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lesson plan, the results showed that reading education method improved the interest and attitude about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and teacher, and food choice attitude. However, reading education method had no effect on the interest on reading book about food and nutrition, an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eading education method improved the interest and recognition about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and teacher and food choice attitude. Therefore, to establish the proper dietary behavior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 need to develop and apply diversity of teaching-learning plan by using reading educational meth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