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Korean Childcare Studies

국내 영유아보육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Lee, Joo-Yeon (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
  • 이주연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a tendency in childcare studies published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mount of childcare studies and analyzed the main topic of childcare studies. Total 1,406 studies which include the term 'bo-yook' and/or 'tak-ah' as their keywords were gathered from internet database, and finally 973 studies were analyzed. Firs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childcare studies had gradually increased since 1990 and approximately one hundred studies had been published per year after 2004. The growing tendency of childcare studies might reflect social and political concern about childcare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Second, childcare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within the topic of childcare policy, childcare worker, actual condition in childcare service, and childcare quality. Lastly, special types of childcare such as infant childcare, handicapped childcare, extended-time childcare, and after-school childcare were rarely studied. From these results, several future direction for childcare studies were suggested.

Keywords

References

  1. 공인숙. 한미현. 김영주(2005). 보육학개론. 교육과학사
  2. 공창숙. 박정윤. 김양희(2007). 방과후 아동보육시설 종사자 근무실태와 직무인식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8, 137-166
  3. 권기욱(2006). 장애영유아 교육. 보육 재정지원제도 개선방향.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7(4), 1-26
  4. 권혜진(2003). 보육시설 평가인증준거 개발연구 분석 및 평가인증준거 대안 모색. 한국영유아보육학, 33, 93-112
  5. 권혜진. 이순형(2001). 보육시설의 집단크기에 따른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22(4), 201-212
  6. 김경숙(2002). 보육교사 연수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9, 45-64
  7. 김경회. 김선영. 김신영. 김지은. 김혜금. 문혁준. 서소정. 안선희. 안효진. 이희경. 정선아. 황혜원(2007). 보육학개론. 창지사
  8. 김영애. 최경숙(2007). 국내 우수보육시설의 시설기준에 대한 사례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3(8), 99-106
  9. 김유정. 김정원. 박현미(2006). 유아 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보육학회지, 6(2), 193-210
  10. 김익균. 노은호. 박금희. 이미정. 이순영. 이행숙. 이혜숙. 정해은. 조미환. 조혜경(2002). 보육학개론. 교문사
  11. 김인(2004). 시설 유형별 보육서비스 질 비교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4), 147-182
  12. 김재인. 이향란(2005). 스웨덴과 일본의 방과후 아동보육제도 비교연구. 비교교육연구, 15(2), 111-148
  13. 김정원(2002). 영유아보육 현장의 조부모 역할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2(1), 21-37
  14. 김정자. 강선혜(1987). 아동보육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15. 김혜경. 류왕효(2006). 시간연장 보육아동의 스트레스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207-225
  16. 김혜란(2005). 여성근로자의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만족 및 효과성 평가: 경기지역 여성근로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34, 179-199
  17. 남궁수진. 최영희(2008). 보육경험 및 보육의 질과 5세 유아의 사회. 정서발달관의 관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1), 45-54
  18. 도흥렬(1978). 어린이보육교양법 실시 2년의 평가. 북한, 77, 98-107
  19. 류왕효(2005). 발도르프 교육의 한국 보육 적용에서 초기 성과와 문제점. 한국영유아보육학, 41, 371-400
  20. 문경희(2004). 장애통합 보육교사 현직연수프로그램 모형.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8(1), 137-158
  21. 박성연. 임미리(2002).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57-68
  22. 박성옥(1994). 탁아 및 취업관련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격리불안.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7(2), 24-37
  23. 박정혜(2000). 영아보육의 현황과 21세기의 과제: 민간 보육시설 영아 프로그램의 운영과 과제. 2000년도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79-89
  24. 박찬옥. 조현정(2006). 부모와 교사가 인식한 직장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44, 1-18
  25. 박혜원(2000). 영아보육의 현황과 21세기의 과제: 영아보육시설의 현황과 과제. 2000년도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5-53
  26. 박화윤. 이연희. 이은정(2006). 보육교사의 인사관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171-206
  27. 배소정(2004). 영아보육시설의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아동교육, 13(1), 133-146
  28. 백선희. 조성우(2005). 미취학자녀의 보육. 교육비 지출 수준과 결정 요인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1, 429-455
  29. 보건복지가족부(2008). 보육통계. http://www.mw.go.kr/
  30. 서원경. 최석란(2005). 보육교사와 영아의 애착증진을 위한 야간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영유아보육학, 42, 253-277
  31. 소마나오꼬(2003). 한국사회에서의 보육영역의 생성과 변화에 관한 역사사회학적 연구. 여성연구 통권 64, 233-264
  32. 신은경. 이연경(2005). 보육시설 유아들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상태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7), 1008-1017 https://doi.org/10.3746/jkfn.2005.34.7.1008
  33. 신지연. 최석란(2005). 2세 영아의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복합 애착과 사회, 정서적 행동. 아동학회지, 26(1), 137-154
  34. 심미영. 정정숙(2005). 보육시설 내 여성노인 자원봉사활동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보육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과학회지, 8(1), 59-70
  35. 여성가족부(2005). 영유아보육법. http://www.mogef.go.kr/
  36. 유연화. 최경애. 오애순(2004). 보육실습교사가 경험한 실습유형에 따른 보육실습실태. 한국영유아보육학, 37, 47-66
  37. 유영주. 강학중. 김밀양. 김순기. 김연. 박정희. 배선희. 손정영. 안재희. 양순미. 오윤자. 이인수. 이정연. 이창숙. 전영자. 최희진. 홍성례. 홍숙자(2005). 새로운 가족학. 도서출판 신정
  38. 윤애희. 김온기. 박정민. 곽윤숙. 주영은. 박정문. 정정옥. 임명희. 정지영(2006). 보육개론과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창지사
  39. 윤애희. 박정민(2005). 어린이집 보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나타난 신체활동 내용분석. 한국유아체육학회지, 6, 25-48
  40. 이기숙. 김영옥. 박경자(2005). 보육경험과 유아의 인지 및 사회성 발달. 유아교육연구, 25(6), 255-275
  41. 이대균. 백경순(2007a). 유아교육기관 기관평가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학회지, 11(3), 293-309
  42. 이대균. 백경순(2007b). 유아교육분야 질적연구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67-191
  43. 이대균. 백경순. 김현수(2006). [열린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1996-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169-188
  44. 이문옥. 이지영. 이방식(2006). 유아 언어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1996-2005. 유아교육연구, 26(5), 401-424
  45. 이미화(2005). 전국 보육시설 실태조사.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1-67
  46. 이선애(2005). 저소득가정과 영아보육지원정책에 대한 고찰. 한국영유아보육학, 42, 63-86
  47. 이숙희(2002). 직장여성의 직장보육요구 조사. 한국영유아보육학, 29, 267-290
  48. 이은해. 최혜영. 송혜린. 신혜영(2003). 어린이집 프로그램 관찰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아동학회지, 24(3), 135-149
  49. 이재삼. 김영주(2006).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위한 자연친화적 보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0(3), 39-57
  50. 이종은(2005). 천안. 아산지역 보육시설에 대한 부모의 인식, 만족도, 보육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1, 111-136
  51. 이진숙(2004).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보육시설 적응간의 관련성. 열린교육연구, 12(2), 217-235
  52. 이희자. 함은숙. 김경의(2001). 보육시설에서의 유아수학교육의 현황 및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27, 89-110
  53. 장영인. 최영신(2004). '복지적 보육'의 개념에서 본 보육시설의 고유성에 관한 일 고찰. 한국영유아보육학, 38, 171-194
  54. 전춘애. 이미숙(2002). 보육시설의 구조적, 과정적 변인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5-124
  55. 정길정(2003). 장애유아 통합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통합교사의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3(2), 143-175
  56. 정원주(2004). 보육시설 위탁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4(2), 91-111
  57. 정지영(2006). 도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보육시설 공간 및 실내환경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12), 267-274
  58. 조복희. 강희경. 김연주. 김현지. 손경화. 안은숙. 양연숙. 이영환. 이주연. 이진숙. 장혜자. 한유미(2007). 보육학개론. 교육과학사
  59. 조복희. 곽혜경. 한유미. 양연숙. 손경화(2003). 보육시설 과학 특별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영유아보육학, 32, 47-69
  60. 조성연(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 36, 23-44
  61. 조성연. 이정희. 김온기. 황혜정. 나유미. 박진재. 송혜린. 임연진. 나종혜. 권연희(2005). 영유아보육론. 학지사
  62. 조성연. 정정옥(2003). MBTI 성격유형에 따른 보육시설장의 지도성 유형. 한국영유아보육학, 34, 89-110
  63. 조윤경(2006). 취학 전 장애아동의 관련 서비스 이용 실태 조사. 유아특수교육연구, 6(2), 27-45
  64. 조윤경(2007). 보육교사의 관찰과 평정을 통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후 아동의 선별 및 하위 위형조사. 한국영유아보육학, 50, 275-295
  65. 조혜경. 이순영. 황성원. 노은호. 구경선. 곽혜경. 박금희. 조미환. 나은숙. 문영보(2006). 보육학개론. 창지사
  66. 조희숙(1998). 아동발달에 관한 연구 동향. 중앙유아교육학회 제5회 유아교육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51-78
  67. 지성애(2001). 영유아 보육시설장과 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7, 137-167
  68. 지추련(2004). 유아성폭력 예방교육의 현황 및 방향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여성연구논집, 18, 91-128
  69. 천희영. 서현아(2003). 유아 보육. 교육 관련 온라인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분석 및 개선 방안: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35, 47-76
  70. 최윤이. 김경희(2005). 생태학적 보육환경을 중심으로 한 보육시설운영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소고. 홀리스틱교육연구, 9(2), 101-123
  71. 최진원(2006). 보육시설 자원봉사 활동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0(4), 12-23
  72. 통계청(2008). 국가통계포탈. http://www.nso.go.kr
  73. 표갑수(2003). 영유아보육법 개정안의 문제조항검토와 발전적 대안. 한국영유아보육학, 34, 271-284
  74. 한국유아교육학회(2003). 유아교육백서(1995-2000년). 양서원
  75. 홍금자(2004). 일본의 공보육. 한국영유아보육학, 39, 197-229
  76. 홍혜경. 지성애. 김영옥(1998). 영. 유아 보육시설의 안전사고 현황: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3, 315-348
  77. 황응연(1977). 북한의 어린이보육교양법 평가. 북한, 66, 178-183
  78. 황혜신(2007). 직장보육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문직 여성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49-59
  79. Children's Resources International(2002). Creating child-centered programs for infants and toddlers. Washington, DC: Children's Resources International
  80. Cowan, C. P., & Cowan, P. A.(2003. Becoming a parent. In A. S. Skolnick, & J. H. Skolnick(Eds.), Family in transition (pp. 218-230). Boston, MA: Allyn and Bacon
  81. Kim, J. H., Lee, G. S., Machida, S., & Lee, Y. S.(2004).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development.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1(4), 423-447
  82. Kontos, S., Howes, C., Shinn, M., & Galinsky, E.(1995). Quality in family child care and relative care. NY: Teachers College Press
  83.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2005). Child care and child development: Results from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NY: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