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tronomical Calendar and Restoration Design of Clepsydra in the Silla era

신라시대 천문역법(天文曆法)과 물시계(漏刻) 복원연구

  • Lee, Yong-Sam (Dept. of Astronomy & Spac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Jeong, Jang-Hae (Dept. of Astronomy & Spac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Hyuk (Dept. of Science of Cultural properties, Chung-Ang University) ;
  • Lee, Yong-Bok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Published : 2008.09.15

Abstract

We study on the astronomical calendars that was used in the Silla era. The calendars are deduced from the records in Samguksagi. They were influenced from calendaric system of Tang Dynasty, which are Lin duk calendar(麟德曆), Ta yen calendar(大衍曆) and Sun myung calendar(宣明曆). We analyse them in detail according to the time and duration of use. Water clock system of Unified Silla was used four water vessels for supplying water. We found the model from documents on ancient water clock that are appeared in the old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istorical records. We have assumed the model of Unified Silla clepsydra is similar type with Chinese records during Tang dynasty and with Japanese reconstructed water clock in Temple Asoka. After fluid dynamic experiment, we decide the suitable diameter of supplying pipe and volume of the vessels used in the clepsydra. We introduce the experimental instruments and methods for accomplishing the clock. We designed and reconstructed the water clock of Unified Silla and float rods for measuring time, that is based on the Silla's calendaric system.

당나라 때 사용하던 역법들과 우리나라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신라시대에 사용한 역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특히 신라역법에 결정적 영향을 준 당(庸)나라 역법들을 시대순으로 살펴보고 신라시대에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역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주로 신라시대 사용한 역법은 인덕력(麟德曆), 대연력(大衍曆), 선명력(宣明曆)등이 있음을 밝혔다. 아울러 당시 누각전(漏刻殿)에서 사용한 누각(漏刻)의 복원설계를 위해 삼국사기와 중국과 일본의 누각 관련 자료를 찾아 살펴본 결과 통일신라시대는 사급보상식부전루를 사용함을 알게 되었다. 중국 문헌과 일본 아스카사(비조사, 飛鳥寺)에 복원해 놓은 물시계 모델을 참고하여 신라시대에 사용한 물시계 종류와 구조를 대략 추측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사급보상식루각 설계를 위해 파수호의 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과 관의 직경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는 유속 측정기를 직접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그리고 이 장치를 소개하고 실험 방법에서 얻어진 결과를 제시하고 신라시대 물시계의 사급보상식루각(四級補像式漏刻)의 개념 설계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신라의 역법에 근거하여 당시에 사용한 부전(浮箭)과 함께 복원 설계도를 완성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일성 2000, 한국천문학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30
  2. 남문현 1995, 한국의 물시계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3. 이은성 1982, 曆法의 原理分析 (서울 정음사)
  4. 전상운 1998, 한국과학사의 새로운 이해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p.244
  5. 金泳 1789, 漏籌通義
  6. 金宗瑞, 鄭麟趾 1451, 高麗史 卷50, 曆1, 宣明曆
  7. 成周悳, 金泳 1875, 국조역상고 (國朝曆象考)
  8. 洪鳳漢 1770, 증보문헌비고 (增補文獻備考), 象緯考 1
  9. 藪內淸 1990, 中國의 天文曆法 (東京 平凡社)
  10.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83, 飛鳥 の 水時計, 飛鳥資料館圖錄第11冊(東京: 關西 フロセス)
  11. 華同旭 1991, 中國漏刻 (北京: 安徽科學技術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