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무안만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 및 갯벌등급 평가

A Study on the Habitat Use of Waterbirds and Grading Assessment of the Tidal Flat at Muan Bay in Jeollanamdo, Korea

  • 발행 : 2008.10.31

초록

전라남도에 위치한 무안만 연안습지를 4개 영역(동암, 구로, 복룡 및 완산 갯벌)의 갯벌로 구분하여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 갯벌의 가치 및 등급평가를 위해 2007년 2월부터 10월까지 계절별로 4회에 걸쳐 이 지역에 도래하는 수조류를 조사하였다. 논병아리류 2종, 백로류 7종, 수면성 오리류 7종, 잠수성 오리류 6종, 섭금류 20종, 갈매기 3종 및 기타 9종 등을 포함하여 54종 15,755개체의 수조류가 관찰되었으며, 9,291개체가 관찰된 섭금류가 우점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들 분류군에서 갈매기류와 섭금류는 동암갯벌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구로갯벌을 이용하는 분류군은 주로 수면성 및 잠수성 오리류와 논병아리류로 나타났다. 종과 개체수를 고려한 UPGMA 군집분석 결과, 동암갯벌과 복룡갯벌이 밀접한 유사성을 보였으며 구로갯벌과 왕산갯벌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수조류의 다양도지수, 풍부도지수, 우점도지수 등의 생태적 지수, 법적보호종 및 최대 개체수 등을 기준으로 해서 갯벌등급을 살펴보았을 때, 복룡갯벌의 가치 및 중요도 순위가 다른 3개 갯벌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수조류에 의한 갯벌 등급화는 중요한 갯벌지역의 판단 및 지정, 그에 따른 효율적인 보전과 관리에 있어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할 순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on waterbirds visiting this area four times by season from February to October in 2007 to look into the habitat use of waterbirds, to do a value and grade testing of the tidal flat by dividing the foreshore on Muan Bay located in Jeollanam-do into four areas (Dongam, Guro, Bokryong and Wangsan tidal flats).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there existed a total of 15,755 individuals of 54 species including 2 species of grebes, 7 species of herons, 7 species of dabbling ducks, 6 species of diving ducks, 20 species of waders, 3 species of gulls and 9 other species and this survey also observed 9,291 individuals of the wading birds as a dominant group on Muan Bay. In these classified groups, the gulls and waders were observed to mostly use Dongam tidal flat as their habitat, while the group using Guro tidal flat as their habitat was mostly grebes, dabbling and diving ducks. As a result of UPGMA clustering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es and number of individuals, there appear the close similarities between Dongam and Bokryong tidal flats and so do Guro and Wangsan tidal flats. Taking a look at the grading of tidal flats by setting up ecological indexes, such as diversity index, abundance index, and dominance index, etc. legally reserved species and maximum number of individuals as a standard, the rank for the value and importance degree of Bokryong tidal flat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hree tidal flats. Like this, the gradation of tidal flats according to waterbirds are judged to able to suggest objective data on the issue of proper judgment and designation of valuable tidal flat areas and its subsequent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2001) 해양부. 고시 제 2001-109호
  2. 국토해양부(2008) 연안습지 생태계 조사. 서울, 382쪽
  3. 권영수, 남형규, 유정칠, 박영석(2007) 서울 도시하천에서 월동하는 수조류의 분포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1): 55-66
  4. 김인규, 이한수, 백운기, 이준우, 최영복(2005) 강진만에 월동하는 수조류 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3): 305-311
  5. 김인규(2008) 도시하천의 야생조류 서식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3쪽
  6. 문화재청(2001) 천연기념물 조류의 월동실태조사II. 대전, 452쪽
  7. 문화재청(2003) 천연기념물백서. 대전, 570쪽
  8. 박성근(2002) 인천국제공항 건설지역인 영종도와 삼목도에 도래하는 섭금류에 미치는 간척의 영향과 생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7쪽
  9. 원병오(1981) 한국동식물도감-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서울, 1126쪽
  10. 원병오(1993) 한국의 조류. 교학사, 서울, 447쪽
  11. 이기섭(2000) 한국의 서해안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실태와 개체수 변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1쪽
  12. 이기섭, 김미란, 이사완, 이한수(2004) 조류에 의한 갯벌의 등급화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6(1): 105-115
  13. 이두표(1997) 영암호에 도래, 월동하는 수조류에 군집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연구보고 6(1): 55-67
  14. 이두표, 김상진(1997)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신안일대의 조류. 환경부
  15. 이시완(2000) 서해안 강화도 남단 갯벌에 도래하는 섭금류의 취식 생태 및 식이물과의 상호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1쪽
  16. 이시완, 유정칠(2003) 강화도 여차리 갯벌에서 먹이원에 따른 민물 도요 취식양상. 한국조류학회지 10(1): 1-16
  17. 이시완, 제종길, 이한수(2003) 서해안 갯벌 현황과 철새에 대한 보전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3): 295-303
  18. 이시완, 한성훈(2003)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무안.함평지역의 조류. 환경부
  19.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서울, 320쪽
  20. 최영복, 김인규, 정숙희, 유승화, 강태한, 이한수, 백운기, 최충길 (2007) 전라남도 연안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월동지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3): 197-206
  21. 환경부(2004) '99-'04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종합보고서. 서울, 620 pp
  22. 환경부(2005) 2005년도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서울, 418쪽
  23. 환경부(2006a)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서울, 298쪽
  24. 환경부(2006b) 2006년도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서울, 440쪽
  25. 환경부(2007) 2007년도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서울, 448쪽
  26. 해양수산부(2003)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서울, 1130쪽
  27. Alisauskas, R.T., C.D. Ankney and E.E. Klaas(1988) Winter Diets and Nutrition of Midcontinental Lesser Snow Geese. J. Wildl. Manage 52: 414-430
  28. Cramp, S. and K.E.L. Simmons(1977) Handbook of the bird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Vol, 1. Ostrich-Duck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722pp
  29. del Hoyo, J., A. Elliot and J. Sargatal(1992)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1. Ostrich to Ducks, Lynx Edicions, Barcelona, 696pp
  30. Hayman, P., J. Marchant and T. Prater(1986) Shorebirds. An Identification Guide to the Waders of the World, Croom Helm, UK, 412pp
  31. Howard, R. and A. Moore(1998) A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2nd edt.). Academic Press, London, 641pp
  32. Lee Hansoo, Jeong-Yeon Yi, Hwa-chung Kim, Si-Wan Lee, and Woon-Kee Paek(2002) Yubu Island, the Important Waterbird Habit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Its Conservation. Ocean and Polar Research 24(1): 115-121 https://doi.org/10.4217/OPR.2002.24.1.115
  33. Shannon, C. E. and W. 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USA, 117pp
  34. Zar, J.H.(1996) Biostatistical Analysis(3rd ed.).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662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