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silience Proc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중도장애인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과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resilience proc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8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data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393 concepts on the resilience proc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concepts were categorized into 45 sub-categories and 18 primary categories. In the paradigm model on the resilience proc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was identified that casual conditions included 'unawareness of disability before being disability', 'extreme pain', 'repressing psychological pain', and the contingent conditions were 'dis-empowerment by staying in home', 'isolation by himself with difficulty in accepting the disability', 'experience of frustration from social barriers with prejudice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ilience process could be dependent on the type and the degree of the disability, the gender, and the length of time being disability. In spite of the casual and contingent conditions, the central way in which persons with disabilities could acquire resilience was identified as 'enhancement of the power of positive thinking'. The control conditions which accelerate or retard central phenomenon were 'the awareness of not being alone through family, friends, neighborhood and the social system' externally and 'finding purpose in life through religion and help from othe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ternally. The action/interactional sequences enhanced the efforts, self searching and active acting, and as a result, persons with disabilities could find comfort in life, participate in society and change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in society. The core categories of resilience process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a belief in affirmation and choice of life by initiative. In the process analysis, stages developed in the following: 'pain', 'strangeness', 'reflection', 'daily life'. This stage was more continuous and causal than discrete and complete. In this process, the types of resili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divided into 'existence reflection', 'course development', 'implicit endeavor', and 'active execution'. This study showed the details of the paradigm models, the process and types wit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silience proc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sing grounded theory as well as theory construction and policy and clinical involvement on the stud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이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중도장애인의 레질리언스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갑작스러운 사고로 장애를 갖게 된 중도장애인 8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 총 393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를 45개의 하위범주, 18개의 상위범주로 유목화할 수 있었다. 중도장애인 레질리언스 과정의 패러다임 모형에서 인과적 조건은 '장애에 대해 모름', '너무 아파 힘듦', 심리적 고통으로 '마음 안으로 숨어듦'인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으로는 '집에만 있어 무기력해지고', 장애인정이 어려워 '스스로 장벽을 쌓으며', 장애에 대한 '사회적 장벽'으로 좌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형, 장애정도, 성(gender), 장애획득시기, 중도장애 여부 등에 따라 레질리언스에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인과적 조건과 맥락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중도장애인이 레질리언스를 갖게 되는 중심현상은 '긍정의 힘에 탄력이 붙음'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을 촉진 혹은 억제하는 중재조건으로는 외적으로 가족, 친구, 주변사람, 제도의 지원을 통해 '혼자가 아님을 깨닫고', 내적으로 종교의 힘과 모델링을 통하여 '변화의 의지와 삶의 목표를 가지고 내일을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전략은 '노력을 배가하고', '직접 찾아보며', '능동적으로 실행하기'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중도장애인들은 장애와 사회에 대한 '관점이 달라지고', 삶의 '여유가 생기며', 매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을 알 수 있었다. 중도장애인 레질리언스 과정의 핵심범주는 '긍정의 힘을 믿으며 주도적으로 나의 삶 선택하기'이었으며, 이는 장애인 레질리언스에서 선택과 자기결정을 통한 주도성의 확보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과정분석에서는 '고통', '낯섬', '성찰', '일상' 단계로 확인되었으며, 이 단계들은 단선적이기보다는 역동적인 순환과정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중도장애인의 레질리언스 유형은 존재성찰형, 진로개척형, 은근노력형, 적극실행형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개인, 가족 및 친구, 사회 및 제도 차원의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상황모형을 정리함으로써, 향후 실천적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중도장애인의 레질리언스 과정을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 이해를 구축하면서 그 과정 및 유형, 상황모형 등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중도장애인 연구에 관한 이론구축 및 정책적, 임상적 개입에 그 함의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