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ssessment of the Landscape Planning Phase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Focused on the Landscape Planning of Development Sites -

중요도-성취도 분석에 의한 경관계획 작성 단계별 평가 - 개발대상지 경관계획을 중심으로 -

  • Joo, Shin-Ha (Division of Environment and Life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 Baek, Woon-Hae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
  • Shin, Ji-Hoon (Landscape and Ecological Design Institute, Group HAN Associate) ;
  • Mok, Jeong-Hun (Dept. of Architecture, Sejong University)
  • 주신하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
  • 백운해 (대한주택공사) ;
  • 신지훈 (그룹한 경관생태디자인연구소) ;
  • 목정훈 (세종대학교 건축학과)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according to planning phases in a landscape planning system based on landscape law. An assessment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by planning phases was studied by statistically descriptive analysis, variation analysis, statistical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performance of existing landscape planning projects is 3.813 and the importance of planning elements is 5.648. This means that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the performance of existing landscape planning projects is not sufficient to cover the importance of landscape planning elements. In addition, 'site landscape survey' and 'landscape design guideline' sections are not sufficient when they are compared to 'landscape concept plan' and 'landscape basic plan' to complete the landscape planning projects required by landscape law. It means also that the landscape survey and landscape design guidelines should be complementarily practic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As the research is practiced by survey methods on landscape planning projects which are only new development sites, the results cannot represent all types of landscape planning projects. Nevertheless, the results can be applied to new landscape planning at new development sites or old cities to increase effectiveness.

본 연구는 개발대상지의 경관계획 수립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경관계획에서 진행하고 있는 각 단계별 계획항목과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개발대상지 경관계획 수립 방안을 연구하였다. 각 단계별 계획요소의 중요도와 성취도는 전문가 설문을 바탕으로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t-test, 중요도-성취도 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평가결과 계획단계 기존계획에 대한 성취도 평가는 3.813, 계획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평가는 5.648로 나타나, 그 중요도에 비해 기존 경관계획이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관계획 단계별로는 경관기본계획과 경관기본구상 등은 비교적 잘 수립되고 있으나 경관 디자인가이드라인과 경관자원조사는 경관계획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으로 파악되었다. 경관기본계획 단계 중에서는 미시적 경관계획이 중요도에 비해서 잘 진행되지 않아 보완이 필요하며, 경관디자인가이드라인 단계에서는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장소 디자인가이드라인 등의 보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기초로 진행하였으므로 설문응답자의 기존 경관계획에 대한 이해 정도가 다를 수 있다는 점과 경관계획 계부항목 선정에 대한 구분이 다를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연구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성 도시경관계획과 개발대상지 경관계획의 계획요소 간 중요도 비교와 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 계획요소 및 작성기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4) 신도시 경관계획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2. 건설교통부(2007) 경관계획 수립방향 및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
  3. 공기열(2006) IPA기법을 이용한 여가활동 평가. 관광연구 20(3): 285- 303
  4. 국토도시연구원(2006) 생태환경계획 및 경관계획 수립 지표에 관한 연구
  5. 국토연구원(2003) 도시경관개선을 위한 용도지역별 경관계획 기준 연구
  6. 대한주택공사(2006) 경관법 제정을 위한 연구
  7. 서현철, 송은주, 이상돈(2003)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의 이용 후 평가에 관한 연구 -중요도-성취도(IPA) 기법을 중심으로-. 문화관광연구 5(2): 169-188
  8. 이시영, 허준(2004) 도시근린공원의 추구편익에 의한 중요-성취도 분석 -대전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2(3): 114-125
  9. 임화순, 고계성(2006) 관광목적지 매력속성에 따른 중요도-성취도 연구 -일본 오끼나와 중심으로-. 관광연구 21(1): 177-190
  10. Im, Hyun-Jung(2005)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 application to festival study.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17(2): 117-136
  11. Martilla, J. A., and J. C. James(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