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Visual-Field Obstruction from Fire Smoke Influences a Resident's Necessary Time to Reach Fire Escape and Evacuation Route in a High-rise Apartment Housing

연기발생으로 인한 시야장애가 초고층 공동주택 거주자의 피난계단실 진입시간과 피난경로에 미치는 영향

  • 서상목 (경북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최준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홍원화 (경북대학교 건축학부)
  • Published : 2008.10.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visual-field obstruction from fire smoke influences a resident's necessary time to reach fire escape and evacuation movement in a high-rise apartment housing. Generally, fire smoke not only gives visual-field obstruction and breath troubles to residents but interrupts their evacuation behavior. If a fire smoke layer is formed in the core department when evacuee enters at the evacuation staircase until, residents will be made to undergo a range of vision obstacle. In order to set a situation like that, participants wore eye bandage which had been made especially before the experiment. Also as a comparative standard, through no.1442 Japanese construction ministry notices about the building evacuation safety verification method, this study calculated smoke layer's dissent time and evacuation time. Then to compare with the former, the participants without an eye bandage joined a experiment once again. This study has understood how fire smoke effects on one's evacuation delay by analyzing residents' evacuation time to reach the staircase and movement route, however, in this study a toxic gas is not considered because it might threaten participants not to breathe.

Keywords

References

  1. 최준호(2007), 초고층 공동주택의 유비쿼터스 기반 피난시스템 도입을 위한 유형별 피난특성 분석, 경북대학교 공학석사 학위논문
  2. 홍원화.최준호.전규엽(2007), 초고층 공동주택의 USN 기반 피난시스템 도입을 위한 수직적 피난위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8(5), 133-141
  3. 최준호.전규엽.홍원화(2007), 초고층 공동주택의 피난계단폭에 따른 피난시간 및 피난자의 수직적 분포 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1), 737-740
  4. 최준호.전규엽.홍원화(2006), 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피난 안전을 위한 국내외 법규사례 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3-208
  5. 나욱정(2006), 지하공간 비상유도등의 성능평가 및 피난유도 향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공학석사 학위논문
  6. 권선욱(2001), 연령별 피난시간에 따른 피난계획에 대한 연구, 중앙소방학교 제11기 소방간부후보생 졸업논문
  7. 나욱정.전규엽.홍원화(2006), 지하공간 비상 유도등의 성능평가 및 피난유도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2(10), 295-302
  8. 손봉세(1997), 연기유동의 해석과 제어, 한국소방안전협회 소방기술 통권 제53호
  9. 이강훈(1997), 인간행동패턴에 대한 고찰과 피난로 설계에의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7), 83-93
  10. 최재필.강범준.박영섭.이윤재(2005), 초고층 건축물의 대피층 및 대피공간 개념 도입 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1(1), 147-154
  11. 손봉세.이용재(2004),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시 방재.피난계획,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KSTBF
  12. Junho Choi, Gyuyeob Jeon, Wonhwa Hong (2006),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Evacuation Safety at a Highrise Apt. on Fir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itectural Interchanges in Asia
  13. NFPA 101: Life Safety Code, 2006 Edition
  14. 日本火災學會 編(2006), 火災と建築, 共立出版株式會社
  15. 防災硏究會 AFRI (2005), 建築防災計劃の考え方.まとぬ方, Ohmsha
  16. 日建設省告示第1442戶(2001), 全館避難安全檢證法に關する算出方法等を定める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