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atisfaction Analysis about Courses and Management of a Culture Content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a University

대학에서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강의와 관리에 대한 만족도 분석

  • 이현주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
  • 김한일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
  • 박찬정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 Published : 2008.11.28

Abstract

As culture content industry is regarded as a high value-added creation industry, many universities have run various kinds of programs such as interdisciplinary programs to develop human resources recently. J University has also offered a culture content interdisciplinary program since 2006. 6 departments are engaged in the interdisciplinary program. Howeve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courses and management about interdisciplinary programs rarely exists. In this paper, we firstly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e classes and the management of the culture content interdisciplinary program runs in our University. In addition, in order to propose a desirable method to run the interdisciplinary program, we analyze the comprehension levels of student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Finally, we propose a future direction for a successful program based on our analysis results.

문화콘텐츠산업은 고부가 가치 창출 산업으로 최근 여러 대학들에서는 독립학과 신설 또는 학제간 공동과정으로 문화콘텐츠 인력양성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J 대학 또한 2006년부터 6개 학과가 공동으로 문화콘텐츠 연계전공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연계전공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계전공 강의나 관리에 대한 진단이나 연구가 드물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J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연계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연계전공 강의와 관리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분석한다. 또한, 연계전공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 및 교육효과성 분석을 통해 연계전공 진행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언한다. 이를 위해 연계전공 강의와 관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며 이를 이용하여 연계전공 과목과 진행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문제점 진단 후, 향후 연계전공 진행방향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기정, "해외 선진교육기관의 문화콘텐츠 인력 양성 교육과정 분석", 인문콘텐츠, 제2호, pp.90-116, 2003.
  2. 김만수, "문화콘텐츠와 대학교육", 대중서사연구 제16호, pp.57-80, 2006.
  3. K. D. Peterson, Theacher Evaluation : A comprehensive guide to new directions and practice, Corwin Press, 2005.
  4. H. A. Andrew, Teachers can fired! The quest for quality, Catfeet Press, 1995.
  5. 전세경, 박정윤, "실과 교과서 평가 기준안 및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921-935, 1999.
  6. 류춘호, 이정호,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 32권, 제3호, pp.789-807, 2003.
  7. 김영욱, 김인택, 박강, 박용원, "공학교육 강의 평가의 특성과 운영 방법에 대한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64-73, 2004.
  8. 류춘호, 이정호,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249-279, 2005.
  9. 이희원, 강호선, 정연순, 허은녕, "대학 강의 질 개선을 위한 강의 평가 문항 분석- 서울대학교 이공계열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제8권, 제4호, pp.52-63, 2005.
  10. 강미향, 오경화, "의생활 영역에 대한 중학생의 수업만족도 및 필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18권, 제2호, pp.63-7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