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모바일 전용 영화의 내러티브 구조와 의미구성 - 모바일 전용 영화 와 <건달과 달걀>을 중심으로

Narrative Structure and Signification of the Mobile Whole Aspect Movie -Focused on and -

  • 강승묵 (호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발행 : 2008.11.28

초록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디지털화된 이야기의 형식으로 내러티브를 구축하며 의미를 구성한다. 모바일 전용 영화와 같은 영상콘텐츠 역시 디지털 테크놀로지 기반의 내러티브 구조와 의미구성 방식을 따른다. 이 연구는 모바일 전용 영화가 모바일 미디어에 적합하게 기획 및 제작됨으로써 전통적인 내러티브 구조를 확장하고 새로운 의미구성 방식을 제시할 수 있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 최초의 모바일 전용 영화라고 할 수 있는 와 <건달과 달걀>을 사건의 인과관계에 따른 의미중복과 시공간 구조의 이중교차를 통한 내러티브 구조의 통합과 응집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두 편의 연구대상 모바일 전용 영화는 이야기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위해 의미를 응집시켜 통합적으로 내 러티브를 구축하고, 시공간을 등장인물의 주관적 시점에서 이중으로 교차시켜 이동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모바일 전용 영화의 내러티브 구조와 의미구성 방식이 모바일 미디어에 적합하게 전통적인 영화 고유의 형식을 변형 또는 확장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constructs meaning through the narrative by digitalized story. Including mobile whole aspect movie, visual contents hav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signification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y. This study plann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mobile movie can expand the classical narrative structure and bring up the method of signific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oved the process to cohere narrative through redundancy and a double across of space-ti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ausality in mobile movies such as and . According to the findings, mobile movies appeared to construct a consolidated structure through cohesion of meaning and to move the space-time doubly across at a subjective point of view of the characters for continuity of story. Such a result mean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method of signification of mobile movie are modifying or expanding the unique formation of classical films in accordance with mobile devices as digital media.

키워드

참고문헌

  1. E. Panofsky, "Style and Medium in the Motion Pictures," L. Baraudy & M. Cohan (eds.), Film Theory and Criticism,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2-4, 1999.
  2. L. Manovich, The Language of New Media, 서정신,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p.73, 2004.
  3. J. Murray, Hamlet on the Holodeck: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New York: The Free Press, p.28, 1997.
  4. 전경란, "컴퓨터 게임의 이야기하기 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4호, pp.320-345, 2003.
  5. 원용진,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1996.
  6. R. Scholes and R. Kellogg, The Nature of Narrative, 임병권, 서사의 본질, 예림기획, pp.114-116, 2001.
  7. D. Andrew, Concepts in Film Theory, 김시무 외, 영화이론의 개념들, 시각과 언어, p.114, 1995.
  8. R. Lapsley and M. Westlake, Film Theory: An Introduction, 이영재, 김소연, 현대 영화이론의 이해, 시각과 언어, p.179, 1995.
  9. D. Bordwell and K. Thompson, Film Art, 주진숙, 이용관, 영화예술, 이론과 실천, p.98, 1993.
  10. T. O'Sullivan, D. Hartley, D. Saunders, and J. Fiske, Key Concepts in Communication, London : Routledge, 1983.
  11. M. A. K. Holliday and R. Hasan, Cohesion in English, London: Longman, 1976
  12. J-M Lee, Coreference, coherence, and memory of discourse, Presented at '81 SICOL(Seoul Int'l Conference on Linguistics).
  13. M. Bal, Narratology: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arrative, 한용환, 강덕화,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80.
  14. M. Bal, Narratology: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arrative, 한용환, 강덕화,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80.
  15. M. Toolan, Narrative: A Critical Linguistic Introduction, 김병욱, 오연희, 서사론, 형설출판사, 1995.
  16. S. Chatman, Coming to Terms: The Rhetoric of Fiction and Film, 한용환, 강덕화, 영화와 소설의 수사학: 새로운 서사적 개념들,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17. 김성환, 여운형, (미래를 지배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야스미디어, 2003.
  18. 오재인, 모바일 비즈니스, 삼영사, 2004.
  19. L. Manovich, The Language of New Media, 서정신,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pp.70-94, 2004.
  20. J. Murray, Hamlet on the Holodeck: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New York: The Free Press, 1997.
  21. E. Panofsky, "Style and Medium in the Motion Pictures," L. Baraudy and M. Cohan (eds.), Film Theory and Criticism,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2. L. Manovich, The Language of New Media, 서정신,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p.292, 2004.
  23. R. Lapsley and M. Westlake, Film Theory: An Introduction, 이영재, 김소연, 현대 영화이론의 이해, 시각과 언어, p.195, 1995.
  24. L. Manovich, The Language of New Media, 서정신,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p.108, 2004.
  25. 박동숙, 전경란, "디지털 시대의 이야기하기: 상호작용성과 수용자 관여", 방송연구, 2002 여름호, pp.37-64, 2002.